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적 특성 및 공극률 조절을 위한 나노/마이크로섬유 하이브리드 매트 제작
Fabrication of a Nano/Microfiber Hybrid Mat for Control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Porosity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41 no.1, 2017년, pp.41 - 48  

김정화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계공학과) ,  정영훈 (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에너지, 바이오공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초미세 고분자섬유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섬유의 제작방법의 하나로서 전기방사법은 타 공정에 비해 공정장치가 간단하고 재료의 선택에 제한이 적은 등 다양한 장점을 가져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방사공정은 미세한 고분자 섬유가 전기장이 부가된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높은 불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기방사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섬유매트의 형상 및 기하학적 특성의 조절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섬유의 직경을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섬유로 제작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조합하여 기계적 특성과 공극률을 조절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섬유매트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제작된 매트를 이용하여 기계적 특성과 공극률이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ne polymeric fibers have been gaining interest from the energy harvesting/storage, tissue, and bioengineering industries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the small diameter, high porosity, permeability, and similarities to a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Electrospinn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기계적 성질과 공극률이 조절된 고분자섬유 매트를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휘발성이 서로 다른 두 용매에 동일한 고분자를 용해한 용액을 각각 반대방향에서 동시에 방사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경의 고분자 섬유로 구성된 매트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였다.
  • 비드(bead)가 없고 균일도가 높은 PCL 나노섬유의 전기방사를 위해 적합한 PCL-CF-DMF 용액의 농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농도에 따른 섬유의 직경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전자, 에너지, 바이오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방사공정 기반의 고분자 나노섬유의 관심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전자, 에너지, 바이오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방사공정 기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나노섬유가 가진 미세한 직경으로 인한 우수한 기계적 성질, 높은 공극률 및 투과율, 부피-표면적비, 전기방사공정의 낮은 소재선택의 제한,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장치 등의 장점으로 높은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6) 특히 조직공학 및 바이오공학 측면에서는 고분자 나노섬유의 세포 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유사한 구조적 특징으로 스캐폴드(7)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분자 나노섬유의 세포 외기질과 유사한 구조적 틍징으로 스캐폴드를 포함한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6) 특히 조직공학 및 바이오공학 측면에서는 고분자 나노섬유의 세포 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유사한 구조적 특징으로 스캐폴드(7)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 용액이 전기방사노즐 끝단에서 집적판(collector)까지 미세한 섬유로 전이되며 이동하는 사이에 높은 전기장이 부가된 공기층을 지나면서 높은 불안정성을 가져 집적판에 집적되는 섬유의 형상 및 기하학적 특성의 조절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8) 또한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로 구성된 매트는 작은 직경과 높은 밀도로 상대적으로 공극률이 낮고, 무엇보다 세포의 이동이 깊이 방향으로 최대 약 50 μm 정도로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9)
공극률과 세포 침투 깊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무엇인가 이러한 공극률과 세포 침투 깊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섬유가 혼합된 복합구조를 제작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 Kim 등은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소재를 전기방사법과 용융전기방사법 (melt-electrospinning)의 2가지 공정을 결합하여 약 530 nm 직경의 나노섬유와 약 28 μm 직경의 마이크로섬유를 동시에 방사하여 공극률을 조절할 수 있고, 상피각질세포(epidermal keratinocyte cell)를 배양하여 스캐폴드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zenis, Y., 2004, "Spinning Continuous Fibers for Nanotechnology," Science, Vol. 304, No. 5679, pp. 1917-1919. 

  2. Huang, Z. M., Zhang, Y. Z., Kotaki, M. and Ramakrishna, S., 2003, "A Review on Polymer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Applications in Nanocomposit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63, No. 15, pp. 2223-2253. 

  3. Ramakrishna, S., Fujihara, K., Teo, W. E., Lim, T. C. and Ma, Z., 2005, "An Introduction to Electrospinning and Nanofibers," World Scientific, Vol. 90. 

  4. Kim, G., Park, S., Lee, J. and Ahn, Y., 2005, "Fabrication of Polycarbonate Nano Fibers Using Electrospinning,"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29, No. 4, pp. 512-518. 

  5. Kim, K., Kim, T., Lee, J., Ahn, J., Park, S. and Kim, H., 2015, "Performance Evaluation of PAN Nanofiber Air Filter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9, No. 11, pp. 885-890. 

  6. Zhang, D. H. and Kwon, K. S., 2015, "High Speed and Continuous Electrospinning Printing Using Polymer Ink,"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 39, No. 4, pp. 379-384. 

  7. Deitzel, J. M., Kleinmeyer, J., Harris, D. and Beck Tan, N. C., 2001, "The Effect of Processing Variables on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Nanofibers and Textiles," Polymer, Vol. 42, No. 1, pp. 261-272. 

  8. Lee, J., Lee, S. Y., Jang, J., Jeong, Y. H. and Cho, D. W., 2012, "Fabrication of Patterned Nanofibrous Mats Using Direct-Write Electrospinning," Langmuir, Vol. 28, No. 18, pp. 7267-7275. 

  9. Pham, Q. P., Sharma, U. and Mikos, A. G., 2006, "Electrospun Poly ( ${\varepsilon}$ -caprolactone) Microfiber and Multilayer Nanofiber/Microfiber Scaffolds: Characterization of Scaffolds and Measurement of Cellular Infiltration," Biomacromolecules, Vol. 7, No. 10, pp. 2796-2805. 

  10. Kim, S. J., Jang, D. H., Park, W. H. and Min, B. M., 2010,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imensional PLGA Nanofiber/Microfiber Composite Scaffolds," Polymer, Vol. 51, No. 6, pp. 1320-1327. 

  11. Kim, B. S., Park, K. E., Kim, M. H., You, H. K., Lee, J. and Park, W. H., 2015, "Effect of Nanofiber Content on Bone Regeneration of Silk Fibroin/Poly ( ${\varepsilon}$ -caprolactone) Nano/Microfibrous Composite Scaffolds,"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Vol. 10, No. 485, pp. 485-502. 

  12. Li, D., Wang, Y. and Xia, Y., 2003, "Electrospinning of Polymeric and Ceramic Nanofibers as Uniaxially Aligned Arrays," Nano Letters, Vol. 3, No. 8, pp. 1167-1171. 

  13. Katta, P., Alessandro, M., Ramsier, R. and Chase, G., 2004, "Continuous Electrospinning of Aligned Polymer Nanofibers Onto a Wire Drum Collector," Nano Letters, Vo. 4, No. 11, pp. 2215-2218. 

  14. Reneker, D. H. and Yarin, A. L., 2008, "Electrospinning Jets and Polymer Nanofibers," Polymer, Vol. 49, No. 10, pp. 2387-2425. 

  15. Santos, M., Pashkuleva, I., Alves, C., Gomes, M. E., Fuchs, S., Unger, R. E., Reis, R. and Kirkpatrick, C. J., 2009, "Surface-modified 3D Starch-based Scaffold for Improved Endothelialization for Bone Tissue Engineering,"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 19, No. 24, pp. 4091-4101. 

  16. Hutmacher, D. W., Schantz, T., Zein, I., Ng, K. W., Teoh, S. H. and Tan, K. C., 2001, "Mechanical Properties and Cell Cultural Response of Polycaprolactone Scaffolds Designed and Fabricated via Fused Deposition Modeling,"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Vol. 55, No. 2, pp. 203-216. 

  17. Domb, A. J., Kost, J. and Wiseman, D., 1998, "Handbook of Biodegradable Polymers" Vol. 7, CRC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