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Nursing Intervention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1, 2017년, pp.18 - 29  

지혜림 (부산대학교병원) ,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nursing care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s' safety and prevent complications, becaus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s becoming a common treatment for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알고리즘 개발과정은 Yang과 Jang [30], Lee와 Kim [22]의 알고리즘 개발 및 도출과정과 유사한 단계를 거쳤다. 그러나 선행 연구는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에서한 의료기관의 전문가 집단에 국한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 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일반화를 위해 부산ㆍ경남 지역의 5개 대학교병원의 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중환자전문간 호사를 포함한 경력 5년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전문가 집단에 포함하여 보다 적용가능성이 높고 일반화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알고리즘의 각 항목에 대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된 알고리즘을 간호 사와 환자를 대상으로 실무 적합성 검증 과정을 한 번 더 거쳐 임상간호실무를 반영한 최종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체계적인 임상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문헌고찰, 간호사 면담,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간호사의 임상실무 적합성 검증 과정을 거쳤다. 또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환자에게 천자 부위의 출혈합병증과 요통 및 불편감을 평가하는 실무 적합성 검증을 거친 후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최종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국내외 실무지침을 포함한 최신의 문헌을 고찰하고 국내 임상 상황을 반영한 간호중재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따라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환자의 상태 변화나 잠재적인 출혈합병증을 사정, 인지하며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알고리즘과 같은 지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지침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출혈합병증의 발생위험이 큰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전문가 내용 타당도가 검증된 알고리 즘을 환자에게 직접 적용하여 임상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 하였고, 알고리즘 적용 전ㆍ후의 출혈합병증 증가 없이 요통과 불편감의 감소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관련된 국내의 임상실무지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관련된 국내의 임상실무지침으로는 허혈성 심질환 표준진료 권고안[15]이 있으며 그 안에는 급성 관동맥증후군에 대한 치료권고안, 관상동맥중재술의 권고안과 안정형 협심증의 권고안 등이 있다. 이러한 지침은 의사의 진료지침에 준하여 제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간호사가 간호중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는 않는다. 국외의 경우 미국심장학회재단/미국심장 협회의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가이드라인[16]이 있으나 천자 부위의 출혈합병증과 위험요소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어 환자의 통증이나 불편감 완화를 위한 지침으로는 제한이 있다.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관련된 국내의 임상실무지침으로는 무엇이 있나?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관련된 국내의 임상실무지침으로는 허혈성 심질환 표준진료 권고안[15]이 있으며 그 안에는 급성 관동맥증후군에 대한 치료권고안, 관상동맥중재술의 권고안과 안정형 협심증의 권고안 등이 있다. 이러한 지침은 의사의 진료지침에 준하여 제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간호사가 간호중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는 않는다.
관상동맥질환이란 무엇인가? 관상동맥질환은 죽상종 생성으로 인한 관상동맥 내막의 동맥경화로 인하여 혈관내관이 좁아져 혈류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1], 생활양식과 식생활의 서구화와 고령화 사회로의 빠른 변화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3위인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는 수는 인구 10만 명당 2003년에 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YW.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1st ed. Seoul: Iljogak; 2001. p. 228. 

  2. Statistics Korea. 2013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September 23]. Avilable from: kostat.go.kr/smart/news/file_dn.jsp?aSeq329181&ord1. 

  3. Odell A, Grip L, Hallberg LR.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Experiences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6;5(2):150-157. http://dx.doi.org/10.1016/j.ejcnurse.2005.10.004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dequacy assessment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cited 2014 December 12].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e/diag/getDiagEvlList.do?pgmid HIRAA030004000000. 

  5. Kee EJ. A study for discomfort and bleeding complications during absolute bed rest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01. p. 2. 

  6. Brueck M, Bandorski D, Kramer W, Wieczorek M, Holtgen R, Tillmanns H. A randomized comparison of transradial versus transfemoral approach for coronary angiography and angioplast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ardiovascular Interventions. 2009;2(11):1047-1054. http://dx.doi.org/10.1016/j.jcin.2009.07.016 

  7. Jones I, Goode 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Nursing Times. 2003;99(27):46-47. 

  8. Reynolds S, Waterhouse K, Miller KH. Head of bed elevation, early walking, and patient comfort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01;20(3):44-51. 

  9. Rezaei-Adaryani M, Ahmadi F, Asghari-Jafarabadi M. The effect of changing position and early ambulation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on patients' outcomes: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8):1047-105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2.004 

  10. Yun SY, Cho BH. The effects of heat therapy on low back pa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48-355. 

  11. Kim MH, Han MJ, Lee JE, Lee JM. Effects of exercise and ice pack therapy on discomfort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185-196. 

  12. Nam SY, Choi-Kwon SM. The effects of fowler's position change on back pain and discomfort of the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0;7(1):55-64. 

  13. Enc N, Umman S, Agirbasli M, Altiok MG, Senuzun F, Uysal H, et al. Nursing care guidelines in percutaneous coronary and valvular intervention. Turkish Society of Cardiology. 2007: 1-30. 

  14. Shoulders-Odom B. Management of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Critical Care Nurse. 2008;28 (5):26-42. 

  15. Park SJ, Kim YH, Park DW, Kang HJ, Gwon HC, Kim GS, et al. Ischemic heart disease standard treatment recommendations. Seoul: Ischemic Heart Disease Clinical Research Center;2007. p. 1-38. 

  16. Levine GN, Bates ER, Blankenship JC, Bailey SR, Bittl JA, Cercek B, et al. 2011 ACCF/AHA/SCAI guideline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1;58(24):e44-e122. http://dx.doi.org/10.1016/j.jacc.2011.08.007 

  17. Rolley JX, Salamonson Y, Dennison CR, Davidson PM. Nursing care practices following a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Results of a survey of Australian and New Zealand cardiovascular nurse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0;25(1):75-84.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1bb419d 

  18. Courtney M.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Marrickville: Churchill Livingstone; 2005. 

  19. Dickerson SS, Sackett K, Jones JM, Brewer C. Guidelines for evaluating tools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Nurse Educator. 2001;26(5):215-220. 

  20. Rycroft-Malone J, Fontenla M, Seers K, Bick D. Protocol-based care: The standardisation of decision-mak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0):1490-1500. http://dx.doi.org/10.1111/j.1365-2602.2008.02605.x 

  21.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7;30(4):459-467. http://dx.doi.org/10.1002/nur.20199 

  22. Lee HJ, Kim DH. Development of a nasogastric tube feeding algorithm to prevent aspiration pneumonia.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4;7(1):1-10. 

  23. Lee EJ. A study on the effect of massage and exercise on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97;3 (2):81-94. 

  24. Park JS, Kim ES, Park CJ. The effects of the slow stroke back massage on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4;9(2):56-67. 

  25. Harper JP. Post-diagnostic cardiac catheteriz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vidence-based standard of car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07;23(6):271-276. http://dx.doi.org/10.1097/01.NND.0000300833.54159.12 

  26. Reynolds HR, Hochman JS. Cardiogenic shock: Current concepts and improving outcomes. Circulation. 2008;117(5):686-697.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6.613596 

  27. Dumont CJ. Blood pressure and risks of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07;26(3):121-127. http://dx.doi.org/10.1097/01.DCC.0000267807.95228.2e 

  28. Mohammady M, Atoof F, Sari AA, Zolfaghari M. Bed rest duration after sheath removal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3(11-12):1476-1485. http://dx.doi.org/10.1111/jocn.12313 

  29. Tongsai S, Thamlikitkul V. The safety of early versus late ambulation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9):1084-1090.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2.03.012 

  30. Yang JJ, Jang KS.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491-5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