$\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2, 2017년, pp.71 - 90  

김현지 (해븐리병원 해븐리두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이 달라지는지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활용 가능한 악기연주 및 노래부르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시 2회기에 걸쳐 실험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만을 수행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라 피로도,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타력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전자 드럼 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자 드럼 연주와 노래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가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노래부르기로 전환시키고 참여 동기를 증진시켜 지속적인 움직임 유도 시에도 피로도 또는 운동자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 재활 시 반복적인 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differences in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instrumental play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epending on whether singing task was concurrently presented. A total of 12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and day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노래부르기의 경우, 호흡 및 발성의 의도적인 조절뿐만 아니라 가사를 기억하고 정확한 음고 및 리듬을 산출해야 하는 등 인지적 측면에서의 과제도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노래부르기 과제의 동반제공이 운동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에 있어서도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목표 운동과제를 촉진시킬지, 아니면 방해 요인을 갖고 있을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재활을 위한 악기연주 과제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제공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악기연주 시 동반 제공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및 상지 기능 운동 수행력에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음악적 큐가 제공되었을 때 상지 움직임의 범위 증가가 즉각적으로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Han, Kwon, & Park, 2014),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형태의 리듬 자극은 운동 실행 시 목표 패턴을 예측가능하게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운동 패턴 및 속도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운동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4; Thaut,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 실행에 대한 시간적 단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에 대한 지각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써 적극적인 음악 과제인 노래부르기를 운동 과제와 동시에 제공하는 과제로 적용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 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와 운동 수행력에 있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는데, 상지 기능의 경우 회복 기간이 길기 때문에(Park & Moon, 2012) 과제의 유무에 따른 상지 기능의 즉각적인 변화를 살펴보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만성 뇌졸중 환자가 자신의 피로 수준과 운동 강도에 대해 지각하는 수준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와 드럼 연주 시 환자가 실행할 수 있는 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악기연주 시, 동반하여 제시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활동 참여도, 운동자각도 및 드럼 연주 시 타력값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재활을 위한 악기연주 과제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제공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악기연주 시 동반 제공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및 상지 기능 운동 수행력에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과제가 함께 제공된 실험 집단과 제공되지 않은 비교 집단 각각에서 운동 전후에 만성 뇌졸중 환자가 지각하는 피로도에 차이가 있는가?
  • 2. 전자 드럼 연주 시 만성 뇌졸중 환자의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연주 시 타력값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신경 질환 중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또는 뇌혈관이 파열되는 뇌출혈로 인해 혈액의 공급이 중단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뇌손상을 의미한다. 뇌졸중으로 인한 기능 장애는 손상된 뇌의 위치와 손상 정도에 따라 운동 장애, 인지 장애, 언어 장애, 감각 장애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Kim & Han, 2002), 발병 초기에는 손상된 기능의 회복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6개월이 지난 이후인 만성기로 접어들며 회복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지속적인 기능 손상을 동반하게 된다(Duncan, Goldstein, Matchar, Divine, & Feussner, 1992; Langhorne, Bernhardt, & Kwakkel, 2011).
뇌졸중으로 인한 기능 장애는 무엇이 있나? 뇌신경 질환 중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또는 뇌혈관이 파열되는 뇌출혈로 인해 혈액의 공급이 중단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뇌손상을 의미한다. 뇌졸중으로 인한 기능 장애는 손상된 뇌의 위치와 손상 정도에 따라 운동 장애, 인지 장애, 언어 장애, 감각 장애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Kim & Han, 2002), 발병 초기에는 손상된 기능의 회복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6개월이 지난 이후인 만성기로 접어들며 회복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지속적인 기능 손상을 동반하게 된다(Duncan, Goldstein, Matchar, Divine, & Feussner, 1992; Langhorne, Bernhardt, & Kwakkel, 2011). 뇌졸중으로 인해 동반될 수 있는 기능 손상으로는 편마비, 실어증, 구음 장애, 인지 장애, 삼킴 장애, 실행증 등이 있다(Radomski & Latham, 2008).
6개월이 지난 이후인 만성기에 동반되는 기능 손상은 무엇이 있나? 뇌졸중으로 인한 기능 장애는 손상된 뇌의 위치와 손상 정도에 따라 운동 장애, 인지 장애, 언어 장애, 감각 장애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Kim & Han, 2002), 발병 초기에는 손상된 기능의 회복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6개월이 지난 이후인 만성기로 접어들며 회복 속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지속적인 기능 손상을 동반하게 된다(Duncan, Goldstein, Matchar, Divine, & Feussner, 1992; Langhorne, Bernhardt, & Kwakkel, 2011). 뇌졸중으로 인해 동반될 수 있는 기능 손상으로는 편마비, 실어증, 구음 장애, 인지 장애, 삼킴 장애, 실행증 등이 있다(Radomski & Latha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ng, D. H., Choi, S. J., & Shin, W. S. (2013). The effects of the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uppe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수정된 건측억제-환측유도치료(mCIMT)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8(2), 245-252. 

  2. Borg, G. (1970). Perceived exertion as an indicator of somatic stress.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2), 92-98. 

  3. Brunnstrom, S. (1970).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NY: Harper & Row. 

  4. Choi-Kwon, S., Han, S. W., Kwon, S. U., & Kim, J. S. (2005). Post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ular Diseases, 19(2), 84-90. 

  5. Chong, H. J., Han, S. J., & Kim, S. J. (2016). Keyboard playing as a hand exercise for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Music Therapy Perspectives, 35(2), 144-150. 

  6.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2008).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3rd ed.). Silver Spring, Maryland: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7. Duncan, P. W., Goldstein, L. B., Matchar, D., Divine, G. W., & Feussner, J. (1992). Measure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Outcome assessment and sample size requirements. Stroke, 23(8), 1084-1089. 

  8. Dyrlund, A. K., & Wininger, S. R. (2008). The effects of music preference and exercise intensity on psychological variables. Journal of Music Therapy, 45(2), 114-134. 

  9.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Stroke, 29(4), 785-792. 

  10. Gillot, A. J., Holder-Walls, A., Kurtz, J. R., & Varley, N. C. (2003).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wo survivors of stroke who participated in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home program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2), 168-176. 

  11. Han, S. J., Kwon, A. J., & Park, H. Y. (2014). Immediate effect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on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패턴화된 감각 증진(PSE)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1), 1-19. 

  12. Hwang, J. H., Kim, H. M., & Lee, J. S. (2011). The effects of bilateral upper limb movement on the bilateral coordin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양측성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양손협응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1), 13-25. 

  13. Jung, Y. R. (2015).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43-64. 

  14. Kim, J. H., & Han, T. R. (2002). Rehabilitation medicine(재활의학). Seoul: Koonja. 

  15. Kim, J. S. (2001). Stroke 119(뇌졸중 119). Seoul: Galim. 

  16. Kim, J. S. (2005). Post-stroke depression, anxiety, emotional incontinence, anger-proneness and fatigue(뇌졸중 후 발생하는 감정 장애: 우울, 불안, 감정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그리고 피로).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3(1), 1-8. 

  17. Kim, K. H. (2004). The influence of music listening, singing, instrumental playing on phase of body heat range and its symmetric condition(감상, 노래, 악기활동이 체열 대칭과 분포 양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6(1), 1-20. 

  18. Langhorne, P., Bernhardt, J., & Kwakkel, G. (2011). Stroke rehabilitation. The Lancet, 377(9778), 1693-1702. 

  19. Lee, S. H., Park, E. H., & Kim, Y. T. (2000). Single subject research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단일대상연구). Seoul: Hakjisa. 

  20. Lee, Y. J., & Jung, M.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dual-task training for stroke with hemiplegia(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5(1), 27-36. 

  21. Lim, H. A., Miller, K., & Fabian, C. (2011). The effects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on endurance level, self-perceived fatigue level, and self-perceived exertion of inpatients in physical rehabilita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48(2), 124-148. 

  22. O'Konski, M., Bane, C., Hettinga, J., & Krull, K. (2010).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exercise with patterned sensory enhanced music and background music for long-term care resid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47(2), 120-136. 

  23. Pajalic, Z., Karlsson, S., & Westergren, A. (2006). Functioning and subjective health among stroke survivors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4), 457-466. 

  24. Park, C. I., & Moon, J. H. (2012). Rehabilitation medicine(재활의학). Seoul: Hanmibook. 

  25. Potteiger, J. A., Schroeder, J. M., & Goff, K. L. (2000). Influence of music on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during 20 minutes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1(3), 848-854. 

  26. Radomski, M. V., & Latham, C. A. T. (Eds.). (2008).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Taub, E., Crago, J. E., & Uswatte, G. (1998).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 new approach to treatment in physic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43(2), 152-170. 

  28. Tenenbaum, G., Lidor, R., Lavyan, N., Morrow, K., Tonnel, S., Gershgoren, A., ... Johnson, M. (2004). The effect of music type on running perseverance and coping with effort sensation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5(2), 89-109. 

  29. Thaut, M. H. (2005). Rhythm, music, and the brain: Scientific foundations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Routledge. 

  30. White, J. H., Alston, M. K., Marquez, J. L., Sweetapple, A. L., Pollack, M. R., Attia, J., ... Whyte, S. (2007).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Function is not the whole story with quality of lif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9), 1140-1146. 

  31. Woollacott, M., & Shumway-Cook, A. (2002).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 Posture, 16(1), 1-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