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회전익 항공기의 조종입력과 지상 활주 속도를 바탕으로 해석을 통하여 전선절단기 길이를 제시하였다.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서 적용되는 전선절단기가 적절한 길이로 선정되지 않을 경우 블레이드와 충돌가능성 생기거나 전선에 의해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개발에서 사용된 조종입력을 분석하여 지상 활주에 필요한 조종입력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 40, 60 kts 지상 활주 속도별로 해석을 통하여 블레이드와 전선절단기 충돌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후, 이 결과를 항공기 모사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결과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상 활주 간 모든 조종입력 범위에 대해 충돌을 피하기 위한 전선절단기 축소 길이와 이 경우 공중비행 시 생기는 비보호구역의 증가량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hows a length of wirecutter using an analysis based on Rotorcraft's control input and taxiing speed. In case of selecting an inappropriate length of wirecutter which applies to rotorcraft for safety, this causes a collision between blade and wirecuter, or an accident by wire. We review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수행된 시험 및 해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블레이드 플래핑과 조종 입력을 고려한 전선절단기 길이 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항공기 안전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할 수 있다.
  •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면은 조종사의 조종 입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와 전선절단기 충돌가능성이 있는 지상 활주 조건에서 조종 입력에 따른 안전영역 검증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 스틱(Safety Stick)을 활용한 전선절단기-블레이드 충돌 모사 시험과 조종 입력, 활주 속도 등을 고려한 해석을 통하여 조종 입력에 따른 전선절단기 길이를 산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항공기 안전영역에 대한 유효성역시 검증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운용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개발에서 확보된 조종 입력을 바탕으로 해석을 통하여 지상 활주속도 별 블레이드, 전선절단기 충돌 예측 점을 확인하였으며, 항공기 충돌 모사 시험을 실시하여 해석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조종 입력 별로 충돌이 일어날 경우에, 이를 피하기 위한 전선절단기 축소 길이와 전선절단기 축소로 인해 공중비행 시 생길 수밖에 없는 비보호구역의 증가량을 동시에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선절단기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본 논문의 회전익기는 조종실 상부 구조물에 장착된 상부 전선절단기와 보조착륙장치 전방에 장착된 하부 전선절단기가 있으며, 각 전선절단기는 Fig. 1과 같이 전선을 커터(Cutter)로 인도하는 조향기(Deflector)와 직접 전선을 절단하는 커터로 구성되어 있다. 전선절단기는 항공기가 저고도 저속 비행 시, 전선 충돌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장비이며 최대 약 50kts의 헬기 속도에서 극한인장력의 강철선 절단이 가능토록 설계되어있다[1].
회전익 항공기에 왜 전선절단기(WireCutter)가 설치되어있는가? 회전익 항공기는 고정익 항공기와 달리 지상에 근접하여 수행하는 임무가 많으며 위급한 상황에서 조종사 탈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전선절단기(WireCutter)가 항공기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어떤 경우 전선절단기와 블레이드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가? 회전익기는 피치(Pitch)와 롤(Roll) 운동을 조종하는 사이클릭 조종간과 수직운동을 조종하는 컬렉티브 조종간의 조합으로 로터계통의 움직임이 생기며, 두 조종간의 조종 입력은 조종사의 조종특성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즉, 조종사들이 지상에서 필요한 속도, 임무 환경등에 따라 다양한 조종 입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블레이드 회전면의 과도한 기울어짐을 만든다. 이 경우 전선절단기와 블레이드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elicopter, Utility,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1520-4001-2, 2013. 

  2. Y.J. Kim, S.G. Lee, S.J. Lee, I.K. Chang and D.S. Shim, "Prediction of the Blade Flapping Angle for Korean Utility Helicopter by Applying Indirect Method", J.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 43(10), 2015, pp. 888-895 

  3. TM55-6930-217-10, Technical Manual Operator's Manual for UH-60 Aeromed Flight Simulator, 1989 

  4. FAA-H-8080-21A, U.S Departe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s 2012 

  5. AH-KAI Engineering Coordination Memo. 

  6. Federal Aviation Regulation 29 Airworthiness Standard, 29.661 Rotor Blade Clearance, 2014 

  7. Helicopter Aerodynamics, Raymond W. Prou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