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융합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Components for Select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2, 2017년, pp.197 - 204  

전경희 (강남대학교 교육학과) ,  김은하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의융합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예비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타인배려, 대인관계능력, 정직성 관련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빈도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및 중요도에 대해 대인관계능력, 타인배려, 성실성 순으로 프로그램 효과가 높으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대입 전형에서 인성이 평가요소로 반영될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 고등학교의 인성 교육과정과 대학 입학전형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racter evaluation criteria and components for select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s in college admissions. In this study, pre-college students' perceptions were surveyed on various issu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evaluation implemented in K-12 school syst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현장의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창의·융합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초중등 학교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와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대학 입학 전형의 인성평가 요소와 준거 설정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를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창의력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 육성 및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현장의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창의·융합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쟁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16학년도 대입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면접을 치른 예비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과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활용된 측정도구의 개발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와 관련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행되는 인성교육에 대한 운영현황과 대학의 입학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고려되는 인성의 하위구인들을 추출하여 이를 측정도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교사 5명과 대학 교수 10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 그룹을 구성하여 일차적으로 설문내용 및 문항 형식에 대한 논의와, 대학별 공통 인성평가요소 추출을 위한 델파이조사가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대학생의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인성교육 및 인성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융합적인 인재 육성을 위한 핵심 키워드는? 즉,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의 요건은 단순한 학업적 성취의 탁월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융합적인 인재 육성을 위한 핵심 키워드는 창의, 인성, 교과융합, 지식연계 및 고전으로 제안되기도 하며[1], 개인의 소질과 적성, 태도, 잠재력 등 정의적 특성 영역에서의 균형 있는 발달도 포함하게 된다[2]. 이러한 최근의 교육 동향을 반영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과 인성평가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대입 학생 선발 과정에서도 인성을 겸비한 인재 선발 강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정보지능사회가 도래하면서 교육목표는 어떻게 되는가? 4차 산업혁명과 정보지능사회가 도래하면서 기존의 지식 체계와 기술이 새로운 형태로 조직되거나 융합되고 있으며, 학교 교육에서는 이를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것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즉, 미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의 요건은 단순한 학업적 성취의 탁월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입 학생 선발 과정에서 인성을 겸비한 인재 선발 방안의 한계점은? 이러한 맥락에서 각 대학에서는 학교의 인재상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방식으로 인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입학 전형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인성평가 자료 및 절차는 대입전형의 다른 양적인 지표와 달리 평가자의 주관성과 오차가 개입될 소지가 비교적 많은 만큼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인성과 관련한 사항을 내실 있게 평가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한편, 대입전형에서 학생 선발을 위한 준거로 인성을 고려할 때, 인성의 어떠한 측면을 어느 정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 J. Kim, S. S. Jin, I, S. Park, S. B. Shin, S. D. Woo, & M. S. Ha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uture Convergence Curriculum for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Vol. 53, No. 4, pp. 1-30. 2016. 

  2. K. Son, & C. Jeo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Character and Its Implica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Vol. 1, No. 33, pp. 27-52, 2014. 

  3. J. C. Kim, C. Y. Kang, K. H. So, M. H. Son, D. S. Jin, & S. S. Lee,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Reflecting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2. 

  4. Y. R. Moon, "Character Education of America" Philosophy and Reality, Vol. 12, pp. 97-103, 1995. 

  5. B. H. Son,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ymposium,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Life Research Institute, 1996. 

  6. N. S. Cho, Y. R. Moon, M. J. Lee, H. S. Kim, H. J. Kim, & W. Y. Lee, Foundation Reasearch for Character Evaluation Scale Development (CRC 2004-4-14),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4. 

  7.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aracter Education, Seoul: Moonumsa, 1998. 

  8. T. Lickona, & M. Davidson, Smart and Good High Schools: 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Washington, D.C.,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2005. 

  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port on Comprehensive Measures to Eliminate School Violence for Relevant Department, 2012. 

  10. D. H. Namgung, Theory of Character Education, Seoul: Moonumsa, 1999. 

  11. J. Hyun, H. Y. Lee, M. Y. Han, D. H. Seo, & D. Y. Ryu, Analysis on How to Revitaliz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Education(I):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Explor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R 2013-01, 2013. 

  12. Y. D. Yoon, "Diagnosis of Character in School and Ori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 Focusing on the Result of Creative Convergence R & E about High School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32, No. 4, pp. 153-172, 2015. 

  13. Ministry of Education, Political Research for Vision Establishment of Character Education, Seoul: Jin Han M & B, 2014. 

  14. http://www.moe.go.kr/web/45859/ko/board/view.do?bbsId 294&boardSeq54267. 

  15. S. M. Park, & S. H. Heo, "Integrative Character Scale Development for Youth."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1, No. 3, pp. 35-47, 2012. 

  16. S. Bae, & M. Suh, "The Teachers' and Par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a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 33, No. 1, pp. 57-76, 2012. 

  17. K. Son,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Vol. 41, pp. 49-78,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