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 진취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Field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Search: Moderating Effect of Enterprising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101 - 110  

남재우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문헌정보학과) ,  최영근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경영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교육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심리적 변인인 진취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3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장실습의 실효성과 기관적합성은 진로탐색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진취성은 조절변수로서 실습실효성과 기관적합성이 진로탐색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장실습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도움을 주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으며, 진취성과 같은 심리적 특성은 진로역량에 작용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대학은 양질의 실습기관 발굴하여 올바른 현장실습 교육을 유지해야 하며, 진로 관련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ield practice on the career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and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sychological variable, enterprising, was tested.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eld practice. An analysis of...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용노동부의 ‘재학생 직무체험’ 프로그램은 인문·사회·예체능계열 2~3학년 재학생들에게 산업현장의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여 조기 진로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 첫째 현장실습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장실습과 진로탐색 관계에서 학생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변인으로 작용할 것을 예측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많은 연구에서 영향력이 입증되었으므로 진로에 작용하는 개인의 또 다른 심리적 변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행동에 있어 현장실습의 긍정적 효과를 검증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진로행동과 개인의 심리적 특성의 상관성을 인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 진취성은 진로관련 학생의 심리적 특성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등의 심리적 변인들이 학생의 진로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9-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발견된 심리적 변수 외 다른 변수를 발견하고자 하고, 또한 새로운 변수를 통해 심리적 변인이 진로탐색에 작용하는 것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래와 같이 가설을(H4∼H6) 구성하였다.
  • ‘진취성’은 기업가정신의 세부 측정항목으로 평소 다른 사람들보다 열정적이고 자신 있게 행동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변수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변수로 판단되어 척도로 설정하였다.
  • 대체로 심리적 변인의 작용이 강할수록 진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9-11].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변수가 아닌 새로운 변수를 대입해 진로행동에 대한 심리적 변인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진취성’을 새로운 심리적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을 경험한 대학생 193명의 진로탐색 인식과 이와 관련된 변인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 둘째, 현장실습과 진로탐색 관계에서 학생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변인으로 작용할 것을 예측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많은 연구에서 영향력이 입증되었으므로 진로에 작용하는 개인의 또 다른 심리적 변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역량 증진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단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 먼저, 연구문제1(Q1)은 현장실습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3개의 하위 가설(H1∼H3)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해서 현장실습의 긍정적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6-8]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설로, 본 연구에서 이를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많은 연구에서 영향력이 입증되었으므로 진로에 작용하는 개인의 또 다른 심리적 변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역량 증진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단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 첫째 현장실습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장실습과 진로탐색 관계에서 학생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변인으로 작용할 것을 예측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 현장실습의 실습실효성은 진로탐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현장실습의 운영적절성은 진로탐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현장실습의 기관적합성은 진로탐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실습실효성과 진로탐색 사이에서 진취성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낼 것이다.
  • H5: 운영적절성과 진로탐색 사이에서 진취성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낼 것이다.
  • H6: 기관적합성과 진로탐색 사이에서 진취성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낼 것이다.
  • Q1: 현장실습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 Q2: 현장실습과 진로탐색 관계에서 진취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은 무엇인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이하 현장실습)은 대학과 실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수업으로 실습기관에서 실무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학점을 부여하는 산학협력 교육과정이다. 현장실습은 운영 시점과 기간에 따라 학기제(1학기·2학기), 계절제(하계·동계 계절학기) 현장실습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이 재학기간 중 실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현장실습교육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심리적 변인인 진취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이를 위해 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3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장실습의 실효성과 기관적합성은 진로탐색 역량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진취성은 조절변수로서 실습실효성과 기관적합성이 진로탐색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장실습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도움을 주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으며, 진취성과 같은 심리적 특성은 진로역량에 작용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대학은 양질의 실습기관 발굴하여 올바른 현장실습 교육을 유지해야 하며, 진로 관련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장실습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이하 현장실습)은 대학과 실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수업으로 실습기관에서 실무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학점을 부여하는 산학협력 교육과정이다. 현장실습은 운영 시점과 기간에 따라 학기제(1학기·2학기), 계절제(하계·동계 계절학기) 현장실습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이 재학기간 중 실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gulations on college student field practice.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16-89. http://www.law.go.kr 

  2. Ministry of Education. (2017). College Field Practice Manual: Guide for school practitioners on college field practice,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3.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dustrial Education Enhancement and Industry-academia-research Coperation Promotion Act. Act No. 15041. http://www.law.go.kr 

  4.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igher Education Act. Act No. 15948. http://www.law.go.kr 

  5.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Private School Act. Act No. 16439. http://www.law.go.kr 

  6. J. W. Yu & Y. H. Song. (2017). Comparing Latent Means on Job Competencie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Groups with and Without Field Experienc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1), 181-200. DOI : 10.32341/JCER.2017.03.30.1.181 

  7. M. N. Lee & J. W. Yu. (2019). The Effect of Field Experience on Job Competency and Career Insight for Students in a College of Natural Scienc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1), 99-118. DOI : 10.32341/JCER.2019.03.32.1.99 

  8. H. J. Cho. (2010).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Field Practice Program on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Ego-Ident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7), 47-76. 

  9. J. Y. Moon & K. S. Jung. (2018). The Effect of Internship Satisfaction Rates and Social Support on Employment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1), 365-389. DOI : 10.21509/KJYS.2018.01.25.1.365 

  10. K. O, Son. (2011).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2(1), 1-15. 

  11. H. B. Park & E. R. Son. (2019).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Involvement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6(8), 157-182. DOI : 10.21509/KJYS.2019.08.26.8.157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ield Practice operation statu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13. 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ICT Credit Link Project Internship. 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http://internnet.hanium.or.kr 

  14.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Major Activities.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http://kiat.or.kr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ork experience. Small Business Visit Program.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ttps://www.work.go.kr/experi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Employment and Labor White Paper. Sejong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Quality work experience expansion plan. Sejong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8. J. I. Kim & H. Y. Ga. (2019). The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College Student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Sex.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 430-444. 

  19. M. J. Baek, M. S. Park & K. A. Kwon.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Up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7(3), 431-449. 

  20. T. E. Ahn & J. H. Park. (2018).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2), 177-192. 

  21. J. E. Jung & C. Y. Jung. (2017).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Competencies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9(3), 91-111. 

  22.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3. M. N. Lee & J. W. Yu. (2019). The Effect of Field Experience on Job Competency and Career Insight for Students in a College of Natural Scienc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1), 99-118. DOI : 10.32341/JCER.2019.03.32.1.99 

  24. H. J. Cho. (2010).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Field Practice Program on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Ego-Ident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7), 4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