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배우자 지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
Multi Group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Six-Month-Year Old Infant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2, 2018년, pp.39 - 58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조혜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이순행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indicators were the same for mothers and fathers. Methods: A sample of 228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효과를 보일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그림 1]), 이러한 과정이 부모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밝히기 위해 다집단 분석(Multi Group Analysis: MGA, 이하 MGA)을 실시하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배우자의 지지와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과 동시에 부모 두 집단 간 모형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어머니는 물론 아버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6개월 영아 부모가 지각하는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뿐만 아니라 어머니와 아버지 집단에서 동일한 구조모형을 가지면서 배우자 지지가 양육효능감의 영향력 크기에서 차이를 확인하여 구체적인 실증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 간 모형 차이를 규명하여 연구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향후, 어머니와 아버지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양육정보 제공 및 지침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본 연구는 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배우자 지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다집단으로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내용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연구변인의 측정모형 동일성이 어머니와 아버지 집단에서 검증되어 보다 구체적인 경로계수 비교를 위해 경로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과 제약을 가하지 않은 기저모형의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경로계수 차이를 [그림 4]에 제시하였다.
  • 연구대상의 구체적인 특성은 에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효과를 보일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그림 1]), 이러한 과정이 부모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밝히기 위해 다집단 분석(Multi Group Analysis: MGA, 이하 MGA)을 실시하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배우자의 지지와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과 동시에 부모 두 집단 간 모형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버지는 배우자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어머니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본 연구의 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은 매개효과로 나타났고, 아버지는 어머니 보다 배우자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아버지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의 보호요인으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지지로 양육효능감이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어머니의 지원을 통해 아버지가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양육자로서의 아버지’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양육환경을 조성하고 가족 단위의 양육 지원을 강화하여 양육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것이다.
양육효능감이란? 부모 자신의 양육효능감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해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양육효능감은 부모로서의 역할을 인지하여 자녀와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Mash & Johnston, 1990). 선행 연구들은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김민정, 이방실, 정미라, 2016; 류기자, 김영주, 송연숙, 2009; Khoury-Kassabri, Attar-Schwartz, & Zur, 2014),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이정화, 한희승, 최란, 2012)양육효능감이 높은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에 비해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됨을 밝히고 있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지원으로 배우자의 지지가 선택되는 이유는? 결국 선행 연구들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주변의 지원과 내적 자원의 중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배우자 지지는 가족체계 내에서 배우자를 통해 받는 지지이며, 정서, 심리 지원을 포함하기 때문에(Voydanoff, 2005)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지원으로 밝혀지고 있다(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 2010; 김지영, 2015; 채선미, 강희선, 이한주, 신현숙, 1999; 허은경, 김영희, 2004;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3; Leung, Leung, Chan, Tso, & Ip, 2005). 배우자와의 친밀감은 영아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Mulsow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태훈, 조혜영, 오민아 (2013). 교육 연구에서의 탐색적 요인분석 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교육방법연구, 25(3), 521-541. doi: 10.17927/tkjems.2013.25.3.521 

  2. 권미경 (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3.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6(3), 143-160. 

  4. 김균희, 김현정, 이완정 (2014).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333-346. doi: 10.14698/jkcce.2014.10.6.333 

  5. 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 (2010).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01-113. 

  6. 김낙흥, 박영숙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기분화와 부모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243-264. doi:10.21183/kjcm.2016.12.15.4.243 

  7. 김명원, 강민주 (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8), 25-35. 

  8. 김민정, 이방실, 정미라 (2016).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육효능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1-19. doi:10.14698/jkcce. 2016.12.03.001 

  9. 김수정 (2009). 양육 상황에 따른 6개월 영아 어머니의 내적 상태와 신체 접촉 유형 간 관계. 사회과학연구, 48(2), 23-57. 

  10. 김지영 (2015).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23(2), 91-100. doi:10.17547/kjsr.2015.23.2.91 

  11. 김혜금, 조혜영 (2015).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6), 1-14. doi:10.7466/JKHMA.2015.33.6.1 

  12. 류기자, 김영주, 송연숙 (2009).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1-23. 

  13. 민은홍 (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형경, 문혁준 (2015). 간호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족과 환경연구, 53(6), 595-604. doi:10.6115/fer.2015.047 

  15. 손세희, 한창근 (2016). 가구소득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과 부모 간 다집단 분석. 육아정책연구, 10(3), 117-141. 

  16.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안지연 (1999). 아동의 정서인식능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략에 미치는 영향. 영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양정선, 신용연 (2013). 가족 내 남성의 역할변화 촉진을 위한 가족사업 제안. 경기도: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 양진희, 김영철 (2016). 유아 부모의 가족 상호작용,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7(3), 81-106. 

  21. 원정선(1989). 부모됨의 전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실, 최혜영 (200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양육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 대한가정학회지, 47(5), 13-22. 

  23. 이정화, 한희승, 최란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1(2), 89-109. 

  24.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25. 이주옥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26. 정은영, 강민주 (2015).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직무만족도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9(1), 201-226. 

  27. 채선미, 강희선, 이한주, 신현숙 (1999). 배우자 지지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187-195. 

  28. 최윤희, 문혁준 (2016).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배우자지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6), 407-424. 

  29. 최형성 (2005). 남녀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 모형. 인간발달연구, 12(4), 121-137. 

  30. 통계청 (2017). 시군구: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I&conn_pathI3 에서 2017년 12월 1일 인출. 

  31. 허은경, 김영희 (2004).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일상생활 스트레스, 배우자 및 사회적 지지가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8(2), 107-125. 

  3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irgini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3). Family pediatrics: Report of the task force on the family. Pediatrics, 111(6), 1541-1571. 

  34. Anderson, L. S. (2008).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in a diverse sample of parents of early adolescents in high-risk communities. Nursing Research, 57(5), 340-350. doi:10.1097/01.NNR.0000313502. 92227.87 

  35. Ardelt, M., & Eccles, J. S.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 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36. Bernier, A., Calkins, S. D., & Bell, M. A. (2016).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brain development across infancy. Child Development, 87(4), 1159-1174. doi:10.1111/cdev.12518 

  37. Bouchard, G., & Lee, C. M. (2000). The marital context for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20(1-2), 37-53. doi:10.1300/ J005v20n01_04 

  38. Brown, G. L., Mangelsdorf, S. C., & Neff, C. (2012). Father involvement, paternal sensitivity, and fa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in the first 3 yea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6(3), 421- 430. doi:?10.1037/a0027836 

  39. Cohn, J. F., Campbell, S. B., & Ross, S. (1991). Infant response in the still-face paradigm at 12 months predicts avoidant and secure attachment at 12 months. Development and Psyhchopathology, 3(4), 367-376. doi:10.1017/S0954579400007574 

  40. Cohen, S. R., Holloway, S. D., Dominguez-Pareto, I., & Kuppermann, M. (2015). Support and self-efficacy among Latino and White parents of children with ID. 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20(1), 16-31. doi:10.1352/1944-7558-120.1.16 

  41.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42. Deater-Deckard, K.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doi:10.1111/j.1468-2850. 1998.tb00152.x 

  43. Feldman, R. (2007). Parent-infant synchrony and the construction of shared timing: Physiological precursors, developmental outcomes, and risk condi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8(3-4),?329-354. doi:10.1111/j.1469-7610.2006.01701.x 

  44. Floyd, F. J.,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doi: 10.2307/1132278 

  45. Fuligni, A. S., & Brooks-Gunn, J. (2002). Meeting the challenges of newparenthood : Responsibilities, Advice, and Perceptions. In N. Halfon, K. T. Mclearn, & M. A. Schuster (Eds.). Child rearing in America : Challenges faci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pp.83-11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499753.004 

  46. Harrison, L. J., & Ungerer, J. A. (2002). Maternal employment and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at 12 months postpartum. Developmental Psychology, 38(5), 758-773. doi:10.1037/0012-1649. 38.5.758 

  47. Holmes, E. K., & Huston, A. C. (2010). Understanding positive father-child interaction: Children's, fathers', and mothers' contributions. Fathering, 8(2), 203-225. doi:10.3149/fth.1802.203 

  48.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 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doi:10.1177/0013164403251332 

  49. Ibrahim, J. G., Lipsitz, S. R., & Chen, M. H. (1999). Missing covariates in generalized linear models when missing data mechanism is non-ignorable. Journal of the Royal Statical Society, 61(1), 173-190. doi:10.1111/1467-9868.00170 

  50. Kazdin, A. E., & Whitley, M. K. (2003). Treatment of parental stress to enhance therapeutic change among children referred for aggressive and antisocial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3), 504-515. doi:10.1037/0022-006X.71.3.504 

  51. Khaleque, A., & Rohner, R. P.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ercultural stud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54-64. doi:10.1111/j.1741-3737.2002.00054.x 

  52. Khoury-Kassabri, M., Attar-Schwartz, S., & Zur, H. (2014).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cor- poral punishment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stress, efficacy, co-parenting and children's adjustment difficulties among Arab mothers. Child Abuse and Neglect, 38(6), 1073-1082. doi:10.1016/j.chiabu.2014.04.009 

  53. Kim, P., & Swain, J. E. (2007). Sad dads: P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Psychiatry, 4(2), 35-47. 

  54. Lavenda, O., & Kestler-Peleg, M. (2017). Parental self-efficacy mi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low spousal support and stress. Psychiatry Research, 256, 228-230. doi:10.1016/j.psychres.2017.06.060 

  55. Leung, C., Leung, S., Chan, R., Tso, K., & Ip, F. (2005). Child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in Hong Kong families. Hong Kong Medical Journal, 11(5), 373-380. 

  56. MacCallum, R. C., Roznowski, M., Mar, C. M., & Reith, J. V. (1994). Alternative strategies for cross-valid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9(1), 1-32. doi:10.1207/s15327906mbr2901_1 

  57. Mash, E. J., & Johnston, C. (1990). Determinants of parenting stress: Illustrations from families of hyperactive children and physically abused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313-328. doi:10.1207/s15374424jccp1904_3 

  58. Morgan, J., Robinson, D., & Aldridge, J. (2002). Parenting stress and externalizing child behaviour. Child and Family Social Work, 7(3), 219-225. doi:10.1046/j.1365-2206.2002.00242.x 

  59.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44-956. doi:10.1111/j.1741-3737.2002.00944.x 

  60. Noppe, I. C., Noppe, L. D., & Hughes, F. P. (1991).?Stress as a predictor of the quality of parent-infant interactions.?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152(1),?17-28. doi:10.1080/00221325.1991. 9914674 

  61. Nugent, J. K. (1987). The father's role in early Irish socialization: Histor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In M. E. Lamb (Ed.), The father's role: Cross-cultural perspectives (pp. 169-19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2. Sanders, M. R., & Woolley, M. L.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 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1(1), 65-73. doi:10.1111/j.1365-2214.2005.00487.x 

  63. Seah, C. K. F., & Morawska, A. (2016). When mum is stressed, is dad just stressed? Predictors of paternal stress in the first six months of having a bab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37(1), 45-55. doi:10.1002/imhj.21546 

  64. Simons, R. L., Beaman, J., Conger, R. D., & Chao, W. (1993). Childhood experience, conceptions of parenting, and attitudes of spouse as determinants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1), 91-106. doi:10.2307/352961 

  65. Sinai, D., & Tikotzky, L. (2012). Infant sleep parental sleep and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of mothers on maternity leave and in families of working mother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5(2), 179-186. doi:10.1016/j.infbeh.2012.01.006 

  66.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doi:10.1111/j.1467-8624.1991.tb01580.x 

  67. Vismara, L., Rolle, L., Agostini, F., Sechi, C., Fenaroli, V., Molgora, S., et al. (2016). Perinatal parenting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utcomes in first-time mothers and fathers: A 3- to 6-months postpartum follow-up study. Retrieved July 21, 2017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 ticles/PMC4919353 

  68. Voydanoff, P. (2005). Social integrati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job and marital qual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3), 666-679. doi:10.1111/j.1741-3737.2005.00161.x 

  69. Wells-Parker, E., Miller, D. I., & Topping, J. S. (1990). Development of control of outcome scales and self-efficacy scales for women in four life ro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3-4), 564-575. doi:10.1080/00223891.1990.9674020 

  70. Widarsson, M., Engstrom, G., Berglund, A., Tyden, T., & Lundberg, P. (2014). Parental stress and dy- adic consensus in early parenthood among mothers and fathers in Sweden.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8(4), 689-699. doi:10.1111/scs.1209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