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5 no.1, 2018년, pp.30 - 38  

박영례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희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화 (군산의료원) ,  박소희 (군산의료원) ,  오희숙 (군산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건강정보이해력과 관련한 연구는 거의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나아가 노인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들의 약물복용이행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재가노인의 60.
  • 본 연구는 일 지역 노인들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약물복용이행도의 정도와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J도와 G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 최근 6개월 이상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인지기능장애 병력이 없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를 편의 표출하였다. 표본수산정을 위해 G*Power 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약물복용이행 수준을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나? 약물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인지적 특성, 사회심리적 요인 등이 있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연령, 배우자 유무, 의료급여혜택 유무 등(Cho et al.
약물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나? , 2011) 등이 있다. 인지적 요인으로는 인지기능수준(Gellad, Gernard, & Marcum, 2011)이 있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Min & Kim, 2012), 자기효능감(Ryu & Son, 2013), 우울(Kim et al., 2011) 등이 해당된다. Min과 Kim (2012)은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이 자기효능감이라고 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변수라고 하였다.
약물복용이행이란? 약물복용이행이란 의사의 처방약을 환자가 정확하게 복용하고, 의료인의 충고나 지시를 따르는 정도(MacLaughlin et al., 2005)를 말하며, 이전에는 의사와 환자의 일방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순응’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환자의 개인적 성향과 환경을 고려하여 상호교류적인 치료적 관계를 지향하는 ‘이행’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Yu & Kang, 2015). 낮은 약물 복용이행도는 사망률과 이환률을 증가시키고(Vestb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D. W., Wolf, M. S., Feinglass, J., Thompson, J. A., Gazma- rarian, J. A., & Huang, J. (2007).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 1503-1509. https://doi.org/10.1001/archinte.167.14.1503 

  2. Bosworth, H. B., Granger, B. B., Mendys, P., Brindis, R., Burkhol- der, R., Czajkowski, S., et al. (2011). Medication adherence: A call for action. American Heart Journal, 162(3), 412-424. https://doi.org/10.1016/j.ahj.2011.06.007 

  3. Cho, E. H., Lee, C. Y., Kim, I. S., Lee, T. W., Kim, G. S., Lee, H. K., et al. (2013).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Based on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4), 419-426.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4.419 

  4. Davis, T. C., Long, S. W., Jackson, R. H., Mayeaux, E. J., George, R. B., Murphy P. W., et al. (1993).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ily Medicine, 25(6), 391-395. 

  5. Gellad, W. F., Gernard, J. L., & Marcum, Z. A. (2011).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Looking beyond cost and regimen.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9(1), 11-23. https://doi.org/10.1016/j.amjopharm.2011.02.004 

  6. Hong, J. W. (1999).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Jeon, H. O., Kim, B. R., Kim, H. S., Chae, M. O., Kim, M. A., & Kim, A. R. (2017).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and status of medication us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taking non-opioid analgesic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1), 18-29. https://doi.org/10.7586/jkbns.2017.19.1.18 

  8. Kim, J. S., & Kang, H. C. (2013). Prediction model for drug misuse and abuse behavior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1), 32-42. 

  9. Kim, M. Y. (2009).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10.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11. Kim, Y. H., Lee, M. K., Lee, S. J., Cho, M. S., & Hwang, M. S. (2011). Medication status and adherence of the elderly under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3), 290-301.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3.290 

  12. Kim, Y. J., & Lee, G. E. (2014). Evaluation of readability of health leaflets and health literacy of elderly inpatients in a medical cent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1), 9-17. https://doi.org/10.17079/jkgn.2014.16.1.9 

  13. Kwon, J. D., & Sohn, E. S. (2010). The Influences of self-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age discrimination upon the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9, 81-106. 

  14. Lee, S. H. (2017).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97-406. https://doi.org/10.14400/JDC.2017.15.9.397 

  15. Lee, S. H., Choi, E. H. R., Je, M. J.,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16. MacLaughlin, E. J., Raehl, C. L., Treadway, A. K., Sterling, T. L., Zoller, D. P., & Bond, C. A. (2005).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Drugs & Aging, 22(3), 231-255. 

  17. Miller, T. A. (2016).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to medical treat- ment in chronic and acute illness: A meta-analysi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9(7), 1079-1086. https://doi.org/10.1016/j.pec.2016.01.020 

  18. Min, S. H., & Kim, J. I. (2012). Construction of explanatory model for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people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4), 463-473. https://doi.org/10.7739/jkafn.2012.19.4.463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Survey of the elderly, 2014. Retrieved Dec. 15, 2017,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318359&page1 

  20. Morisky, D. E., Ang, A., Krousel-Wood, M., & Ward, H. J. (2008). Predictive validity of a medication adherence mea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0(5), 348-354. https://doi.org/10.1111/j.1751-7176.2008.07572.x 

  21. Oh, H. S. (1993).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617-630. 

  22.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Ratzan, S. C., & Parker, R. M. (2006). Health literacy: Identification and respons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8), 713-715. https://doi.org/10.1080/10810730601031090 

  24. Ryu, K. H., & Son, Y. J. (2013).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medication adherence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 107-114. https://doi.org/10.7586/jkbns.2013.15.3.107 

  25.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26. Son, Y. J., & Song, E. K. (2012).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6-15. https://doi.org/10.7739/jkafn.2012.19.1.006 

  27. Statistics Korea. (2016). The aged population statistics. Retrieved Dec. 15, 2017,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 

  28. Sung, C. H., Park, M. R., & Kim, Y. J. (201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for drug knowledge, and drug abuse in the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2160-2169.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160 

  29. Vestbo, J., Anderson, J. A., Calverly, P. M., Celli, B., Ferrguson, G. T., Jenkins, C., et al. (2011). Bias due to withdrawal in long-term randomised trials in COPD: Evidence from the TORCH study. Clinical Respiratory Journal, 5(1), 44-49. https://doi.org/10.1111/j.1752-699x.2010.00198.x 

  30. Yu, S. H., & Kang, J. H. (2015). Review of studies about medication adher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285-297.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