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의 세지역(서울·논산·부산)에서 기후변화 민감종인 맹꽁이(Kaloula borealis,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의 체장길이 및 몸무게 차이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the Snout-vent Length (SVL) and the Biomass for the Climate Change Sensitive Species, Narrow-mouthed Toads (Kaloula borealis, Endangered Species II), at the three different areas (Seoul, Nonsan, Busan)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1, 2020년, pp.8 - 14  

안치경 (주식회사 녹인) ,  홍성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도지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오기철 (낙동강유역환경청)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후변화 민감종의 하나인 멸종위기야생동물II급,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생체량이 위도가 다른 세 지역(서울, 논산, 부산)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맹꽁이 포획을 위해서 함정트랩(pitfall traps)과 유도트랩(inducement traps)을 이용하였으며, 각 서식지별 환경조건(온도, 강수량, 습도)을 파악하여 지역별로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맹꽁이 수컷의 경우, 부산지역 개체의 크기가 41.6±0.39mm, 생체량이 11.3±0.17g으로 가장 크고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울과 논산의 경우 크기가 각각 36.6±2.03mm, 36.6±1.76mm, 생체량은 각각 8.1±0.55g, 8.2±0.91g으로 통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맹꽁이 암컷의 경우, 부산 개체의 크기는 44.7±0.35mm, 생체량이 13.1±0.18g으로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중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부산에 서식하는 맹꽁이의 암·수 모두 다른 지역의 개체들의 크기와 생체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현재 기후상태의 기준이 되어 종복원에 대한 연구 수행 시 중요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면,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무미목의 생체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nout-vent length (SVL) and the biomass for the endangered species II,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at the three different latitude sites (Seoul, Nonsan, Busan) in Korea. For the narrow-mouthed toad study, pitfall traps and inducement traps were 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맹꽁이의 서식지 온도, 강수량, 습도에 따른 세 지역에서의 변화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맹꽁이 서식지에 따른 서식구배 등을 고려한 복원 및 보전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의 밑거름이 되어 이후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이에 대한 계획적이고, 추진력 있는 사례나 가이드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점, 양서류의 생태단계 중 산란에서 다시 그 개체가 산란을 하는 시기까지의 꾸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기에는 너무나 짧은 기간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맹꽁이의 서식지 온도, 강수량, 습도에 따른 세 지역에서의 변화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맹꽁이 서식지에 따른 서식구배 등을 고려한 복원 및 보전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의 밑거름이 되어 이후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활동으로 야기된 기후변화는 세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 인간의 활동으로 야기된 기후변화는 전 세계의 조류 37%, 양서류 60%, 산호초 79%가 멸종위기에 이르게 할 정도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Solomon, 2007), 이러한 기후변화는 엘니뇨현상을 비롯한 극한 기후를 변화시키고 있다 (Hansen et al., 2006).
양서류는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양서류는 상위포식자에게는 먹이자원이 되고, 곤충류를 포식하는 생태계 먹이사슬의 중간자로서 매우 중요한 분류군 역할을 수행한다(Kim and Song, 2010). 또한 환경 변화와 환경 호르몬에 민감한 생활사를 지니고 있는 분류군으로, 지난 수십 년간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 민감종의 양서류 중 맹꽁이는 어떤 요인으로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가? 환경부가 지정한 기후변화 민감종의 양서류는 맹꽁이와 북방산개구리이다. 특히 맹꽁이(Kaloula borealis)는 인간의 간섭요인으로 인해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며 (Yang et al., 2000), 환경부에서는 1989년부터 맹꽁이를 멸종 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mphibiaWeb, www.amphibiaweb.org 

  2. Beaumont, LJ, Pitman, A, Perkins, S, Zimmermann, NE, Yoccoz, NG, and Thuiller, W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world's most exceptional ecoreg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6), pp. 2306-2311. [DOI: 10.1073/pnas.1007217108] 

  3. Daniel, JA, Baker, KA, and Bonine, KE (2006). Retention rates of surface and implantable marking methods in the Mediterranean House Gecko (Hemidactylus turcicus), with notes on capture methods and rates of skin shedding, Herpetological Review, 37(3), pp. 319-320. 

  4. Hansen, JM, Sato, R, Ruedy, K, Lo, David, WL and M. Medina-Elizade (2006). Global temperatur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3(39), pp. 14288-14293. [DOI: 10.1073/pnas.0606291103] 

  5. Hong, SG, An, CK, Kim, HJ, Oh, KC, Park, SY, Na, S, and Yi, HB (2017). Ecological study of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population at Myeongji distri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 of Wetlands Research, 19(1), pp. 172-179. [Korean Literature] [DOI: 10.17663/jwr.2017.19.1.172] 

  6. Kim, JC and Lee GJ (2010) A study on habitat improvement for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In-situ conservation,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 pp. 152-153. [Korean Literature] 

  7. Kim, JB and Song, JY (2010), Amphibians and Reptiles of Korea, World Science, Bucheon, Korea, pp. 146 

  8. Ko, SB, Chang, MH, Yang, KS, and Oh, HS (2012). Feeding habits of the Kaloula borealis during the breeding season,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pp. 333-341. [Korean Literature] 

  9. Ko, SB, Ko, YM, and Oh, HS (2011). Distribution of spawning sites of Kaolula borealis in Jeju island,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pp. 846-852. [Korean Literature] 

  10. Sengupta, S, Das, A, Das, S, Hussain, B, Choudhury, NK and Dutta, SK (2009). Taxonomy and biogeography of Kaloula species of Eastern India, Tropical Natural History, 9(2), pp. 209-222. 

  11. Solomon, S, Manning, M, Marquis, M, and Qin, D (2007). Climate Change 2007 -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Stuart, SN, Chanson, JS, Cox, NA, Young, BE, Rodrigues, AS, Fischman, DL, and Waller, RW (2004). Status and trends of amphibian declines and extinctions worldwide. Science 306, pp. 1783-1786. [DOI: 10.1126/science.1103538] 

  13. Ueda, H, Hasegawa, Y, Marunouchi, J (1998).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in a Japanese stream-breeding frog, Buergeria buergeri, elucidated by morphometric analyses and crossing experiments, Zoological science, 15(4), pp. 615-623. [DOI: 10.2108/0289-0003(1998)15[615:GDIAJS]2.0.CO;2] 

  14. Williams, JW, Jackson, ST, and Kutzbach, JE (2007). Projected distributions of novel and disappearing climates by 2100 A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14), pp. 5738-5742. [DOI: 10.1073/pnas.0606292104] 

  15. Yang, SY, Kim, JB, Min, MS, Sun, JH, and Kang, YJ (2000).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ula borealis (Anura, Microhylidae) in Korea, Korean J. of Biological Sciences, 4(1), pp. 39-44. [DOI: 10.1080/12265071.2000.9647521] 

  16. Yoo, KY, and Kim IA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8(5), pp. 7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