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Healthcare Accreditation in Korea: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Ahead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3, 2018년, pp.251 - 256  

이상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igin of hospital accreditation in Korea is the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of the Korea Hospital Association. Current accredit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as succeeded in stimulating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participating hospital...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의료기관 인증에 대한 기존 문헌을 검토하여 인증의 여러 유형 중 전반적 진료기능에 대한 인증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의료기관 인증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의료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대표적 기관? 의료기관 인증은 의료기관의 기능에 따라 진료, 교육훈련, 연구 분야의 인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인증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The Joint Commission (TJC),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과 Association for the Accreditation of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이 있다. 의료기관의 진료기능에 대한 인증은 다시 전반적 진료기능에 대한 인증(general accreditation)과 특정 영역의 진료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specific accreditation)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료기관 인증이란? 의료기관 인증(accreditation)은 ‘한 의료기관의 성과수준을 기관 외부의 동료가 인증기준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기관이 인증기준을 성취하고 있음을 공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의료기관 허가(licensure)는 정부가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기준을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하는 반면에, 의료기관 인증은 통상적으로 비정부기구가 사업을 주관하며 의료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의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가와 차이가 있다[2].
의료기관 인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의료기관 인증은 의료기관의 기능에 따라 진료, 교육훈련, 연구 분야의 인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인증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The Joint Commission (TJC),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과 Association for the Accreditation of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haw CD. Toolkit for accreditation programs: some issues in the design and redesign of external health care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s. Dublin: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4. 

  2. Roa DV, Rooney A. Improving health services delivery with accredita- tion, licensure and certifcation. QA Brief 1999;8(2):4-11. 

  3. Lee SI.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hospital standardization program. Health Insur Res 2000;4:105-119. 

  4. Lee SH. Te policies related to quality and patient safety and their impacts on hospital management: past, present and future. Korean J Hosp Manag 2015;20:51-70. 

  5. Lee SH. Progress and future direc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service evaluation program. Health Insur Res 2000;4:121-155. 

  6. Nicklin W, Fortune T, van Ostenberg P, O'Connor E, McCauley N. Leveraging the full value and impact of accreditation. Int J Qual Health Care 2017;29(2):310-312. DOI: https://doi.org/10.1093/intqhc/mzx010. 

  7. Park IT, Jung YY, Park SH, Hwang JH, Suk SH.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using a systematic review: balanced score card perspective. Qual Improv Health Care 2017;23(1):69-90. DOI: https://doi.org/10.14371/qih.2017.23.1.69. 

  8. Hinchclif R, Greenfeld D, Moldovan M, Westbrook JI, Pawsey M, Mumford V, et al. Narrative synthesis of health service accreditation literature. BMJ Qual Saf 2012;21(12):979-991. DOI: https://doi.org/10.1136/bmjqs-2012-000852. 

  9. Mumford V, Forde K, Greenfeld D, Hinchclif R, Braithwaite J. Health services accreditation: what is the evidence that the benefts justify the costs? Int J Qual Health Care 2013;25(5):606-620. DOI: https://doi.org/10.1093/intqhc/mzt059. 

  10. Mannion R, Braithwaite J. Unintended consequenc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healthcare: 20 salutary lessons from the English National Health Service. Intern Med J 2012;42(5):569-574. DOI: https://doi.org/10.1111/ j.1445-5994.2012.02766.x. 

  11. Suk SH. Improvements during the second cycle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toward the global standard f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healthcare. J Korean Med Assoc 2014;57(8):646-649. DOI: https://doi.org/10.5124/jkma.2014.57.8.646. 

  12.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Presentations in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for the third cycle healthcare accreditation [Internet]. Seoul: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2018 [cited 2018 Jul 11]. Available from: http://bogun.nodong.org/xe/index.php?document_srl488890&midkhmwu_6_1. 

  13. Gallup Korea. Public awareness survey on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cited 2018 Jul 11].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member/kr/board/rschReport/rschReport_BoardView.do. 

  14. O'Beirne M, Zwicker K, Sterling PD, Lait J, Lee Robertson H, Oelke ND. Te status of accreditation in primary care. Qual Prim Care 2013;21(1):23- 31. 

  15. Kim JY.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consumer. Trend Consum Policy 2011;20:15-27. 

  16.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bout the national quality strategy [Internet].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7 [cited 2018 Jul 11].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workingforquality/about/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