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의 관심도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ention in SNS on the result of ele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191 - 197  

최은정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최세원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이시연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김명주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개인의 의견을 표현하거나 논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SNS는 여론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선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다수의 유권자들의 SNS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기 때문에 후보자도 새로운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거에 대한 SNS 상의 관심 정도가 실제 선거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서 우리나라 20대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의 SNS 관심도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전통적인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결과를 잘 예측했는지 비교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여론조사보다는 SNS관심도가 선거결과에 더 일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individual opinions are expressed and discussed through SNS, SNS is used as a new basis to estimate the direction of public opinion. This change also appears in election. So many voters state their views through SNS, so that candidates utilize it as a new space for communication. In this paper,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유권자들의 SNS를 기반으로 한 후보자들에 대한 관심이 선거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SNS 상에서의 후보에 대한 언급, 즉 특정 후보에 대한 관심 정도를 분석하고 실제 선거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특정 선거구의 후보자 A와 후보자 B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을 때, 그 데이터의 양이 후보자 B에 비해 A가 우세하였을 경우 후보자 A가 당선을 거머쥘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트위터 상에서 이용자들에 의해 언급되는 양이 많을수록, 관심도가 높을수록 선거에서의 승리를 가져갈 확률이 높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NS 중 트위터 상에서의 데이터양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정 선거구의 후보자 A와 후보자 B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을 때, 그 데이터의 양이 후보자 B에 비해 A가 우세하였을 경우 후보자 A가 당선을 거머쥘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트위터 상에서 이용자들에 의해 언급되는 양이 많을수록, 관심도가 높을수록 선거에서의 승리를 가져갈 확률이 높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정 트윗의 이용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팔로잉, 즉 관계 맺기의 일방향성이다. 팔로잉을 하고자하는 해당 트위터 사용자의 허락이 필요하지 않고 본인이 관심 있는, 혹은 의견이나 관심사가 같은 사용자를 팔로우하여 트윗을 자유롭게 받아볼 수 있다. 때문에 특정 트윗의 이용자수(좋아요 수, 리트윗 수, 댓글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소셜미디어(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발달함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활용하여 정보를 유통시키고, 의견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관심사나 의견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호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기도 하며, 개인적으로 피력한 의견이 SNS 공간 내에서 여론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SNS 이용자들이 사회나 정치 현상에 대해서 의견을 피력한 사례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현상은 선거의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후보 관련 동영상 수와 블로그에 후보를 언급한 수가 선거 결과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ttp://facebook 

  2. http://www.twitter.com 

  3. http://blog.naver.com 

  4. http://www.instagram.com 

  5. Y. H. KIM, "Analysis of trend and behavior on SNS (Social Network Service)" KISDI STAT REPORT, Vol. 2, No. 9, pp. 151-170, 1999. 

  6. Sunil, W., David, S., Munir, M., and Christine, B. Willians, "Web2.0 and Politics : The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an E-Politics Research Agenda", MIS Quarterly, Vol. 16-07, pp. 669-688, 2016. 4. 15. 

  7. W. S. Song, J. H. Lee. "Predicting News Story Virality in Social Media."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pp. 474-476, 2014.12. 

  8. J. S. Min, "Study on Twitter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KRCRA No.12, Vol 2, pp. 274-303, 2012. 6. 

  9. Y. W. No, D. Y. Kim, J. E, Han, J. T. Lim, K. S. Boek, J. S. Yoo, "Hot Topic Prediction Scheme Considering User Influences in Social Network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search, Vol.15, No. 8, pp24-36, 2015.8. 

  10. J. H. Na, Y. S. Kim, "Forecasting Unemployment Rate using Social Media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8, No. 6, pp95-101, 2013.12 

  11. S. G. Yoon, S. H. Kim, K. S. Shin. "Development of the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Enlisted Men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to Datamining and Textmin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21.3 pp. 1-17, 2015.9. 

  12. J. B. Lee, C. K. Lee, K. J. Cha, "An Analysis of IT Trends Using Tweet Data",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21, No. 1, pp143-159, 2015.3 

  13. D. Y. Kim, H. E. Hong, "The Limited Meanings and Roles of the Reply as the Instru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32, No. 1, pp51-86, 2015.3 

  14. J. Y. Kim, C. K. Kang, "They Representative Enough? : Comparative Modes of Public Opinion Surveys", Peace Strides, Vol.22, No. 2, pp360-397, 2014.10 

  15. http://www.realmeter.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