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on self-effici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441 - 449  

김고운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작업치료전공) ,  오혜원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환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 44명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참여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참여척도(K-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고, 실험군에서는 점수의 변화가 유의하였으나(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참여의 경우 실험군에서 더 많은 증가와 함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향상에 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pplied an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to adults, aged 18 years or mor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residing in a local community,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articipants'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ogram, 44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7주간 주 3회 총 20회기로 각 회기당 40분 내외로 작업 중심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22명과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18세 이상의 성인 지적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향후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에 필요한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18세 이상 성인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44명의 지적장애인을 실험군 22명과 대조군 22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에는 대상자가 선택한 의미있는 작업 활동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관을 다니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질적으로 사회참여를 해야 하는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주도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한 그룹과 실시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사회참여 및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한 그룹과 실시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사회참여 및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진료교육 프로그램에서 부모, 학생, 특수교사만 포함되어 직업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하지 못하였고, 자기효능감의 증가가 직업과 관련된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직적인 지역사회에서 직업준비와 관련된 기술을 실시 및 직업교육의 전문가 중의 하나인 작업치료사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실시하여, 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관을 다니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질적으로 사회참여를 해야 하는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주도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요? 지적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제한하는 요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자기효능감이 있다. 자기효능감이란 “성공적인 결과를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노력에 대한 신념”으로 이러한 것은 환경적인 외적이 요인이 아니라, 행위자의 주관적인 특성과 수행에 연관성이 있다[3,4].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수행 성취 경험이 있으며, 이는 자기효능감에 강력하게 작용하여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5,6].
지적장애가 무엇인가요?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란 지적 기능 및 적응 기능의 결함이 발달기에 발병하는 장애로 가정, 학교, 일터, 지역사회 등의 여러 환경에서 의사소통, 독립적인 사회참여에 제한을 가지고 온다[1].
본 연구에서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복지관에서 실시한 이유는? 이러한 연구 결과는 40명의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8주간 지역사회 기술을 제공한 결과 지역사회 참여 기술이 증진했다는 Drysdale 등(2008)[24]의 연구 결과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지역사회 참여와 관련된 기술을 교실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중재했다면, 기술을 익힌 후 지역사회 기본 기술을 응용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 중 지적장애인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참여에 필요한 여러 기술을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포함하여, 지역사회의 시설 중의 하나인 복지관에서 실시하여 효과적으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Y. Jang, S. G. Choi.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in Complex Training on leptin, growth hormone, IGF-1, body composition in middle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0, pp.483-497, 2016. 

  2. Y. S. Moon, J. S. Han.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Behaviors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417-45, 2016. 

  3. W. C. Kim.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549-559, 2015. 

  4. O. Choi, W. S. Le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9, pp.455-463, 2014. 

  5. S. N. Seo, S. G. Lee, S. H. Lim.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8, pp.327-333, 2012. 

  6. O. Choi, W. S. Le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9, pp.455-463, 2014. 

  7. J. Andrews, M. Falkmer, S. Girdler, S. "Community particip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neurodevelopmental intellectu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37, No. 10, pp.825-833, 2015. 

  8. H. K. Park, E. S. Ba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Focused on the convergence view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2, pp.615-623, 2016. 

  9. D. R. Johnson, R. A. Stodden, E. J. Emanuel, R. Luecking, M. Mack. "Current challenges facing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services: What research tells u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Vol. 68 No. 4, pp.519-531, 2002. 

  10. C. T. Myers, C. M. Schneck, S. K. Effgen, K. M. McCormick, S. B. Shasby. "Factors associated with therapists' involvement in children's transition to preschool".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5, No. 1, pp.86-94, 2011. 

  11. Woon-Ji, Seo.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on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the Pro-social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hD. dissertation, Dague University. 2014. 

  12. M. Kardos, B. P. White. "The role of the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 in secondary education transition planning: A pilot survey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9, No. 2, pp.173-180, 2005. 

  13. H. G. Juan, Y. Swinth. "As students become adult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transition proces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Vol. 3, No. 3, pp.255-267, 2010. 

  14. W. H. Kim, B. J. Jeon. "Effect of Knowledge of Results and Performance on Motor Learning in Adult with Mental Retard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3, No. 2, pp.31-39, 2005. 

  15. Eun-Kyung, Ryu. "A Survey on Occupational Therapist ′s Perception about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 dissertation, Dague University. 2010. 

  16.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S (Suppl. 1), S1-S48, 2014. 

  17. J. H. Kim, Y. J. Kim. "A review of Literature study on functional Life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 14, No. 1, pp.23-42, 2012. 

  18. K. Wynn, D. Stewart, M. Law, D. Stewart, T. Moning. "Creating connections: A community capacity-building project with parents and youth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to adulthood".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Vol. 26, No. 4, pp.89-103, 2006. 

  19.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663-671, 1982. 

  20. Hye-Young, Hong.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1995. 

  21. A. W. Heinemann, J. S. Lai, S. J. Magasi, Hammel, J., J. D. Corrigan, J. A. Bogner, G. G. Whiteneck, "Measuring participation enfranchisem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92, No. 4, pp.564-571, 2011. 

  22. Eun-Joo, Ki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14. 

  23. H. G. Juan, Y. Swinth. "As students become adult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transition proces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Vol. 3, No. 3, pp.255-267, 2010. 

  24. J. Drysdale, J. Casey, A. Porter-Armstrong. "Effectiveness of training on the community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5, No. 4, pp.247-255, 2008. 

  25. E. H, Kim, S. H, Park. "A Review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Colleges in the USA".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Vol. 45, pp.43-71, 2010. 

  26. E. Becker, S. Dusing, "Participation is possible: A case report of integration into a community performing arts program."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Vol. 26, No. 4, pp.275-28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