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신생아의 출생체중 데이터 보정
Adjustment of Korean Birth Weight Data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2, 2017년, pp.259 - 264  

신형식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생아의 출생체중은 자궁내발육부전이나 과체중출생아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등,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체중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물학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체중 분포를 관찰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비상식적인 체중 분포는 데이터 수집과정 등에서 오류가 존재함을 의미하는데, 특히 임신주수가 28주에서 32주인 신생아들의 체중 데이터에서 현저한 오류 데이터를 관찰할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본 논문은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사용하여 오류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를 예측하고, 오류 데이터로 예측된 자료들을 삭제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정 과정을 통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출생체중 백분율을 구할 수 있음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rth weight of a new born baby provides very important information in evaluating many clinical issues such as fetal growth restriction. This paper analyzes birth weight data of babies born in Korea from 2011 to 2013, and it shows that there is a biologically implausible distribution of birth we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에서 태어난 신생아 약 142만 명의 출생체중과 임신 주수(Gestational period)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도 보고되었듯이, 출생체중 데이터는 오류로 짐작되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한국 통계청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오류를 제거하여 한국 신생아의 임신주수와 출생체중의 관계를 보다 현실화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이와 비슷한 연구가 논문[3-6]에 의하여 소개되었으나, 사용된 데이터가 비교적 오래된 데이터이므로 최근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 우선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에서 태어난 신생아에 대하여 각각의 임신주수(Gestational period)에 따른 출생체중의 분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림 1은 임신주수가 40주인 경우의 신생아 출생체중의 분포도이다.
  • 또한, 해외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7-9], 한국인의 특성에 잘 맞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최근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류 데이터를 제거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인의 임신 기간과 출생체중 사이의 최근의 관계를 정립한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오류 데이터로 보이는 항목을 예측하기 위하여, 각각의 임신주수에 해당하는 출생체중 데이터에는 두 개의 Gaussian 분포가 함께 혼합되어 있으며, 과체중 쪽의 Gaussian 분포는 오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라고 가정하였다. 이렇게 두 개의 Gaussian 분포가 함께 혼합되어 있는 것은 Gaussian mixture model로 표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의 출생체중의 특징은? 신생아의 출생체중은 임신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수태 기간이 짧을수록 모체 안에서 성장할 기간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결과라고 예상할 수 있다.
신생아의 출생체중은 어디에 활용될 수 있나? 신생아의 출생체중은 자궁내발육부전이나 과체중출생아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등,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 2]. 따라서 한국에서 태어나는 신생아의 임신 기간(Gestational period)과 출생체중(Birth weight)의 관계를 파악하여 일선 의료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임신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도 감소하는 원인은? 신생아의 출생체중은 임신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수태 기간이 짧을수록 모체 안에서 성장할 기간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결과라고 예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Paranjothy, F. Dunstan, W. J. Watkins, M. Hyatt, J. C. Demmler, R. A. Lyons, and D. Fone,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risk of respiratory hospital admission in childhood," Pediatrics, vol. 132, no. 6, pp. e1562-1569, Dec. 2013. 

  2. J. L. Richards, C. Hansen, C. Bredfeldt, R. A. Bednarczyk, M. C. Steinhoff, D. Adjaye-Gbewonyo, K. Ault, M. Gallagher, W. Orenstein, R. L. Davis, and S. B. Omer, "Neonatal outcomes after antenatal influenza immunization during the 2009 H1N1 influenza pandemic: impact on preterm birth, birth weight, and small for gestational age birth,"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 56, no. 9, pp. 1216-1222, May 2013. 

  3. J. J. Lee,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patterns by sex, plurality, and parity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0, no. 8, pp. 732-739, Aug. 2007. 

  4. G. H. Lee, Y. W. Kim, E. J. Seo, M. S. Son, H. G. Ahn, E. W. Seok, Y. J. Choi, G. J. Kim, S. Y. Kim, B. C. Hwang, Y. D. Choi, S. Y. Kim, and S. J. Sohn, "Change of birth weight-gestational age tabl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44, no. 10, pp. 1851-1856, Oct. 2001. 

  5. G. Y. Jung and K. Lee, "Intrauterine growth of Korean infants from 25 weeks to 44 weeks ge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vol. 33, no. 7, pp. 887-900, Jul. 1990. 

  6. J. J. Lee, C. G. Park, and K. S. Lee, "Birth weight distribution by gestational age in Korean population: using finite mixture model,"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8, no. 11, pp. 1179-1186, Nov. 2005. 

  7. N. M. Talge, L. M. Mudd, A. Sikorskii, and O. Basso, "United States birth weight reference corrected for implausible gestational age estimates," Pediatrics, vol. 133, no. 5, pp. 844-853, May 2015. 

  8. J. Villar, L. C. Ismail, C. G. Victora, E. O. Ohuma, E. Bertino, D. G. Altman, A. Lambert, A. T Papageorghiou, M. Carvalho, Y. A. Jaffer, M. G. Gravett, M. Purwar, I. O. Frederick, A. J. Noble, R. Pang, F. C. Barros, C. Chumlea, Z. A. Bhutta, and S. H. Kennedy, "International standards for newborn weight, length, and head circumference by gestational age and sex: the Newborn Cross-Sectional Study of the INTERGROWTH-21 st Project," The Lancet, vol. 384, no. 9946, pp. 857-868, Sep. 2014. 

  9. M. S. Kramer, R. W. Platt, S. W. Wen, K. S. Joseph, A. Allen, M. Abrahamowicz, B. Blondel, and G. Breart, "A new and improved population-based Canadian reference for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Pediatrics, vol. 108, no. 2, pp. e35-e35, Aug. 2001. 

  10. Statistics Korea, Vital Statistics [Internet]. Available: https://mdis.kostat.go.kr/extract/extSurvSearchByDate.do?extcTypeDivCDE&curMenuNoUI_POR_P1070. 

  11. E. Parzen, "On estimation of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mode," Th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vol. 33, no. 3, pp. 1065-1076, Sep. 1962. 

  12. R. W. Platt, M. Abrahamowicz, M. S. Kramer, K. S. Joseph, L. Mery, B. Blondel, G. Breart, and S. W. Wen, "Detecting and eliminating erroneous gestational ages: a normal mixture model," Statistics in medicine, vol. 20, no. 23, pp. 3491-3503, Dec. 2001. 

  13. H. Oja, M. Koiranen, and P. Rantakallio, "Fitting mixture models to birth weight data: a case study," Biometrics, vol. 47, no. 3, pp. 883-897, Sep. 1991. 

  14. F. Pedregosa, G. Varoquaux, A. Gramfort, V. Michel, B. Thirion, O. Grisel, M. Blondel, P. Prettenhofer, R. Weiss, V. Dubourg, J. Vanderplas, A. Passos, D. Cournapeau, M. Brucher, M. Perrot, and E. Duchesnay, "Scikit-learn: Machine learning in Pyth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12, pp. 2825-2830, Oct.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