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참여형 유역관리를 위한 하천모니터링 활동의 적용가능성 연구 - 무심천유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iver Monitoring Activities for Residents Participatory Watershed Management - Focusing on the Musim River Basins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1, 2017년, pp.57 - 67  

이은정 (충북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 유역관리정책을 보면, 조류 중점관리 지류 선정, 지류총량제 시범적용 등 중앙정부 주도의 본류중심 관리에서 소단위 지류 지천 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발맞춰 소단위 하천을 대상으로 일상적, 자발적, 맞춤형 관리가 가능하도록 주민참여형 유역관리방안을 설계 및 제안한 후, 주민이 참여하는 하천모니터링 활동을 무심천유역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총 30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주민 1명씩 배치하여 격주로 총 10회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문서화되지 않은 실제 유역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사각지대의 오염원 실태를 통해 소단위유역별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조사 내용이 각종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상향식 접근이 가능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유역관리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ooking at the watershed management policy in Korea, It is preparing to manage sub-watershed and tributary from the government-led mainstream management, such as the selection of algae focused management tributary, application of tributary-TMDLs. At this point, this study is attempted to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 절에서 정리한 모니터링 기록지로부터 무심천의 구간·항목별로 점수화한 결과를 활용하여 물환 경관련 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 또한 마을 주민들의 낮은 환경의식을 지적하면서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2주일에 한번 참여하는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지역의 환경리더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무심천 유역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을 수행하고자 현장 답사를 하면서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쓰레기, 퇴비 방치, 하천변 무단경작 등 유역 오염원에 대한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 하천인 무심천 유역의 현장 조사 결과와 청주시에서 제공한 축산계 오염원조사 자료(2015년 7 월 15일 기준)와 비교하여 오염원 조사자료에 누락되어 있는 무허가시설을 확인하고자 계획하였으며, 그외의 사각지대에 있는 오염원을 조사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문제해결방안이 가장 바람직하고 지속가능하다는 선진 유역관리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하천모니터링 활동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얻어진 하천 현황 기록지, 오염원조사지도 등을 취합하여 분석한 후, 주민 참여형 유역관리 방안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주민하천관리단은 총 10회의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해당 구간별 하천 현황 및 관리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규명, 사각지대 관리를 위해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오염원을 조사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지각 및 의식수준을 높이고, 유역관리의 중심적, 일상적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염총량관리제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는가? 특히, 1990년대까지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 개별 오염원에 대해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최대허용 농도인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배출농도 규제방식이 수질관리의 주를 이루었는데, 이러한 농도규제 정책은 오염물질의 양적 증가를 억제할 수 없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면서도 수질개선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유역관리방안으로 유역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오염총량관리제를 2000년대부터 도입하여 현재 3단계(2016~2020)가 시행되고 있으 며, 약 10년동안 시행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이 약 60.4% 수준으로 감소되었다고 제시된 바 있다 (KEITI 2016).
90년대 이전의 농도규제 정책은 어떤 방식이 수질관리의 주를 이루었는가? 특히, 1990년대까지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 개별 오염원에 대해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최대허용 농도인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여 적용하는 배출농도 규제방식이 수질관리의 주를 이루었는데, 이러한 농도규제 정책은 오염물질의 양적 증가를 억제할 수 없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면서도 수질개선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유역관리방안으로 유역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오염총량관리제를 2000년대부터 도입하여 현재 3단계(2016~2020)가 시행되고 있으 며, 약 10년동안 시행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이 약 60.
1990년대 우리나라 물환경제도의 변천과정은 어떠하였는가? 우리나라 유역관리를 위한 물환경제도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970년대에는 급속한 경제성장 정책을 중심으로 환경오염이 시작되면서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소극적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되었으며, 1980 년대의 경우,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보전법”을 제정함으로써 좀 더 적극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 낙동강 페놀사건으로 인하여 체계적인 “환경정책기본법”이 제정되면서, 1995년 환경처 에서 환경부로 승격되었으며, 4대강 수질개선대책 수립 등 점오염원 관리 중심의 배출규제 정책으로 수질개선을 위하여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기도 하였다. 이후, 2000년대에 팔당댐 주변에 무분별한 개발이 확산되면서, 수변구역제도, 오염총량관리제, 수계관 리위원회 등 새로운 유역단위 관리체제 구축을 위해 “환경정책기본법”을 개정하고, “4대강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ungbuk Research Institute. 2015. The diagonosis and countermeasures of the second stage total water load management system in chungbuk. [Korean Literature] 

  2. Chungcheongbuk-do. 2015. The Chungbuk 3rd TMDL Report in Geum river basins. [Korean Literature] 

  3. EPA. 1997. Top 10 Watershed Lessons Learned. 

  4. Geum river management committee. 2015. A study on watershed management plan for the Miho river basin with resident's participation. [Korean Literature] 

  5. Geum river management committee, Choengju university. 2015. Documentation of Resident river management team workshop in Miho river basins. [Korean Literature] 

  6. Han YH. 2014. Scheme of Tributary-TMDLs in Gangwon Province -Focused on Songcheon watershed-.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Korean Literature] 

  7. KEITI. 2016. http://blog.naver.com/lovekeit. 

  8.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TMDLs explanation book. [Korean Literature] 

  9. NIER. 2012. A study on Eco-friendly watershed management for coexisting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Korean Literature] 

  10. Ostrom, Elinor. 2008. "Building trust to solve commons dilemmas: Taking small steps to test an evolving theory of collective action" Papers presented in Workshop in Political Theory and Policy Anaysis(W08-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