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관련 비마약성 진통제 처방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및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and Status of Medication Us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Taking Non-opioid Analgesic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1, 2017년, pp.18 - 29  

전해옥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  김복연 (청주성모병원) ,  김혜숙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  채명옥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  김명애 (청주성모병원) ,  김아린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medication us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taking non-opioid analgesics and attempt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9, 2016.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인해 진통제를 복용하는 노인의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만성질환 관련 진통제를 복용하는 노인의 통증 부위는 무릎과 허리였으며, 주로 관절염과 요통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인해 진통제를 복용하는 노인의 약물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약물복용 불이행 및 처방, 비처방약물의 오남용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비암성 만성통증으로 비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아 사용하는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암성 만성통증으로 비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아 사용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비마약성 진통제 약물사용 실태, 증상경험, 우울 및 가족기능,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장기적으로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고취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정확한 약물복용 이행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은 인지기능과 기민성이 저하됨에 따라 약물 복용시간을 잊어버리거나 약물을 과다 또는 과소 복용하는 등 약물의 종류와 용량, 복용관련 자가 간호 능력이 부족해 정확한 약물복용 이행이 어려울 수 있다[5,7]. 2014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 전체 응답자의 23.
만성질환의 치료 목표는 무엇인가? 만성질환의 치료는 완치가 목표가 아니라 증상의 경감과 악화를 늦춤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4], 대부분 장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데, 앓고 있는 질환 수가 많을수록 복용약물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처방약물 복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복용을 이행하는 경우는 67.
노인 만성질환환자 중 몇퍼센트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복용을 이행하고 있는가? 만성질환의 치료는 완치가 목표가 아니라 증상의 경감과 악화를 늦춤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4], 대부분 장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데, 앓고 있는 질환 수가 많을수록 복용약물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처방약물 복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약물복용을 이행하는 경우는 67.2%에 불과하며, 진통제는 과다복용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5], 노인 환자의 올바른 약물복용 이행을 위한 증진 방안이 시급하다. 특히 처방약물 불이행은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질병악화에 따른 재입원의 반복으로 삶의 질 저하를 야기하고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November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parentIdA.1;A1.2;#SubCont. 

  2. Statistics Korea. 2005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November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IN0503&vw_cdMT_ZTITLE&list_idA11I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K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investigation of elderly condition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6 November 10].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35&vw_cdMT_PTITLE&list_idAW&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C2&path%252FcustomStatis%252FcustomStatis_04List.jsp. 

  4. Gellad WF, Gernard JL, Marcum ZA.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Looking beyond cost and regimen.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2011;9(1):11-23. http://dx.doi.org/10.1016/j.amjopharm.2011.02.004 

  5. Kim YH, Lee MK, Lee SJ, Cho MS, Hwang MS. Medication status and adherence of the elderly under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3):290-301. https://dx.doi.org/10.12799/jkachn.2011.22.3.290 

  6. Wertheimer AI, Chaney NM, Santella T. Counterfeit pharmaceutical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jec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Pharmacists Association. 2003;43(1):710-719. http://dx.doi.org/10.1331/154434503322642642 

  7. Flammiger A, Maibach H. Drug dosage in the elderly. Drugs & Aging. 2006;23(1):203-215. http://dx.doi.org/10.2165/00002512-200623030-00003 

  8. Han JH.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their family support and medication knowledge upon medication adherence in old peopl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p. 1-63. 

  9. Elderkin-Thompson V, Moody T, Knowlton B, Hellemann G, Kumar A.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in late-life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1;19(4):364-373. http://dx.doi.org/10.1097/JGP.0b013e3181e89a5b 

  10. Lee HJ, Lee JS, Kim T, Yoon IY.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4;21(1):5-13. http://dx.doi.org/10.14401/KASMED.2014.21.1.5 

  11. Bae SG, Jeon HJ, Yang HS, Kim BK, Park KS. Medication adherence and its predictors in community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5;15(3):121-128. http://dx.doi.org/10.15384/kjhp.2015.15.3.121 

  12. Ryu KH, Son YJ.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medication adherence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3):107-114.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3.107 

  13. Nam KN, Choi EO, Kim BH, Seong SR, Heo YJ, Lee KJ, et al. Prescribing patterns of pain medication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non-cancer pai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5;25(3):145-150. 

  1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5. Uhm SM. A study on te status of prescription and non-prescription drug use in elderly [ma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4. p. 1-58. 

  16. Jeon SH. A study on the status of drug use in elderly [ma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p. 1-56. 

  17. Morisky DE, Ang A, Krousel-Wood M, Ward HJ. Predictive validity of a medication adherence mea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The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2008;10(5):348-354. http://dx.doi.org/10.1111/j.1751-7176.2008.07572.x 

  18. Min SH, Kim JI. Construction of explanatory model for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 19(4):463-472.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4.463 

  19. Yong DSP, Kwok AOL, Wong DML. Symptom burden and quality if life in end-stage renal disease: a study of 179 patients on dialysis and palliative care. Palliative Medicine. 2009;23(2):111-119. http://dx.doi.org/10.1177/0269216308101099 

  20.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1. Cho MJ, Kim KH. Diagnosis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381-398. 

  22. Smilkstein G. The family APGAR: a proposal for a family function test and its use by physicians.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78;6(6):1231-1239. 

  23. Kweon YR, Jeon HO. Relationship of fatigue, family funct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in menopausal perio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6):2579-2588. 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579 

  24. Smilkstein G, Ashworth C, Montano 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mily APGAR as a test of family function.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1982; 15(2):303-311. 

  25. Kim JS, Kang HC. Prediction model for drug misuse and abuse behavior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1):32-43. 

  26. Kim KS. A study of need for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measure to elderly patient according to aging [mater's thesis].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06. p. 1-38. 

  27. Lee JK.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6):554-563. 

  28. Heo YA. Study on drug awareness information, usage and misusage on elderly inpatients of veterans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9):4326-433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9.4326 

  29. Yang JR. The effect of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on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Nursing Science. 2014;26(1): 29-38. 

  30. Kim HS, Kim HY. Factors predicting medication compliance among elderly visitors of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7;18(1):5-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