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유무에 따른 황기 추출물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and Dried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1, 2017년, pp.65 - 71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raw Astragalus membranaceus as a food ingredient. Methods: Raw and dried A. membranaceus water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조하여 포장 판매되는 한약재는 저장과 유통에 유리하지만 음식의 조리에 부재료로 첨가되는 한약재들은 건조 전 상품을 사용할 때 고유의 향이나 맛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질감도 비교적 부드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조과정에서 변화되는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생황기와 건황기의 수분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에 대한 항균특성 실험을 진행하였고, 추출물의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황기를 이용한 식품 및 음식 개발 시 건조하지 않은 황기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조 시 변화되는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식품으로써 황기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생황기와 건황기의 수분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에 대한 항균특성 실험과 추출물의 관능특성을 평가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수분함량측정 결과 생황기의 수분함량은 6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 가공시 건조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약재 가공시 건조방법으로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전기건조 등의 방법이 있으며 대부분 농가에서는 자연건조와 60°C 이하의 열풍건조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황기는 뿌리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피를 제거하여 사용하는데 가공공정 중 세척시간이 너무 길면 약리성분이 용출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진행하여야 한다.
황기란 무엇인가? 황기는 기운을 보충해주는 효능이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로 isoflavone 배당체와 saponin을 함유하며 한방에서는 지한,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약리 실험에서도 이뇨, 강장, 혈압강하, 혈당강하, 면역증강,항종양,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Lee YE & Hong SH 2003) 간기능에 도움을 주는 물질과 isoflavone 성분도 함유하고 있다(Baek NI 등 1996, Kim JS & Kim CS 1997).
황기의 효능은? 황기는 기운을 보충해주는 효능이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로 isoflavone 배당체와 saponin을 함유하며 한방에서는 지한,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약리 실험에서도 이뇨, 강장, 혈압강하, 혈당강하, 면역증강,항종양,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Lee YE & Hong SH 2003) 간기능에 도움을 주는 물질과 isoflavone 성분도 함유하고 있다(Baek NI 등 1996, Kim JS & Kim CS 1997). 국내산 황기는 3년근 이상으로 수확 후 흙을 털고 살수 세척기로 거피가 되지 않도록 신속히 세척한 후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주로 40°C의 온풍건조를 하여 판매한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127-130, 788. 

  2. Baek NI. Kim YS, Kyung JS, Park KH. 1996. Isolation of antihepatotoxic agent from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Pharmacogn 27(2):111-116.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Chang HS, Choi I. 201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261-269. 

  5. Choi CS, Song ES, Kim JS,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6):1216-1220. 

  6.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a.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hus javanica Linne on edible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4(4):320-325. 

  7.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b.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2):142-148. 

  8. Doh ES.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o S. aureus KCCM12256 and V. parahaemolyticus KCCM1196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6):881-887. 

  9. Eom HJ, Kim SM, Pyo BS, Lee K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b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ean J Pharmacogn 40(3):178-183. 

  10.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239-243. 

  11. Goh EJ, Seong ES, Lee JG, Na JK, Lim JD, Kim MJ, Kim NY, Lee GH, Seo JS, Choi DS, Chung IM, Yu C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ccording to peeling and cultivated year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s. Korean J Med Corp Sci 17(4):233-237. 

  12. Ha DC, Lee JW, Do JH, Park CK, Ryu GH. 2004.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741-746. 

  13. Jang YJ, Kim EJ, Choi YH, Choi HS, Song J, Choi JH, Park SY.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Korean J Food Preserv 21(6):885-891. 

  14. Jung DW, Park YK, Nam SS, Han SK. 2015.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sweetpotato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22(5):708-713. 

  15. Jung IC, Sohn HY. 2014. Antioxidation,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3):285-292. 

  16. Kang MH, Choi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r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6):1098-1102.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333-338. 

  18. Kim HS, Lim JM, Kwon HJ, Yoo JY, Park PS, Choi YH, Choi JH, Park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r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Preserv 20(4):467-474. 

  19. Kim JS, Kim CS. 1997.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I). Korean J Pharmacogn 28(2):75-79. 

  20. Kim MS, Lee DC, Hong JE, Chang IS, Cho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949-958. 

  21. Kim SJ, Park JH, Choi SY, Kim KU. 2006.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 in leaves and stem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Korean J Corp Sci 51(S):251-254. 

  22. Koh YJ, Cha DS, Choi HD, Park YK, Choi IW. 2008. Hot water extraction optimization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283-289. 

  23. Lee KI, Kim S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3):267-273. 

  24. Lee YE, Hong SH. 2003. Oriental medical food materials science. Kyomunsa, Seoul, Korea. pp 203-204. 

  25. Lim JM, Kwon HJ, Yong SE, Choi JH, Lee CH, Kim TJ, Park PS, Choi YH, Kim EM, Park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cakes cookies with different ratio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Food Cook Sci 29(1):11-18. 

  26. Lim SH, Ham HJ, Kim HY, Jeong HN, Park YH, Kim KH, Ahn YS. 2010a. Changes of activity ingredient of washed and peeled Astragali radix by different condition. Abstract No II-130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Jecheon, Chungbuk, Korea. 

  27. Lim SH, Ham HJ, Kim HY, Jeong HN, Park YH, Kim KH, Ahn YS. 2010b. Quality of activity ingredient of Astragali radix with variations in drying methods. Abstract No II-97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Jecheon, Korea. 

  28.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Cult 23(2):228-234. 

  29. Min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2):216-223.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Standard process guideline of medicinal herb (I). MFDS, Seoul, Korea. p 98. 

  31.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 Crop Sci 9(4):251-258. 

  32. Shin DS, Yoo YM, Kim HY, Han GJ. 2015. Determine the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nge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Korean J Food Preserv 22(4):505-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