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81 - 88  

문명화 (남곡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의 질적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경제적 영역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영역과 관계탄력성, 활동성의 예측변인들이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관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촉진시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198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Gangwon-do were asked to respond by...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도의 가장 큰 예언변인으로 나타난 경제적 영역와 자아탄력성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예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1모형은 1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영역을, 2단계에서 자아탄력성을 예언변인으로 설정하였다.
  • 이상을 정리해보면,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의 선행 변인으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은 서로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개인 심리적 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상대적 설명력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종합해보면, 행복 또는 주관적 안녕감의 핵심은 주관적인 만족감이며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적 평가 요소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안녕감에서도 삶의 만족도에 중심을 두고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 논의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자아탄력성의 관계는 무엇인가?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경제적 영역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조직의 특성과 개인 속성이 관여되고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과 개인의 특성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직무수행과정에서 유아교사가 인적·물적 자극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쾌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직무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다[1]. 유아교사는열악한 근무환경, 업무적 특성, 낮은 사회적 인식과 처우, 교육과 돌봄, 행정업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아[2], 좌절감과 우울증, 상실감 등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유아교육의 질적 하락을 초래한다.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조직의 특성과 개인 속성이 관여되고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과 개인의 특성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직무수행과정에서 유아교사가 인적·물적 자극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쾌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직무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다[1]. 유아교사는열악한 근무환경, 업무적 특성, 낮은 사회적 인식과 처우, 교육과 돌봄, 행정업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아[2], 좌절감과 우울증, 상실감 등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유아교육의 질적 하락을 초래한다. 교육기관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한 연구[3], 직무만족도는 직무 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이 있음을 보고한 연구[4] 등에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 Kyriacou. (1989). The nature and prevalence of teacher stress. In M. cole., & S. Walker (Eds.), teaching and stress(pp.27-33).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2. H. Y. Hang, M. J. Lim & J. h. Tak. (2012). A study of the strategies used to reduce teachers' work-related stres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32(2), 211-240. DOI : 10.18023/kjece.2012.32.2.010 

  3. H. J.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ducation; Institution Counselo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 63-74. DOI : 10.5392/JKCA.2018.18.11.063 

  4. S. Y. Cho. (2003). Child Care Center Teacher's Work Stress and Personality Type by Egogram. The Journal of Korea Child Care and Education, 35, 1-22. 

  5. J. S. Oh. (2013). Polic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Police Welfare Studies, 1(1), 87-107. 

  6. A. S. Masten, K. M. Best & N. Garmezy.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 425-444. DOI : 10.1017/S0954579400005812 

  7. S. Y. Park & Y. S. Jung. (2010).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s among Academic Achieve Pressure, Perceived Academic Stress and Internalization Problems in Boys and Girl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1). 17-32. 

  8. H. W. Chung & O. H. Lee. (2011). The influence of job stres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mong beginning and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31-53. 

  9. S. Kang & K. H. Lyu. (2019). The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in Primary School Entrants: A test of school adjustment's mediation effec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149-158. DOI : 10.22156/CS4SMB.2019.9.11.149 

  10.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 midsec&sid1102&oid421&aid0004462024. 

  11. S. Lyubomirsky. (2007).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Penguin Group. 

  12. E. K. Lee, E. M. Suh, Thai Chu, H. S. Kim & D. K. Sherman. (2009). Is Emotion Suppression that Bad? Comparing the Emotion Sup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Link in Two Culture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1), 136-146. DOI : 10.21193/kjspp.2009.23.1.008 

  13. A. Campbell, P. E. Converse &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4. E. Diener & E. Suh.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1-2), 189-216. 

  15. U. Schimmack, P. Radhakrishnan, S. Oishi, V. Dzokoto & S. Ahadi. (2002). Culture, Person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grating process models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4), 1313-1329. DOI : 10.1037/0022-3514.82.4.582 

  16. P. Hills & M. Argyle. (2001). Happines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happy introve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4), 595-608. DOI : 10.1016/S0191-8869(00)00058-1 

  17.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9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18. M. S. KIM. (2015).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9. M. H. Cho & K. H. Cha. (1998). International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dang. 

  20. K. H. Cha. (2004).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321-338. 

  21. J. H. Choi. (2008).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22. M. H. Moon. (202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3. K. H. Lee, M. J. Ju, H. Y. Lee. (2011).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Kindergarten Teachers' Burnou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1), 97-111. 

  24. Y. A. Yoo.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family resilience and ego-resilience as the paremeter.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25. J. K. H. (2014). A Study on the Role of Job for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And Affluence Studies, 3(2), 1-15. 

  26. Y. K. Jung. (2017). A qualitative study on burnout and vit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2(2), 83-103. 

  27. J. S. Choi. (2017). The effect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ego-resilience and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on job stress.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8. B. Y. Choi. (2013). Relation of Motivation for Selecting Career of Academic Profession and Dedication as Middle School Teacher.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9. E. Y. Jang.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 stres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satisfaction. Master's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30. M. L. Kim.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y and Teacher 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 Care Teacher. Graduate School of Seonam University, Namwon. 

  31. S. H. Bae, Y. H. Kim, S. Y. Han. (2014). Effects of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burnout on teacher'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8(1), 233-2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