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과서 연산 단원에서의 계산어림 지도 내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tents of Computation Estim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4 no.1, 2020년, pp.53 - 87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계산어림활동을 고찰함으로써 계산어림지도를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에 포함된 계산어림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전학년군에 걸쳐서 계산어림을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계산어림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 계산어림하기, 어림과정설명하기, 어림값과 계산값 비교를 통한 계산결과의 타당성 검증하기 등을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산관련단원에서 계산어림관련 활동을 좀 더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future direction for improving computational estimation instruction through examining the contents of computational estimation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guide....

주제어

참고문헌 (66)

  1.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별책 8]. 

  2. 교육부 (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4. 교육부 (2018a).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8b). 수학 1-2.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8c).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8d).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8e).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8f).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8g).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부 (2018h).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 (2018i).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13. 교육부 (2018j).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4. 교육부 (2018k).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5. 교육부 (2018l).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16. 교육부 (2018m). 교사용 지도서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 (2018n). 교사용 지도서 수학 1-2. 서울: (주)천재교육. 

  18. 교육부 (2018o). 교사용 지도서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19. 교육부 (2018p). 교사용 지도서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20. 교육부 (2018q). 교사용 지도서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21. 교육부 (2018r). 교사용 지도서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22. 교육부 (2018s). 교사용 지도서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23. 교육부 (2018t). 교사용 지도서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24. 교육부 (2018u). 교사용 지도서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25. 교육부 (2018v). 교사용 지도서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26. 교육부 (2018w). 교사용 지도서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27. 교육부 (2018x). 교사용 지도서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28.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8]. 

  29. 권점례 (1998). 어림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김지수,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어림 능력에 대한 실태조사. 교원교육, 23(2), 149-166. 

  31. 김지연 (2019).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어림하기 지도 방법 비교 분석-한국,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교과서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수현 (2018). 어림셈을 강조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활동의 특성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연미, 박성선 (2011). 어림하기를 통한 소수점 찍기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18. 

  34. Australian Education Council. (1991). A national statement on mathematics for Australian schools. Melbourne: Curriculum Corporation. 

  35. Beishuizen, M., van Putten, C., & van Mulken, F. (1997). Mental arithmetic and strategy use with indirect number problems up to one hundred. Learning and Instruction, 7, 87-106. 

  36. Bestgen, B., Reys, R. E., Rybolt, J., & Wyatt, J. W. (1980). Effectiveness of systematic instruction on attitude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skill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 124-136. 

  37. Bobis, J. (1991).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estimation strategie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3(1), 17-29. 

  38. Carlow, C. D. (1986). Critical balances and payoffs in an estimation program.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1986 Yearbook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93-102). Reston,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9. Cochran, J., & Dugger, M. H. (2013). Taking the guesswork out of computational estimation. Mathematics Educator, 23(1), 60-73 

  40. Fennell, S. (2008). Number Sense - Right Now! NCTM News Bulletin, March Ed. 

  41. Greeno, J. G. (1991). Number sense as situated knowing in a conceptual domai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2, 170-218. doi:10.2307/749074. 

  42. Hanson, S., & Hogan, T. (2000). Computational estimation skill of college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483-499. doi:10.2307/749654. 

  43. Knight, G., Arnold, G., Carter, M., Kelly, P., & Thornley, G. (1994). The mathematical needs of school leavers. set: Research Information for Teachers, 1, item 5. 

  44. LeFevre, J., Greenham, Stephanie, L., & Waheed, N. (1993). The development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in computational estima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11(2), 95-132. 

  45. Lemaire, P., & Lecacheur, M. (2002). Children's strategies in computational esti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2, 281-304. doi:10.1016/S0022-0965(02)00107-8. 

  46. Lubke, S. (2015). Investigating fourth grad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utational estimation using indirect estimation question. CERME9 (pp.302-308). 

  47. McIntosh, A., Reys, R., & Reys, B. (1992). A proposed framework for examining basic number sense.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2, 2-8. 

  48. Mildenhall, P. (2011).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mputational estimation in year 6. Retrieved from https://ro.ecu.edu.au/ theses/387 

  49. National Council of Supervisors of Mathematics. (1978). Position paper on basic mathematical skills. Mathematics Teacher, 71, 147-152. 

  5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0).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Reston, VA: Author. 

  5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5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Adding it up: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3. Reys, B., Reys, R. E., & Penafiel, A. F. (1991). Estimation performance and strategy use of Mexican 5th and 8th grade student sampl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353-375. 

  54. Reys, R. (1984). Mental computation and estim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 547-557. 

  55. Reys, R. E. (1992). Research on computational estimation: What tell us and some question that need to be addressed. Hiroshima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1, 105-112. 

  56. Reys, R. E., & Reys, B. J. (2004). Estimat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 progress report. In A. McIntosh & L. Sparrow (Eds.), Beyond written computation (pp.38-50). Perth, Western Australia: MASTEC: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Centre. 

  57. Reys, R. E., Rybolt, J. F., Bestgen, B. J., & Wyatt, J. W. (1982). Processed used by good computational estimato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3), 183-201. 

  58. Reys, R.E., Suydam, M. N., Lindquist, M. M., Smith, N. L.(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5th ed.). Boston: Allyn & Bcon. 

  59. Siegler, R., & Booth, J. (2004).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5, 428-444. doi:10.1111/j.1467-8624.2004.00684.x. 

  60. Sowder, J. T. (1988). Mental computation and number comparison : Their roles in the development of number sense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In F.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pp. 182-197). Reston,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1. Sowder, J. T. (1992). Estimation and number sense. In D. Grouws(Ed.), Handbook for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371-389). New York: Macmillan. 

  62. Sowder, J, T., & Wheeler, M. M. (1989). The development of concepts and strategies used in computational estimation. Journal for Instruction, 18. 565-579. 

  63. Trafton, P. (1986). Teaching computational estimation: Establishing an estimation mind set. In L. Schoen & M.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pp.16-30). Reston,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4. Trafton, P. (1994). Computational estimation: Curriculum and development efforts and instructional issues. In R. Reys & N. Nohda (Eds.), Computational alternativ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Cross-cultural perspectives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pp.76-86).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5. Verschaffel, L., Greer, B., & De Corte, E. (2007). Whole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557-628).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66. Yang, Der-Ching (2007). Investigating th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aiwan When Responding to Number Sense Ques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7, 293-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