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 이행 모델 기반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
Medication Non-adherence and Related Factors of Older Adults Who Use Polypharmacy Based on Medication Adherence Mod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398 - 406  

정수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탁성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물 이행 모델을 기반으로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제약제 복용 노인 190명이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43.2%가 임의로 처방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을 보였다.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의 이유는 '증상이 조절된다고 느낄 때', '약을 복용하는 것이 귀찮고 불편해서', 그리고 '약을 복용하였을 때 더 나빠지는 것 같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제약제 복용 노인은 능동적으로 약 정보의 내용 및 경로를 탐색하는 정도가 매우 낮았다.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군과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이 아닌 군 사이에 성별, 복용 약의 종류, 그리고 약물 부작용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약 정보의 탐색 내용 및 경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하고 복용 약의 종류를 확인하며, 약물 부작용 경험 여부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능동적으로 약 정보의 내용 및 경로를 탐색하여 찾는 정도가 낮으므로 노인이 선호하는 경로를 통해 약 정보의 내용을 제공하여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이행 의사결정 과정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cation non-adherence and related factors based on medication adherence model of older adults that use polypharmacy. A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90 study participants. Among the 190 subjects, 43.2% did not adhere to their polypharmacy intention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 정보의 탐색 내용 및 경로를 확인한다.
  •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복용 약물과 약물 불이행을 확인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약물 이행 모델을 기반으로 다제약제를 복용하는 노인의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약물 이행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다제약제 복용 노인을 대상으로 약물 이행 모델에 기반을 둔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불이행 간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약물 이행 모델에 기반을 둔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임의로 처방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 수준은 43.
  • 본 연구는 약물 이행 모델에 기반을 둔 다제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약물 불이행 관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조사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다제약제 복용 노인이 임의로 처방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은 국내 고혈압과 뇌졸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20% 내외[7-9] 수준 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약물 이행 모델을 기반으로 다제약제를 복용하는 노인의 약물 불이행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 불이행 어떻게 분류 할 수 있는가? 약물 불이행은 의도와 관계없이 약의 복용을 잊는 비의도적인 경우와 임의로 처방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의도적인 경우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6]. 대상자가 임의로 처방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의 경우는 약물 복용이 귀찮거나 힘들어서 혹은 약물 복용 후 경험하는 이상 증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6].
우리나라 노인의 73%는 평균 몇개의 만성질환에 이환되어 있는가? 우리나라 노인의 73%는 평균 2.7개의 만성질환에 이환되어 있으며, 평균 3.9개의 처방 약을 복용 중이다 [1].
노인의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의 행동과 관련된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인의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은 체계적 고찰에서 20~75%[5]로 보고되고, 국내 노인에서는 20~30%로 조사되었다[7-9]. 이러한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의 행동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질병에 대한 믿음[5], 인지된 위험[5], 우울 증상[8], 약에 대한 신념[8], 그리고 자기 효능감[7]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 인지 이론에 근거한 요인은, 근거를 기반으로 능동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의도적인 약물 불이행[10] 과정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데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오미애, 강은나, 김경래,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 N. Masnoon, S. Shakib, L. Kalisch-Ellett, and G. E. Caughey, "What is polypharmacy? A systematic review of definitions," BMC Geriatrics, Vol.17, No.1, pp.230-239, 2017. 

  3. 박혜영, 손현순, 권진원, "우리나라의 다제약제 현황과 적정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임상약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9, 2018. 

  4. A. Z. Marcum and W. F. Gellad, "Medication adherence to multidrug regimens,"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28, No.2, pp.287-300, 2012. 

  5. O. Mukhtar, J. Weinman, and S. H. Jackson, "Intentional non-adherence to medications by older adults," Drugs & Aging, Vol.31, No.3, pp.149-157, 2014. 

  6. E. Lehane and G. McCarthy,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medication non-adherence: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e? a discussion paper,"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4, No.8, pp.1468-1477, 2007. 

  7. S. Bae, S. Kam, K. Park, K. Kim, N. Hong, K. Kim, Y. Lee, W. Lee, and M. Choe, "Factors related 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medication nonadher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rural community,"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Vol.10, pp.1979-1989, 2016. 

  8. 김영택, 박기수, 배상근,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의 이차 예방을 위한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 관련 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 제40권, 제1호, pp.9-20, 2015. 

  9. 배상근, 전혜지, 양현수, 김보경, 박기수, "지역사회 노인 고혈압 환자들의 약물 순응도와 관련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21-128, 2015. 

  10. A. L. Wroe,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nonadherence: a study of decision making,"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25, No.4, pp.355-372, 2002. 

  11. M. J. Johnson, "The medication adherence model: a guide for assessing medication taking,"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Vol.16, No.3, pp.179-192, 2002. 

  12. J. M. Donohue, H. A. Huskamp, I. B. Wilson, and J. Weissman, "Whom do older adults trust mos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prescription drug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Vol.7, No.2, pp.105-116, 2009. 

  13. A. V. Mamen, H. Hakonsen, R. L. Kjome, B. Gustavsen-Krabbesund, and E. L. Toverud, "Norwegian elderly patients' need for drug information and attitudes towards medication use reviews in community pharma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 Practice, Vol.23, No.6, pp.423-428, 2015. 

  14. 박영임, 이강이, 김동욱, 엄동춘, 김지현,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70-179, 2014. 

  15. S. R. Carter, R. Moles, L. White, and T. F. Chen, "Medicati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patients who use multiple medicines: how does it affect adhere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92, No.1, pp.74-80, 2013. 

  16. L. L. Geryk, S. Blalock, R. F. DeVellis, K. Morella, and D. M. Carpenter, "Associations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he amount of arthritis medication information patients receiv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21, No.10, pp.1122-1130, 2016. 

  17. S. H. Houser, D. W. Au, M. J. Miller, L. Chen, R. C. Outman, M. N. Ray, K. G. Saag, and R. Weech-Maldonado,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in risk information seeking sources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Vol.94, pp.222-227, 2016. 

  18. M. Kriegbaum and S. R. Lau, "Medication non-adherence and uncertainty: information-seeking and processing in the Danish LIFESTAT survey,"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Vol.14, No.8, pp.736-741, 2018. 

  19. S. Borson, J. M. Scanlan, P. Chen, and M. Ganguli, "The Mini-Cog as a screen for dementia: validation in a population-based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No.10, pp.1451-1454, 2003. 

  20.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21. 보건복지부,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조사매뉴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2. D. E. DeLorme, J. Huh, and L. N. Reid, "Seniors' perceptions of prescription drug information 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Healthcare Marketing, Vol.1, No.2, pp.107-127, 2007. 

  23. L. M. Haverhals, C. A. Lee, K. A. Siek, C. A. Darr, S. A. Linnebur, J. M. Ruscin, and S. E. Ross,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medication management processes and design implications for personal health application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3, No.2, pp.1-12, 2011. 

  24. A. Smaje, M. Weston­Clark, R. Raj, M. Orlu, D. Davis, and M. Rawle,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ing Medicine, Vol.1, No.3, pp.254-266, 2018. 

  25. L. T. Sundbom and K. Bingefors, "Women and men report different behaviours in, and reasons for medication non-adherence: a nationwide Swedish survey," Pharmacy practice, Vol.10, No.4, pp.207-221, 2012. 

  26. S. L. Chen, W. L. Lee, T. Liang, and I. C. Liao, "Factors associated with gender differences in medication adherenc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0, No.9, pp.2031-2040, 2014. 

  27. 이종경, "다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오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Vol.23, No.6, pp.554-563, 201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