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인증제도의 국내외 비교 연구 -한국, 미국 및 호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Systems Focusing on Korea, the U.S., and Australi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27 - 38  

유선주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묘경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김유미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최윤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인증제도와 미국과 호주의 의료기관인증제도 및 국제의료질향상학회의 국제인증프로그램에 대해 비교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 및 지역사회 중심의 관점 강화, 인력배치 기준 강화 등 의료기관 인증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의료기관인증제도를 통한 환자안전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의료기관인증제도와 임상질지표 및 환자경험평가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조사위원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중소병원의 인증제도 참여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의료 질 평가 결과 공개의 강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인증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new policies f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HAP)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domestic HAP of Korea, the U. S. and Australia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Program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lth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국내 의료기관인증제도와 주요국의 의료기관인증제도 및 IAP를 비교하여 우리나라 의료기관인증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따라서 인증을 재정보상과 연계하여 중소병원이 인증을 받도록 하는 기제를 마련하도록 권고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전반에 걸쳐 질에 대한 관심을 형성하도록 인증제도를 일차 의료기관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42].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인증제도, 주요국의 의료기관인증제도 및 IAP를 고찰하여 향후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종설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와 주요국의 의료기관인증제도와 국제인증프로그램(IAP)을 비교, 검토하여 우리나라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와 주요국의 의료기관인증제도와 국제인증프로그램(IAP)을 비교, 검토하여 우리나라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의료기관인증제도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인증제도에 대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 일환으로 국내와 주요국의 의료기관인증제도와 IAP를 고찰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최초의 의료기관인증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기제로 의료기관인증제도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1951년 미국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s(JCAH, 현재의 The Joint Commission)의 인증프로그램을 최초로 1990년 이전에는 5개 정도의 의료기관인증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수준에 불과하였지만, 1990년 이후에는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인증프로그램의 수가 급증하여 현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다[1-5].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의료기관이 최소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조사하는 면허(License) 제도와는 달리, 의료기관인증제도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적정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증진하고 의료의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2,3,6]. 의료기관인증제도는 공급자 위주에서 소비자 위주로, 의료제공자 위주에서 환자 중심의 의료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온 제도라고 할 수 있으며, 보건의료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 차원의 의료서비스 질 평가 및 관리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7,8].
최초의 우리나라 의료기관인증제도는 무엇인가?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의료 질 평가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가 시작되었다. 1995년부터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 시범사업이 실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2004년 의료법에 의거 의료기관의 ‘자발적 질 향상’을 유도하고 의료 질에 대한 사회적 책임으로서 ‘국민의 알 권리’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의료기관평가제도’가 시작되었다. 평가결과가 공표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병원들이 지속적인 질 향상 활동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 D. Shaw. (2003). Evaluating accred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5(6), 455-456. DOI : 10.1093/intqhc/mzg092 

  2. C. D. Shaw. (2004). Toolkit for Accreditation Programs: Some Issues in the Design and Redesign of External Health Care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s.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10-11. 

  3. E. Jaafaripooyan, D. Agrizzi & F. Akbari-Haghighi. (2001).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s: Further Perspectives on Performance Meas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 Health Care, 23(6), 645-656. DOI : 10.1093/intqhc/mzr063 

  4. E. K. Kim, Y. M. Kim, S. H. Park, Y. K. Choi & J. H. Hwang. (2014). Quality Management in Health Care Organization. Seoul : Koonja publication. 

  5. C. D. Shaw, B. Kutryba, J. Braithwaite, M. Bedlicki & A. Warunek. (2010). Sustainable Healthcare Accreditation: Messages from Europe in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 Health Care, 22(5), 341-350. DOI : 10.1093/intqhc/mzq043 

  6. Y. Kim, S. I. Lee, C. H. Kim, M. A. Kang, E. K. Kim, Y. D. Kwon & H. J. Jin. (2017).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D. Greenfield & J. Braithwaite. (2008). Health Sector Accreditation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3), 172-183. DOI : 10.1093/intqhc/mzn005 

  8. Y. D. Kwon. (2006).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Hospital: Its Necessity, History and Tas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2(2), 27-54. 

  9. KHIDI. (2007). Korean Healthcare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ttps://www.khidi.or.kr/board?menuIdMENU00781&siteIdnull 

  10. K. S. Kim. (2015). Change and Strategies in 2nd Cycle of long-term care hospital accredita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 65-70. 

  11.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6).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Programme (IAP). ISQUA. http://www.isqua.org/accreditation-iap/reference-materials 

  12.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 Guidelines and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Social Care Standards 4th Edition Version 1.2, September 2015. ISQUA. http://www.isqua.org/accreditation-iap/reference-materials 

  13.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 IAP Awarded Organization, Standards and Surveyor Training Programmes. ISQUA. http://www.isqua.org/accreditation-iap/Accredited-by-ISQua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History of the KOIHA..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https://www.koiha.or.kr/member/kr/contents/sub01/sub01_04.do 

  15. Y. K. Lee. (2017). Comparison of Accreditation system of Domestic and Overseas Medical Institutions. The 2017, Korean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Spring Congress Materials, 46-79. 

  16. J. Y. Yoo & J. H. Lee. (2015). Complex impact of Patient Safety and Medical Quality on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Healthcare Accreditation Adop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283-292. DOI : 10.14400/JDC.2015.13.7.283 

  17. S. C. Kim et al. (2014). Activation Plan for Participation of Hospital Accreditation System.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eoul. 

  18. K. Brubakk, G. E. Vist, G. Bukholm, P. Barach & O. Tjomsland. (2015). A Systematic Review of Hospital Accreditation: The Challenges of Measuring Complex Intervention Effects. BMC Health Service Research, 15(1), 1-10. DOI : 10.1186/s12913-015-0933-x 

  19. H. S. Lee & Y. J. Yang. (2014). The Effects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on Hospital Employees' Satisfaction Level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431-443. DOI : 10.14400/JDPM.2014.12.1.431 

  20. B. J. Hwang & J. Y. Kim. (2015).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0(1), 209-232. 

  21. M. J. Kim & J. S. Choi. (2015). Effects of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2), 87-95. DOI : 10.5953/JMJH.2015.22.2.87 

  22. C. Y. Kim. (2009). Theories of Health Security. Paju : Hanulbooks. 

  23. S. I. Lee. (2013). Healthcare Quality Management.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2009 Survey Report. Seoul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What is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https://www.koiha.or.kr/member/kr/contents/sub02/sub02_01_01.do 

  2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Standards of hospital accreditation survey (version 2.0).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7. K. S. Kim. (2015). Changes and Strategies in 2nd cycle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 65-70. 

  28.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2007). Standards for Designation of Tertiary Hospit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www.korealaw.go.kr/lsInfoP.do?lsiSeq191727&efYd#0000 

  29.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2017). Standards for Designation of Special Hospit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www.korealaw.go.kr/lsInfoP.do?lsiSeq158783&chrClsCd010204#0000 

  30. M. J. Kim, Y. M. Jung, K. S. Kim & S. H. Lee. (2015). An Analysis of Accreditation Preparation Process and Costs i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3), 45-55. 

  31. The Joint Commission. (2016). Our History. The Joint Commission. https://www.jointcommission.org/assets/1/6/TJC-history-timeline_through_20161.PDF 

  32. The Joint Commission. (2016). 2016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Decision Rules. The Joint Commission. http://www.jointcommission.org/assets/1/6/2016_Accreditation_Cert_Decision_Rules.pdf 

  33. Australian Council on Hospital Standards. (2017). EQUip6. Safety Quality Performance. http://www.achs.org.au/media/114456/equip6_information_pack_final.pdf 

  34. Australian Council on Hospital Standards. (2015). The National Safety and Quality Health Service Standards. NSQHS. http://www.achs.org.au/media/99777/achs_nsqhss_brochure._june_2015.pdf 

  35. Australian Council on Hospital Standards. (2017). EQuIPNational. ACHS. http://www.achs.org.au/publications-resources/equipnational/ 

  36. Australian Council on Hospital Standards. (2017). National Report on Health Services Accreditation Performance 2011 - 2012. ACHS. http://www.achs.org.au/publications-resources/national-report-on-health-services-accreditation-performance/ 

  37.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External Evaluation Organisations, 4th Edition Version 1.2, September 2015. ISQUA. http://www.isqua.org/accreditation-iap/reference-materials 

  38.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Surveyor Training Programmes 3rd Edition, Version 1.0, September 2016. ISQUA. http://www.isqua.org/accreditation-iap/reference-materials 

  39. K. S. Kim, Y. K. Choi, J. W. Ahn, E. H. Jung & E. S. Kim. (2015). A Survey on Nursing Organizational Service for Foreign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53-66. 

  40. Joint Commission of Taiwan. (2015). Patient Safety System. Patient Safety System. http://www.tjcha.org.tw/FrontStage/patient_safety_en.html 

  41. G. Menegazzi et al. (2016). The Impact of Accreditation for Excellence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an Italian Hospit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6(1). DOI : 10.1093/eurpub/ckw174.007 

  42. OECD. (2012). OECD Reviews of Health Care Quality : Korea-Raising Standards. Paris : OECD Publishing. DOI : 10.1787/9789264173446-en 

  43. S. E. Lee. (2017). Patient-centered medical institution Appropriateness evaluation is introduce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38207 

  44. K. S. Kim & S. H. Lee.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as Surveyor and Reliability of Surveyors in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5(3), 229-239. DOI : 10.4332/KJHPA.2015.25.3.229 

  45. Korea Gallop. (2017). National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2017.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Korea Gallo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