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구강분비물의 당과 pH 및 영향 요인 탐색
Glucose and pH of Oral Secretions in Newborn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3, 2017년, pp.353 - 363  

김남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안영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ral glucose and pH are known as critical indicators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 inside the oral cav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oral glucose and pH variances in the early postnatal days of newborns. Methods: An explorative study which included 67 newborns was conduct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생후 초기 구강당과 구강 pH의 변화 양상과 관련 요인을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신생아 67명을 대상으로 생후 2~3일동안 8시간 간격으로 구강 건강의 대표적인 지표인 구강당과 구강 pH의 변화 양상 및 관련 요인을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 네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신생아의 생후 초기 구강당과 구강 pH의 변화 양상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전향적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출생 후 신생아의 구강당과 구강 pH을 측정하고 생후 초기에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하는 것은 신생아뿐 아니라 고위험신생아의 구강 건강 평가 및 구강 간호 개발에도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생후 초기 구강당과 구강 pH의 변화 양상과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의 구강이 다양한 노출과 자극을 경험하는 과정은? 신생아는 무균의 양수 환경에서 지내다가 출생과 동시에 외부 공기 환경으로 급격히 노출된다. 특히 신생아의 구강은 신체가 외부와 소통하는 첫 관문으로 호흡, 빨기, 영양섭취 등을 통해 기체, 세균, 음식물과 같은 다양한 노출과 자극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신생아는 출생 직후 울음을 통해 호흡을 시작하며, 구강 내 양수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양수를 흡인기로 제거하고, 구강 내 기형 유무를 확인한다.
구강미생물의 성장이 영향을 받는 요인은? 구강미생물의 성장은 구강의 온도, 당, pH 또는 구강 구조, 섭취하는 음식물, 대상자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 특히 구강 내 당의 농도(이하, 구강당)는 구강 또는 전신 건강의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혈액 검사를 대신하여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6].
구강당과 구강 pH가 구강건장의 대표적인 지표인 이유는? 구강미생물의 성장은 구강의 온도, 당, pH 또는 구강 구조, 섭취하는 음식물, 대상자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 특히 구강 내 당의 농도(이하, 구강당)는 구강 또는 전신 건강의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혈액 검사를 대신하여 질병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6]. 구강당에 대한 연구는 구강당의 증가와 치아우식증 관계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7-9],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당과 타액 분비율, 구강 내 pH (이하, 구강 pH) 등 타액의 다른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가 있었다[8,9]. 한편, 구강 pH는 구강에 정착하는 생물막의 생리학적, 생태학적, 병원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10]. 또한 구강 pH는 타액의 분비율, 점조도, 완충능력(buffer capacity)과 관련이 있으며, 구강 pH가 높은 경우 타액의 분비율과 완충능력이 높고, 점조도는 낮다[11]. 따라서, 구강당과 구강 pH는 구강 건강의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으며, 구강분비물의 적절한 당 농도와 pH 유지는 구강상주균의 균형 있는 집락화에필수적인 요소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mari TI, Barnett CP, Benninga MA, Lontis R, Goodchild L, Haslam RR, et al. Mechanisms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preterm and term infants with reflux disease. Gut. 2002;51(4):475-479. https://doi.org/10.1136/gut.51.4.475 

  2. Choi YH. Re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Internet]. Cheongju: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16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38-MNU0037-MNU1380&cid12426. 

  3. Kim KJ, Kim KC, Kim YJ, Kim JG, Kim JD, Kim JY, et al. Oral microbiology.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2013. p. 197-207. 

  4. Marsh PD. Role of the oral microflora in health. Microbial Ecology in Health and Disease. 2000;12(3):130-137. 

  5. Marsh PD, Martin MV, Lewis MA, Williams D. Oral microbiology. 5th ed. New York: Elsevier Health Sciences; 2009. p. 1-7, 46-47. 

  6. Soares MS, Batista-Filho MM, Pimentel MJ, Passos IA, Chimenos-Kustner E. Determination of salivary glucose in healthy adults. Medicina Oral Patologia Oral y Cirugia Bucal. 2009;14(10):e510-e513. https://doi.org/10.4317/medoral.14.e510 

  7. Lenander-Lumikari M, Loimaranta V. Saliva and dental caries. Advances in Dental Research. 2000;14(1):40-47. https://doi.org/10.1177/08959374000140010601 

  8. Lopez ME, Colloca ME, Paez RG, Schallmach JN, Koss MA, Chervonagura A. Salivary characteristics of diabetic children. Brazilian Dental Journal. 2003;14(1): 26-31. https://doi.org/10.1590/S0103-64402003000100005 

  9. Panchbhai AS, Degwekar SS, Bhowte RR. Estimation of salivary glucose, salivary amylase, salivary total protein and salivary flow rate in diabetics in India. Journal of Oral Science. 2010;52(3):359-368. https://doi.org/10.2334/josnusd.52.359 

  10. Burne RA, Marquis RE. Alkali production by oral bacteria and protection against dental caries. FEMS Microbiology Letters. 2000;193(1):1-6. 

  11. Lee JW, Kim MS, Choi YH, Chang YS, Shin SC.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pH and the visco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2008;4(2):112-122. 

  12. Hockenberry M, Wilson D. Study guide for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9th ed. New York: Elsevier Mosby; 2013. p. 70-81. 

  13. Garland JS. Strategies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es. Clinics in Perinatology. 2010;37(3):629-643. https://doi.org/10.1016/j.clp.2010.05.003 

  14. Dietrich T, Webb I, Stenhouse L, Pattni A, Ready D, Wanyonyi KL, et al. Evidence summar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British Dental Journal. 2017;222(5):381-385. https://doi.org/10.1038/sj.bdj.2017.224 

  15. Hospital Nurses Association. Oral care: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6 June 27].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data/khna_guide_ebp04.pdf. 

  16. Pinelli J, Symington A. Non-nutritive sucking for promoting physiologic stability and nutrition in preterm infan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5;19(4):CD001071.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1071.pub2 

  17. Vasconcelos AC, Soares MS, Almeida PC, Soares TC.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ntration of salivary and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Oral Science. 2010;52(2):293-298. https://doi.org/10.2334/josnusd.52.293 

  18. Hegde A, Shenoy R, D'MeIlo P, Smitha A, Tintu A, Manjrekar P. Alternative markers of glycemic status in diabetes mellitus. Biomedical Research. 2010;21(3):252-256. 

  19. Ahn Y, Sohn M, Jun Y, Kim N. Flora colonization and oral glucose levels during the early postnatal period in high-risk newborn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4):379-389. https://doi.org/10.4094/chnr.2016.22.4.379 

  20. Cho EY, Roh EJ, Lim JW, Cheon EJ, Ko KO, Lee YH, et al. Measurements of oral and gastric pH in neona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5;12(2):172-178. 

  21. Ahn Y, Sohn M, Lee S, Lee M. pH, temperature, hydration of the stratum corneum of the dorsal hand and the cord area, and acid mantle formation during early days of life in high-risk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30-38. https://doi.org/10.4040/jkan.2013.43.1.30 

  22. Son HJ, Hong HS. The effects of S-solution and A-solution on oral health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2):150-158. https://doi.org/10.7586/jkbns.2015.17.2.150 

  23. Bartlett DW, Evans DF, Anggiansah A, Smith BG. A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gastro-oesophageal reflux and palatal dental erosion. British Dental Journal. 1996;181(4):125-131. 

  24. Gudmundsson K, Kristleifsson G, Theodors A, Holbrook WP. Tooth erosion, gastroesophageal reflux, and salivary buffer capacity.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1995;79(2):185-189. https://doi.org/10.1016/S1079-2104(05)80280-X 

  25. Agrawal RK, Lui K, Gupta JM. Neonatal hypoglycaemia in infants of diabetic mothers.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00;36(4):354-356. https://doi.org/10.1046/j.1440-1754.2000.00512.x 

  26. Shin WY. The co-relations between the various factors related with the saliva [master'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10. p.1-32. 

  27. Meurman JH, Rytomaa I, Kari K, Laaks T, Murtomaa H. Salivary pH and glucose after consuming various beverages, including sugar-containing drinks. Caries Research. 1987;21(4):353-359. https://doi.org/10.1159/000261039 

  28. Hase JC, Birkhed D. Salivary glucose clearance, dry mouth and pH changes in dental plaque in man. Archives of Oral Biology. 1988;33(12):875-880. 

  29. Azab SF, Sherbiny HS, Saleh SH, Elsaeed WF, Elshafiey MM, Siam AG, et al. Reduc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using "VAP prevention Bundle": A cohort study. BMC Infectious Diseases. 2015;15:314. https://doi.org/10.1186/s12879-015-106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