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with a High Crystallin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5, 2017년, pp.53 - 58  

김기출 (목원대학교 신소재화학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유 고갈의 시대에 저가이면서 반투명한 특징을 갖고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C)는 1991년 $Gr{\ddot{a}}tzel$의 연구결과 보고 이후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빛 수확 성능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산란층이 광전극 소재로 제안되었다. DSC 광전극의 산란층에서 산란의 중심으로는 지름이 250 - 300 nm 정도의 크기를 갖는 비교적 큰 이산화티탄 나노입자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된 졸겔 공정을 이용하여 약 300 nm 크기의 이산화티탄 나노결정을 합성하였다. XRD와 TEM 분석결과에 의하면, 합성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는 아나타제 상의 단결정 특성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스핀 코팅 공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탄 박막의 광학적 투과율은 550 nm 파장에서 약 50%로 측정되었다. 이처럼 적당한 투과율은 DSC 산란층의 산란 중심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DSC의 광전변환효율 향상에 적절하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age of oil exhaustion, low cost, semi-transparent solar cell,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C)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since 1991 of $Gr{\ddot{a}}tzel$ report. To enhance the light-harvest capability of the photoelectric electrode, and efficiency of photoelectric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 소재 내부에서 빛 수확 성능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DSC의 광전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삽입하는 산란층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250 nm ∼ 300 nm 크기의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활용 분야는 무엇인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는 화학적, 광학적으로 안정하고, 독성이 없으며 높은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정화용 광촉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밴드갭, 우수한 안정성, 높은 기전력, 낮은 재결합 확률 등으로 인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 DSC)의 광전극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가스센서, 안료, 향균 타일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2-4].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수열 합성법, 용매열합성법, 졸겔법, 초음파 화학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3].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 중 하나인 졸겔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수열 합성법, 용매열합성법, 졸겔법, 초음파 화학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3]. 이 중에서 졸겔법은 얇고 투명한 박막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졸겔 공정에서 교반시간, 온도, 첨가물의 비율, 촉매의 종류와 양 등 매우 다양한 변수들을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변수들의 조절로 결정 상과 입자의 크기 및 모양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3,4].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개발된 솔라셀은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페브로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이 있으며, 태양광 발전의 90% 정도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불투명하며,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솔라셀 패널 설치를 위해서 산림을 벌목하거나, 초지를 차지해야한다. 이러한 제한조건은 태양광발전의 확대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 A. Noh & K. C. Kim. (2017). Transparent Hydrophobic Anti-Reflection Coating with $SiO_2$ / $TiO_2$ Thin Lay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1-6. 

  2. H. J. Hong, M. C. Heo, S. H. Hahn, E. J. Kim, C. W. Lee & J. H. Joo. (2006). Properties of Low. Temperature Sol-Gel $TiO_2$ Thin Films with Catalyst Content. Hankook Kwanghak Hoeji, 17(3), 296-302. 

  3. X. Chen & S. S. Mao. (2007). Titanium Dioxide Nanomaterials: Synthesis, Propertie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hemical Reviews, 107(7), 2891-2959. DOI : 10.1021/cr0500535 

  4. A. R. Park, S. H. Kim, D. G. Kim, H. B. Gu & H. C. Ki. (2012). Synthesis of $TiO_2$ by Sol-Gel Method &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DSSCs with Controlling p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25(8), 620-625. DOI : 10.4313/jkem.2012.25.8.620 

  5. B. O'Regan & M. Gratzel. (1991). A low. cost, high. efficiency solar cells based on dye-sensitized colloidal $TiO_2$ films. Nature, 353, 737-740. DOI : 10.1038/353737a0 

  6. F. Huang, D. Chen, X. L. Zhang, R. A. Caruso & Y. B. Cheng. (2010). Dual-Function Scattering Layer of Submicrometer-Sized Mesoporous $TiO_2$ Beads for High. Efficiency Dye-Sensitized Soalr Cel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 1301-1305. DOI : 10.1002/adfm.200902218 

  7. D. Chen, F. Huang, Y. B. Cheng & R. A. Caruso. (2009). Mesoporous Anatase $TiO_2$ Beads with High Surface Area & Controllable Pore Sizes: A Superior Candidate for High-Performance Dye-Sensitized Soalr Cells. Advanced Materials, 21, 2206-2210. DOI : 10.1002/adma.200802603 

  8. Z. S. Wang, H. Kawauchi, T. Kashima & H. Arakawa. (2004). Significant influence of $TiO_2$ photoelectrode morphology on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N719 dye-sensitized solar cell.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 248, 1381-1389. DOI : 10.1016/j.ccr.2004.03.006 

  9. S. Hore, C. Vetter, C. Prahl, M. Niggemann & R. Kern. (2005). Scattering spherical voids in nanocrystalline $TiO_2$ -enhancement of efficiency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Chemical Communications, 15, 2011-2013. DOI : 10.1039/b418658n 

  10. J. Ferber & J. Luther. (1998). Computer simulation of light scattering & absorp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S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54, 265-275. DOI : 10.1016/s0927-0248(98)00078-6 

  11. A. S. Barnard & L. A. Curtiss. (2005). Prediction of $TiO_2$ Nanoparticle Phase & Shape Transitions Controlled by Surface Chemistry. Nano Letters, 5(7), 1261-1266. DOI : 10.1021/nl050355m 

  12. H. Meng, B. Wang, S. Liu, R. Jiang & H. Long. (2013). Hydrotherm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_2$ /Fe- $TiO_2$ composite catalysts. Ceramics International, 39, 5785-5793. DOI : 10.1016/j.ceramint.2012.12.098 

  13. J. S. Lee, K. H. You & C. B. Park. (2012). Highly Photoactive, Low Bandgap $TiO_2$ Nanoparticles Wrapped by Graphene. Advanced Materials, 24(8), 1133-1137. DOI : 10.1002/adma.201290038 

  14. H. H. Jung, J. H. Kim, J. Hwang, T. Y. Lim & D. G. Choi. (2010) Fabrication of super hydrophilic $TiO_2$ thin film by a liquid phase de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 Crystal Technology, 20(5), 227-231. DOI : 10.6111/jkcgct.2010.20.5.227 

  15. J. H. Kim, H. H. Jung, J. Hwang, Y. Cho & T. Y. Lim. (2010). Properties of $TiO_2$ thin films fabricated with surfactant by a sol-ge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 Crystal Technology, 20(6), 267-271. DOI : 10.6111/jkcgct.2010.20.6.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