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어림 전략을 통한 길이 어림 분석
A study on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estimation capabilities of length measurement in measurement instruction with various uses of estimation strateg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1, 2017년, pp.1 - 18  

이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 2009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에 미비하게 다루어져있는 어림 측정 영역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길이 어림에 대한 이해와 어림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림 측정 내용을 세 가지 어림 전략을 투입하여 어림을 강화한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수업한 후 학생들의 길이 어림에 대한 이해가 길이 어림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어림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어림 전략을 활용하여 오차를 줄여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어림 전략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on the measurement, a part of the second grade math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capa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are the estimation capabilities of the s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에게 수학의 심미적 가치를 느끼게 할 수 있는 부분은? 셋째는 심미적 가치이다. 학생들에게 수학자가 심미적 가치를 느끼는 공식의 적용 등의 부분에서 같은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것은 어렵지만 황금비, 프렉탈 등의 기하, 규칙성 부분에서는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마지막은 문화적 가치이다.
측정 감각이란? 측정 감각은 과제에 대한 적절한 단위(unit) 지식, 측정에 대한 지식, 측정할 때와 어림할 때를 구별하는 결정능력, 어림하는 전략에 대한 지식을 모두 아우른다. 이러한 측정 감각을 개발하기 위해서 Shaw와 Cliatt(1989)는 5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측정 감각을 개발하기 위해서 Shaw와 Cliatt(1989)가 제시한 5가지 원리는? 이러한 측정 감각을 개발하기 위해서 Shaw와 Cliatt(1989)는 5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실천위주의 포괄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말과 문자로 측정 활동을 표현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맥락을 함께 한다. 셋째, 비교, 어림 한 후에 측정을 하는 것이다. 실제 측정을 하기 전에 어림을 해보는 활동은 측정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이끌고 정확성을 높인다(남승인 외, 2004). 넷째, 자신만의 측정도구를 만들어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측정에 대한 과제로 가정과 학교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해야한다고 한다. 이는 학교 장면 이외의 생활 속에서도 계속해서 측정을 하면서 수학의 실용성을 깨닫게 하는데 도움이 되고, 반복을 통한 측정 감각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문봉 외 (2013). 초등 수학 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Kang, M. B etc. (2013) Understanding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eongMun publishing company.) 

  2. 박혜숙 (2012). 사회(역사 포함)와 수학 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25.(Park, H. S. (2012). Developing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of social studies(including history) and mathematics, Kofac 2012-25.) 

  3. 권점례 (1998). 어림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won, J. R. (1998) Study about estimation learning program for 6th gra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김잔디 (2009). 어림 측정 전략 지도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측정 감각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J. D. (2009). How teaching measurement estimation strategies effects to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김재현 (1999).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im, J. H. (1999). Study of developing benchmarks for measurement esti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김홍구 (1999). 수학 교실에서 양감 육성을 위한 방안의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Kim, H. G. (1999). Study of the method for developing sense of vol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남승인, 교육인적자원부 (2004). 초등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 교과교육 프로그램 개발.(Nam, S. I., &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Mathematics program for educ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E) 

  8. 박승주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Park, S. J. (2007). Analyzing the 4th-6th grader's strategies of measurement estim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양리나 (2003). 벤치마크 전략을 통한 어림 측정 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Yang, L. N. (2003). Ways of develop measurement estimation ability with benchmark strate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장미라 (2003). 측정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Jang, M. R. (2003). Study of develop educate materials for developing sense of measur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Barret, J. E., Jones, G., Thornton, C., & Dickson, S. (2003). Understanding children's developing strategies and concepts for length.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17-30.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2. Borasi, R., & Rose, B. J. (1989). Journal writing and 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0, 347-365. 

  13. Joram, E. (2003). Benchmarks ad tools for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57-67 Reston,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 Joram, E., Gabriele, A. J., Bertheau, M., Gelman, R., & Subrahmanyam, K. (2005). Children's use of the reference point strategy for measurement estim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6(1), 4-23.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7. Outhred, L., Mitchelmore, M., Mcphail, D., & Gould, L. (2003). Count me into measurement.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81-9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8. Stephan, M., & Clements. D. H. (2003). Linear and area measurement in prekindergarten to grade 2.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 3-16).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 Shaw, J. M., & Cliatt, M. J. P. (1989).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P. Trafton (Ed.)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1989 yearbook) (pp. 149-155). Reston, VA: NCTM, Inc. 

  20. Wilson, P. S., & Osborne, A. (1988). Foundational ideas in teaching about measure. In T. R. Post (Ed.),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K-8: Research based methods (pp.78-110). Boston : Allyn & Bacon. 

  21. Wilson, P. S., & Rowland, R. (1993). Teaching measurement. In R. J. Jensen (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p. 171-194).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