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비교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3, 2017년, pp.147 - 152  

송윤희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현장실습교육은 대학생의 직무경험과 경력개발을 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참여가 기업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도권 A대학교의 재학생 1,887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교육 참여 빈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수준 차이가 유의미하게 있었다. 이는 현장실습교육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을 경험하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현장실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증대되는 현장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기초자료로 향후 현장실습교육 설계 및 운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vide programs of field experience for students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field experience o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사소통은 일반적으로 듣기와 읽기의 수용력, 말하기와 듣기의 전달력, 토론과 중재의 조정력 등으로 구분되며 기업조직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개개인의 업무능력을 높이고 조직의 생산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교육이 직무 현황에서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참여가 기업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장실습교육 경험 없음, 1회 경험, 2회 경험, 3회 경험 이상으로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과 융합역량에서 모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의 직무만족 및 향상과 연관이 있는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능력이 현장실습교육에 의해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능력은 직업기초역량이자 직무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계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실습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장실습교육이란 학생, 기업, 학교가 함께 수행하는 산학협력교육으로 학생이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기술을 현장에서 직무를 통해 체험하는 교육제도이다[4]. 현장실습교육은 샌드위치 프로그램(Sandwich Program), 코업프로그램(Co-op Program), 인턴십(Internships) 등 다양한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장실습교육은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현장실습교육은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장실습교육은 학생으로서 전공분야의 직무에 참여함으로 적합한 직업이 무엇인지 발견하게 한다. 또한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실무역량, 진로동기(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를 비교한 결과, 현장실습교육 경험 집단이 현장실습교육이 없는 집단보다 실무역량과 진로동기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 이는 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직업탐색 활동에 더욱 적극적이며 직업에 대해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은 직무경험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소기업에서는 우수한 인재를 검증하고 확보함으로 채용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높일 수 있다[2,6].
현장실습교육은 어떠한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는가? 현장실습교육이란 학생, 기업, 학교가 함께 수행하는 산학협력교육으로 학생이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기술을 현장에서 직무를 통해 체험하는 교육제도이다[4]. 현장실습교육은 샌드위치 프로그램(Sandwich Program), 코업프로그램(Co-op Program), 인턴십(Internships) 등 다양한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장실습교육은 직접 장인을 통해 현장에서 실습하는 중세시대의 도제제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 S. Jang, "An Exploration on the Changes of College Students' Labor Market Preparation Behavi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3, No. 1, pp. 103-118, 2004. 

  2. E. T. Hwang, C. W. Lee and J. Y. Lew, “A Human Resource Staffing Program of SMEs through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 38, No. 1, pp. 49-85, 2016. 

  3. T. N. Garavan and C. Murphy, “The Co-operative Education Process and Organisational Socialisation: A Qualitative Study of Student Perceptions of Its Effectiveness,” Education+Training, Vol. 43, No. 6, pp. 281-302, 2001. DOI : 10.1108/eum0000000005750 

  4. J. Y. Lim, A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of Co-op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6. 

  5. J. You and Y. Song, “Comparing Latent Means on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Groups with and without Field Experienc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1, pp. 183-202, 2007. 

  6. W. J. Wessels and G. E. R. A. L. D. Pumphrey, "The Impact of Cooperative Education on Wages,"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Vol. 32, pp. 36-51, 1996. 

  7. M. Jin, Y. Sohn and H. Chu,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461-486, 2011. 

  8. J. I. Lee and J. H.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1, No. 2, pp. 227-246, 2012. 

  9. W. S. Seung and S. N. Par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on Employment Probability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4, No. 6, pp. 93-113, 2015. 

  10. S. H. Park and M. H. Yon,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 Job Satisfaction: Focused on Corporate Environm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2, pp. 887-910, 2009. 

  11. K. I. Choi, "The Paths of the Effect of School Social Work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Job Satisfaction: Mediative Effect of Trust and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2, No. 1, pp. 145-164, 2010. 

  12. J. M. Le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ir Work,”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Vol. 2, No. 1, pp. 81-97, 2013. 

  13. H. Hong and J. Lee,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9, No. 3, pp. 163-192, 2015. 

  14. J. W. Han, K. M. Park and H. S. Lim, “Capacity Building Measures of SMEs Employee for Spreading the Creative Economy: For focus on Excavation of Convergence Proje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6, pp. 607-614, Jun. 2014. DOI : 10.14400/jdc.2014.12.6.607 

  15. J. Kim, S. Han and M. Won, "Invention of the Self-appraisal Model for Asses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Rhetoric, Vol. 23, pp. 389-422, 2015. 

  16. Y. Song and J. You, A Revised Version of Core Competence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y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