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Dementia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472 - 480  

이현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권혁철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환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도와 중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능력을 알아보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대구광역시 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방문하는 95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한국판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노인용(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Geriatric population: (LOTCA-G)을 사용, 작업 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SPSS 20.0 통계처리 프로그램의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정도를 분석하였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의 평가 및 치료적 목표 수립 시 인지 기능과 관련한 작업 참여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ility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dementia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tudy investigated 95 dementia patients who visited a day care center in Daegu between Sep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점차적인 진행에 따른 기능 감소를 확인하고자 치매의 단계별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정도를 확인하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각각의 검사 항목은 최소 1점에서 최대 4점(지남력 항목 예외 : 최소 1점, 최대 8점)까지 채점 가능하며, 총점은 최소 24점에서 최대 10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 기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세부적인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단계별 인지 기능과 작업참여 정도를 확인하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증 치매 57명과 중등도 치매 38명, 총 95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LOTCA-G, MOHOST를 검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작업 참여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와 중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능력을 알아보고,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단계별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치매 환자를 모집하기 위하여 대구시 치매거점병원,복지관, 요양병원, 주간보호센터에 서면, 전화 문의를 통해 연구에 대한 설명 및 연구 대상자 모집에 관한 협조를 구하였다. 협조에 동의를 한 주간보호센터 5곳을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연구 대상자 모집, 연구 절차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자 본인 및 보호자들을 통하여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치매 환자의 법적 보호자의 서면 동의 절차를 거쳐 개개인의 인지 기능과 작업 참여 평가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SE-K의 한계는 무엇인가? 치매 환자의 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도구는 간이정신상태 판별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이며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를 사용한 치매 환자의 인지 측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5].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와 같이 간편한 신경인지검사는 임상에서 치매와 같은 인지 기능장애를 선별하는 과정에는 도움을 주지만 정확한 인지 장애 정도를 측정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효과를 알아보는 용도로는 제한이 있다[6].
MOHOST는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는가? 클라이언트의 작업 참여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인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MOHOST)는 인간작업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진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도구이다[19]. 클라이언트를 관찰하거나 면담, 그와 관련된 사람들을 면담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자료를 수집하여 클라이언트의 작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각적이고 전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14].
LOTCA-G는 무엇인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노인용(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 LOTCA-G)은 작업치료 분야에서 쓰이는 인지 검사 도구로서, 기존의 LOTCA가 노인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에는 도구의 크기가 작고 조작이 어려우며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Katz 등[7]이 노인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 개발한 것이다. 노인들의 인지 기능 각 영역을 세분화하여 검사할 수 있어 지남력, 지각력, 실행력, 시각운동 협응력, 사고조직력, 기억력, 주의력/집중력 등 인지 지각 기능의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인지 장애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도구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A. Song, J. W. Park, H. J. Kim, "Impac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on caregiver burden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5, no. 2, pp. 62-74, 2013 

  2. M. Prince, R. Bryce, E. Albanese, A. Wimo, W. Ribeiro, CP. Ferri, "The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Alzheimer's & Dementia, vol. 9, no. 1, pp. 63-75, 2013. DOI: https://doi.org/10.1016/j.jalz.2012.11.007 

  3. G. U. Kim, H. N. Kim, H. Y. An, Y. J. Kim, J. E. Hwang, B. N. Kim, H. J. Nam, R. Y. Na, E. J. Byeon.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6. p.7-8,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6. 

  4. Y. J. Hwang, M. J. Jeong, K. S. Lee, H. K. Lim, D. J. Kim, "Effects of Tailored occupational activity program applied to patients with dementia in som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1, pp. 129-141, 2011. 

  5. S. H. Park, J. Y. Yoo, S. J. Park, Y. A. Yang, "A systematic review about evaluating screening instruments of dementia patients of cognitive,"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3, no. 2, pp. 73-82, 2009. 

  6. K. Y. Chang, J. Y. Kim, "Study of cognitive function for elderlies in urban area(using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4, no. 3, pp. 71-83, 2006. 

  7. N. Katz, B. Elazer, M. Itzkovich, "Construct validity of a geriatric version of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vol. 13, pp. 31-46, 1995. DOI: https://doi.org/10.1080/J148v13n03_03 

  8. N. Katz, D. Champagne, S. Cermak,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younger and older adults in three version of a puzzle reduction tes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1, pp. 184-192, 1997. DOI: https://doi.org/10.5014/ajot.51.7.562 

  9. S. H. Kim, J. H. Jung,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7, no. 1, pp. 57-67, 2013. 

  10. Y. Jeon, S. H. Shin, H. N. Kim, "A Systematic Review about Cognition Program of Dementia,"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11, no. 1, pp. 1-8, 2017. 

  11. B. H. Lee, J. S. Park, N. R. Kim. "The effect of physic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0, no. 2, pp. 307-328, 2011. 

  12. Y. N. Lee, M. Y. Jung. "Clinical application of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goal setting of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 case stud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vol. 2, no. 1, 2013. 

  13.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AOTA).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3rd edi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8. Supplement.1, pp. S1-S48, 2014. DOI: https://doi.org/10.5014/ajot.2014.682006 

  14. R. Taylor,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5th ed. p.329-348,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 

  15. H. Notoh, T. Yamada, N. Kobayashi, Y. Ishii, K. Forsyth, "Examining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77, no. 10, pp. 516-525, 2014. DOI: https://doi.org/10.4276/030802214X14122630932476 

  16. S. Smallfield, C. Heckenlaibl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to Enhance Occupational Performance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71, no. 5, pp. 1-9, 2017. DOI: https://doi.org/10.5014/ajot.2017.024752 

  17. A. Thinnes, R. Padilla, "Effect of Educational and Supportive Strategies on the Ability of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to Maintain Participation in That Rol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5, no. 5, pp. 541-549, 2011. DOI: https://doi.org/10.5014/ajot.2011.002634 

  18. K. Y. Lim, M. Y. Jung, "Clinical Application of Model of Human Occupation for Fragile Older Adult - A Case Study,"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7, no. 1, pp. 23-33, 2013. 

  19. S. Parkinson, K. Forsyth, G. Kielhofner,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Version 2.0). Chicago, IL:Model of Human Occupation Clearinghous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pplie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06. 

  20.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2, pp. 189-198, 1975. DOI: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21. Y. C. Kwon, J. H. Park,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 1, pp. 125-135, 1989 

  22. J. C. Morrian,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vol. 43, pp. 2412-2414, 1993. DOI: https://doi.org/10.1212/WNL.43.11.2412-a 

  23. Y. J. Cha. T, Y, Le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odified LOTCA-G to reflect Korean cultural contex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6, no. 2, 35-45, 2008. 

  24. G. Kielhofner, C. W. Fan, M, Morely, M. Garnham, D. Heasman, K. Forsyth, S. W. Lee, R. R. Taylor, "A psychometric study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MOHOST),"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0, no. 2, pp. 63-70, 2010. DOI: https://doi.org/10.1016/S1569-1861(11)70005-5 

  25. AB-H. Erez, N. Katz, "Cognitive Profile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Healthy Elderly: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G),"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vol. 22, no. 2, pp. 29-42, 2003. DOI: https://doi.org/10.1080/J148v22n02_03 

  26. S. H. Park, H. Y. Kim, "The effect of Client-Center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on The progression of Mild and Moderate dementia,"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 17, pp. 81-96, 2015. 

  27. Y. J. Lee, J. H. Lee, Y. J. Kim, N. Y. Yang, J. H. Park,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2, no. 3, pp. 85-97. 2014. DOI: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3.07 

  28. H. J. Le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Cognitive Program on LOTCA-G and ADL in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vol. 4, no. 1, pp. 21-29, 2016. DOI: https://doi.org/10.15268/ksim.2016.4.1.021 

  29. J. S. Jang, "Comparis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fferences with Dementia Sta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2, pp. 557-56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557 

  30. J. S. Choi, E. Y. Yoo, B. I Chung, Y. M. Lim, "Cognitive Factors Affecting Self-Care in Dementia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3, no. 4. 113-126, 2003. DOI: https://doi.org/10.1590/S0080-62342010000400011 

  31. LF. Talmelli, AC. Gratao, L. Kusumota, RA. Rodrigues, "Functional independence level and cognitive deficit in elderly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Rev Esc Enferm USP, vol. 44, pp. 933-939, 2010. 

  32. M. A. Trahan, J. Kuo, M. C. Carlson, L. Gitlin, "A systematic review of strategies to foster activity engagement in persons with dementia,"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vol. 41, Supply.1, pp. 70S-83S, 2014. 

  33. C. D. Lee, M. Y. Jung, J. N. Kim, Y. J. Lee, "Effects of Client-Centered Home Modification and Caregiver Education on Activity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Mild Dementia : A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4, no. 1, pp. 75-88. 2016. DOI: https://doi.org/10.14519/jksot.2016.24.1.07 

  34. A.W. Pan, C.W. Fan, L.I. Chung, T.J Chen, G. Kielhofner, M.Y. Wu, Y.L. Chen,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using classical test theory and item response theor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74, no. 1, pp. 34-40, 2011. DOI: https://doi.org/10.4276/030802211X12947686093648 

  35. S. H. Ryu, The Effect of Virtual-Real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2015. 

  36. H. R. Sim,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Self-Efficacy and the Six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Surviv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2017. 

  37. Byeon.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6. p.7-8,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