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rable sensor wear on muscular activity of the head posture during smartphone us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5, 2017년, pp.47 - 51  

박성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강종호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유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전방머리자세 유발을 일으키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조군,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자세를 의식하며 사용하는 비착용군 그리고 웨어러블 센서를 착용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근활성도를 살펴보았다. 목세움근과 윗등세모근의 근활성도는 대조군, 비착용군, 실험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세움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고, 윗등세모근의 경우 비착용군과 대조군에 비해 착용군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즉 웨어러블 센서의 착용은 의식적인 자세 조절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부위의 근긴장을 유발 할 수도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rable sensor wear on the muscle contraction of cervical erector spinae and upper trapezius causing the forward head posture induction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induced by the use of smartphon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전방머리자세를 유발하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피로는 전방머리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유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전방머리자세 유발을 일으키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 시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예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는 근피로를 측정하기 위하여 양측 목척추세움근과 양측 등세모근의 %RVC를 측정하였다. 왼쪽 목척추세움근에서 대조군(C), 착용하지 않고 의식적으로 조절한 비착용군(N.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 시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예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시 발생하는 근피로를 측정하기 위하여 양측 목척추세움근과 양측 등세모근의 %RVC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머리자세를 유발하는 근육의 문제는 무엇인가? 하지만 웨러러블 센서를 통한 전방머리자세의 예방에 관한 연구들은 목뼈의각도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 대다수였고 전방머리자세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인 근육의 문제를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특히 전방머리자세를 유발하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피로는 전방머리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방머리자세의 유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전방머리자세 유발을 일으키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웨어러블 센서 착용이 전방머리자세 유발을 일으키는 목세움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3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조군, 전방머리자세에 대한 자세를 의식하며 사용하는 비착용군 그리고 웨어러블 센서를 착용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근활성도를 살펴보았다. 목세움근과 윗등세모근의 근활성도는 대조군, 비착용군, 실험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세움근의 근활성도의 변화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고, 윗등세모근의 경우 비착용군과 대조군에 비해 착용군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즉 웨어러블 센서의 착용은 의식적인 자세 조절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부위의 근긴장을 유발 할 수도 있다.
전방머리자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근피로는 신체의 전방머리자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전방머리자세는 목뼈의 생체역학적 부하의 분산을 감소시키고목뼈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는 원인되며 이는 목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한다[8]. 이러한 전방머리자세의 문제점을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와 교정운동이 사용되어지고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DEVE- LOPMENT INSTITUTE. (2016). Mobile Trend in 2016'. Seoul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 Ministry of Science. (2016). A Survey on reliance on smartphones and the Internet in 2015. Seoul : ICT and Future Planning. 

  3. K. H. Hwang, Y. S. Yoo & O. H. Cho. (2012).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365-375. DOI : 10.5392/jkca.2012.12.10.365 

  4. D. R. El Azab, D. I. Amin & G. I. Mohamed. (2017). Effect of smart phone using duration and gender on dynamic bal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Research & Health Sciences, 6(1), 42-49. DOI : 10.1589/jpts.26.1013 

  5. M. K. Lee et al. (2015).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pain threshold.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6), 1743-1745. 

  6. A. M. Greig, L. M. Straker & A. M. Briggs. (2005). Cervical erector spinae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in children using diffe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Physiotherapy, 91(2), 119-126. DOI : 10.1016/j.physio.2004.10.004 

  7. K. T. Yoo & H. S. Lee. (2016).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Posture, Pain and Asymmetric Muscle Activity in a Patient with Forward Head Posture: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1(1), 71-82. DOI : 10.13066/kspm.2016.11.1.71 

  8. L. A. Tan, D. C. Straus & V. C. Traynelis. (2015). Cervical interfacet spacers and maintenance of cervical lordosis. Journal of Neurosurgery: Spine, 22(5), 466-469. DOI : 10.3171/2014.10.spine14192 

  9. S. S. Lynch et al.(2010). The effects of an exercise intervention on forward head and rounded shoulder postures in elite swimme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4(5), 376-381. DOI : 10.1136/bjsm.2009.066837 

  10. N. Y. Yang & J. S. Oh. (2014).Effects of Visual Biofeedback on Movement Patterns of Neck Lateral Bending and Muscle Activation of Sternocleidomastoid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9(4), 425-432. DOI : 10.13066/kspm.2014.9.4.425 

  11. J. Lee, Y. Chee, J. Bae, H. Kim & Y. Kim. (2016). The Wearable Sensor System to Monitor the Head & Neck Posture in Daily Life.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7(3), 112-118. DOI : 10.9718/jber.2016.37.3.112 

  12. A. Pantelopoulos & N. G. Bourbakis. (2010). A survey on wearable sensor-based system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gnosi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art C (Applications and Reviews), 40(1), 1-12. DOI : 10.1109/tsmcc.2009.2032660 

  13. G. A. Hansson et al. (2000). Sensitivity of trapezius electromyography to differences between work tasks-influence of gap definition and normalisation method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0(2), 103-115. DOI : 10.1016/s1050-6411(99)00030-9 

  14. K. Schuldt et al. (1986). Effects of changes in sitting work posture on static neck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Ergonomics, 29(12), 1525-1537. DOI : 10.1080/00140138608967266 

  15. Y. Jung, D. Kang & J. Kim. (2010). Upper body motion tracking with inertial sensors.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 1746-1751). USA : IEEE. DOI : 10.1109/robio.2010.57235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