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 장기요양 환자의 영양 상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Middle-Aged Long-Term Care Pati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 2017년, pp.363 - 372  

오청욱 (한국교통대학교) ,  박윤진 (강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장기요양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40-65세의 병원입원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1일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영양 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는 각각 평균 $15.85{\pm}3.85$, $24.70{\pm}15.85$, $3.54{\pm}1.22$점이었다. 영양 상태와 삶의 만족도(r=.281, p<.005)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인 반면, 영양 상태(r=-.439, p<.001), 삶의 만족도(r=-.574, p<.001)와 우울은 모두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beta}=.387$, p=.000)과 우울(${\beta}=.251$, p=.010)이며, 36.0%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중년기 장기 요양 환자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fluences which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have on satisfaction with life on middle-aged long-term care patient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with 120 patients aged 40-65 from February 1st to March 31th, 2015 in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 요양 중인 중년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중년기 장기요양 환자들을 위한 돌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기 입원 중인 중년기의 영양 상태, 우울, 삶의 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 요양 중인 중년기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주관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그들의 잠재적 건강문제를 확인 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수명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인가? 보건복지부에서도 건강수명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을 중년기부터 시작되는 만성질환이라고 하였으며[3] 유병률이 급증하는 시기도 40세 전후[4]로, 여러 가지 원인중 유전적 요인, 식사요인[5], 흡연, 음주, 신체활동 및 영양 생활습관과 체질량 지수 및 허리둘레 등과도 밀접하다[6]. 이외에도 우울증과도 관련되며 지속적인 우울감은 부적절한 영양을 초래하고 만성질환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7].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 요인은? 중년기 대상자를 상대로 조사한 연구를 보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경우, 한 가지 이상 질환을 진단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기존의 질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우울이 높았으며, 우울군에서 비만이 낮고, 저체중, 대사증후군과 우울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6]. 중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희망, 우울, 생활 만족도가 보고되었고, 우울이 낮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우울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음을 보고하였다[12]. 이 외에도 중년기 성인의 우울이 자아존중감, 자살 생각, 심리적 안녕감 등에 영향을 미치며, 만성질환을 갖는 경우 우울이 심하고,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11,12,19,22].
중년기 삶의 만족도에 주관적 건강, 질병의 개수가 미치는 영향은? 중년기 삶의 질 혹은 삶의 만족도에 건강증상, 질병이 차이를 보인 선행 연구[12,16,31,32]를 볼 때, 삶의 만족도에 주관적 건강, 질병의 개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본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들을 지지한다. 이는 요양에 따른 심리적, 환경적 스트레스가 우울정도가 높이고 적응 유연성을 떨어뜨려 스스로 지각하는 삶의 질이나 건강상 태가 낮게 나타나 문제가 제기되고, 이것은 아직 사회 구성원으로 일을 할 나이에 요양으로 인한 사회의 단절이 우울을 가중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고 보고된 바 있으 며[22], 본 연구 결과에서 삶의 만족도에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이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바와 일치한다. 비교할 선행연구는 없지만, 본 연구에서 영양 상태와 삶의 만족도(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Heath Insurance Service, "Long -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p.9,508,620, Won-Ju, Department of Big Data of National Heath Insurance Service, 2016. 

  2. National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3429, February, 9, 2016. 

  3. National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3436, February, 10, 2016. 

  4. Y.S. Kwon, O.J. Park, "A study of Health Complaints and Cognition of Nursing Home in the Administrated Middle Aged Patient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Nursing, Vol.7, No.2, p.148-156, 2005. 

  5. O. Timer, F. Sestier, E. Levy. "Metabolic syndrome X", a review Can J Cardiol, Vol.16, No.6, p.779-789, 2000. 

  6. J.E. Chu, "Influence of Life Patterns and Health status on Depressed Mood In Korean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Focused on Smoking, Alcohol Drinking,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Dietary Pattern."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Seoul, 2012,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4.43.5.772 

  7. H,J. Lee ,J.H. Yo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Depression, Diagnosis, and Treatment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4, No.1, p.9-16, 2014, ttp://dx.doi.org/10.15384/kjhp.2014.14.1.9 

  8. S.H. Park, "The Effect of Their Mental Health for Managerial Characteristics in Chronic-disease Patients.", Master's dissertio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3. 

  9. E.O. Park. M.D. Kim, Y.J. Son, H.J. Song, S.C. Ho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e, Vol. 20, No.3, p.227-284, 2009. 

  10. K.M. Kyung, M.S. Hyun, J.A. Gu et al,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p. 35, Seoul, Komoonsa published, 2014. 

  11. Y.H. Jung, S. Ko, E.J. Kim,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Vol.12, 2013. 

  12. M.J. Kim, K.B. Kim, "Influenc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Middle Aged Adults an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9, No.2, p.150-158,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50 

  13. Masten, A.S., Cutuli, J.J., Herbers, J. E., & Reed, M. J. "Resilience in development.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117, 2009. DOI:http://dx.doi.org/10.5860/choice.47-1719 

  14. T.Y.An,"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midlife esilience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14, No.5, p.2751-2781, 2013, DOI: http://dx.doi.org/10.15703 /kjc.14.5.201310.2751 

  15. J.B.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life quality on self-esteem and crisis for middle-age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Majorin Clinical Psychology.", Master's disser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2008. 

  16. H.K. Chang,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Korean Journal Adult Nurse, Vol. 24, No.4, p.339-347, 2012. 

  17. K.L. Beck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 

  18. D.E. Chung, K.M. Sung,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7, No.1, p.40-47, 2011. 

  19. H.J. Jeon, J.M. Sim, K.C. Lee,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ults : Emphasis on 2008-2012 KNHANES Dataset."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5, No.7, p.264-281, 2015,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7.264 

  20. H. Jung, "Deteriotating Nutritional status in an increasingly prosperous society." Korean Journal Nutrition. Vol. 38, No.9, p.777-785, 2005. 

  21. H.J. Han, N.C. Kim, "Mini-Nutritional Assessment of Elders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9, No.1, p.22-28, 2007. 

  22. S.Y. Kim, J.I. Lee,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 No.1, p.103-109, 2007. 

  23. YH. Kang,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6, No.2, p.344-355, 2016,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2.344 

  24. Yves Guigoz, Bruno Vellas, Philip J. Garry,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s Part of the Geriatric Evaluation", Nutrition Reviews, Vol. 54, No. 1, p.S59 - S65, 2009, DOI: http://dx.doi.org/10.1111/.1753-4887.1996.tb03793.x 

  25. G.S. Lee, "Nutritional evaluation by using Mini Nutritional Assessment(MNA) and relating factors of postoperative recovery for elderly in gastric cancer", Master's dissertion, Kosin University, 2004. 

  26. L.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No.3, p.385-401, 1977. DOI: http://dx.doi.org /10.1177/01462167700100306 

  27. M.J, Cho, K.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2, No.3, p.381-399, 1993. 

  28. E. Diener., R, Emmons., J, Larsen.,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71-75, 1985. 

  29. YJ. Ryu., "Effects of personality and needs level on subjective well-being", Master's dissertion, Yonsei University, 1996. 

  30. Korea Centers for de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2014", p. 30. 19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31. YS. Kwon, "A study of Health Complaints and Cognition of Nursing Home in the Administrated Middle Aged Patients", Master's dissertion, Ho-Seo University, 2004. 

  32. E. J. Cha,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Aged People in Korea: Testing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0, p.53-80, 2015. 

  33. Y.H. Park, "Middle-aged Adult's Anxiety About Ag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Master's dissertion, Catholic Unversity, Busan,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