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예비교사의 '어림하기' 이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stimation'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3 no.2, 2017년, pp.177 - 197  

김성준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understanding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estima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ogether with this analysis, we identif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MPCK), especially fo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림하기’와 관련된 검사 문항을 제시하고, 이들이 답한 정답과 오답을 토대로 수학 내용 지식 측면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올림, 버림, 반올림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MPCK를 주제로 한 강의에서 출발한 것으로, 초등학교 수학과에서의 영역별 내용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SMK, Subject Matter Knowledge)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의문점을 갖고 시작한 것이다. 이를테면, ‘어림하기’는 왜 ‘수와 연산’ 영역이 아닌 ‘측정’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는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어림하기’와 관련된 내용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어림하기’에서 ‘0’ 처리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올림을 기술하는 방법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올림과 반올림은 의미론적 차이 외에 그것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어떤 차이를 갖는가? 등인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초등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MPCK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MPCK와 관련하여 측정 영역 가운데 특히 ‘어림하기’ 주제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한 것으로,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림하기’ 관련 내용을 함께 비교,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MPCK를 주제로 한 강의에서 출발한 것으로, 초등학교 수학과에서의 영역별 내용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SMK, Subject Matter Knowledge)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의문점을 갖고 시작한 것이다. 이를테면, ‘어림하기’는 왜 ‘수와 연산’ 영역이 아닌 ‘측정’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는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어림하기’와 관련된 내용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어림하기’에서 ‘0’ 처리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올림을 기술하는 방법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올림과 반올림은 의미론적 차이 외에 그것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어떤 차이를 갖는가? 등인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초등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MPCK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지에서 2번 문항은 ‘1004에서 십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얼마입니까’를 묻는데 비해 5번 문항은 ‘1004에서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얼마입니까’를 묻고 있는데, 이 두 문항을 선정한 의도는 동일한 질문 양식에서 올림과 반올림에서 나타나는 정답률의 차이를 통해 올림과 반올림에서의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 이 강의는 초등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부 4학년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다루는 ‘수학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 중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등 각 영역의 수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한 것인데,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필요한 내용 지식을 각 주제별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에서 ‘어림하기’와 관련해서 이 개념을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수학 내용 지식과 초등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생각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 전문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는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 교사가 놓여 있기 때문으로(최승현·황혜정, 2008), 교사에게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업 전문성에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을 포함하여 수업 계획, 수업 실천, 교사의 책무성 등이 있으며(곽영순·강호선, 2005), 이 가운데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전문적 지식에 초점을 맞춘 것이 다름 아닌 ‘수학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MPCK,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이다.3)
교사에게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을 고려한다면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방정숙·김상화, 2007). 이는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 교사가 놓여 있기 때문으로(최승현·황혜정, 2008), 교사에게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업 전문성에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을 포함하여 수업 계획, 수업 실천, 교사의 책무성 등이 있으며(곽영순·강호선, 2005), 이 가운데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전문적 지식에 초점을 맞춘 것이 다름 아닌 ‘수학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MPCK,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이다.
수학교육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을 고려한다면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수학교육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을 고려한다면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방정숙·김상화, 2007). 이는 학교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 교사가 놓여 있기 때문으로(최승현·황혜정, 2008), 교사에게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업 전문성에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을 포함하여 수업 계획, 수업 실천, 교사의 책무성 등이 있으며(곽영순·강호선, 2005), 이 가운데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전문적 지식에 초점을 맞춘 것이 다름 아닌 ‘수학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MPCK,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완.김남준 (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수단위 추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1), 45-56. 

  2. 곽영순.강호선 (2005). 교사평가 수업평가-수업평가 바로하기. 서울: 원미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4-2. 서울: (주)두산동아. 

  4. 교육부 (1995). 수학 4-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 (2014). 초등학교 수학 4-2. 서울 : (주)천재교육. 

  6. 교육인적자원부 (2000). 수학 4-나. 서울: (주)대한교과서. 

  7. 김현미.류희수 (2012). 분수와 소수 관련 초등 예비 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1), 197-229. 

  8. 문교부 (1955). 산수 2-2, 3-1. 서울: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9. 문교부 (1966). 산수 4-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문교부 (1976). 산수 4-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문교부 (1982). 산수 4-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2. 문교부 (1989). 산수 4-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3. 박교식 (2001). 수학용어 다시보기. 서울: 수학사랑. 

  14. 방정숙.김상화 (2007). 초등 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129-148. 

  15. 송근영.방정숙 (2013).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65-287. 

  16. 안미영 (2014). 초등수학 학습지도에서 어림하기 활용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장혜원 (2016).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에 대한 종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215-238. 

  18. 최승현.황혜정 (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