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 분석
The Analysis on Teache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467 - 474  

임진형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경미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진미선 (햇살어린이집)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실외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의 의미, 실외놀이 운영의 어려움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신체발달을 도모하는 실외놀이, 소통으로서의 실외놀이, 에너지 발산으로서의 실외놀이, 자연과 함께하는 실외놀이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대 소 근육을 발달시키고 사회성 발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에너지의 발산과 자연과의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여러 자료와 방법을 통해 유아들에게 의미있는 실외놀이 활동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실외놀이의 운영, 시간의 부족, 놀이지도 자질의 부족의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외놀이의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고, 실외놀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보도록 하는데 의미를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obtained in planning/operating the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expe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실외놀이 운영에 대한 경험 분석을 통해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향후 효과적인 실외놀이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외 놀이는 유아의 발달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그 중 실외 놀이는 현대사회에서 영유아가 실내에서 벗어나 뛰놀고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면서 하루일과 중 중요한 시간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실내보다 넓은 공간에서 놀이가 이루어지면서 영유아에게 또 다른 놀이의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넓은 공간에서의 활발한 신체활동으로 신체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성, 언어, 인지, 정서, 창의성 등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보육진흥원[4]에서는 실외놀이 활동 시간을 보육일과 중에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며, 오전 또는 오후 일과 중 매일 1시간 이상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의 놀이 행동은 놀이 환경과의 관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 그렇기 때문에 놀이가 보다 교육적이고 가치 있는 활동이 되기 위해서 실내놀이 환경과 실외놀이 환경을 정비하고 효과적으로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유아에게 있어서 놀이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유아는 놀이를 통해서 삶을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으며, 놀이는 단순한 유희의 의미가 아닌 발전의 의미가 있다[1]. 즉, 유아의 놀이는 환경을 탐색하며 자신의 역할, 가족 및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혀 나가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J. Shi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s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299-324. 2004. 

  2. C. Y. Park, N. M. Jung, H. J. Kwak,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Jung-Min-Sa, 2014. 

  3. Korea Child Care Promotion Institute, The Korean National Day Care Curriculm, 2015.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15. 

  5. S. K. Kim, A Quantitative &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alities of Outdoor Play in the Pre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2000. 

  6. J. S. Kim, A study of Kindergarten Outdoor Play equipments and program : mainly focused on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2. 

  7. H. J. Kim, The Actual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2. 

  8. E. H. Kim, J. H. Ryu,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Meanings an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Outdoor Activities and the Methods How to Activate Outdoor Play, The Korea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6, no. 4, pp. 27-52, 2012. 

  9. M. R. Jung, S. K. Kang, The study of the safety of outdoor playground. 16(5),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249-268, 2011. 

  10. M. K. An, J. H. Lee, Conditions and Uses of Outdoor Playgrounds for Infants and Toddler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4, no. 3, pp. 225-243. 2007. 

  11. J. J. Han, J. H. Yun, A Qualitative Study on Young Children Outdoor Play Experience: Focusing on Playground Equipment, vol. 31, no. 5, pp. 155-181. 

  12. J. M. Kim,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Outdoor Play Activation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4. 

  13. I. J. Seo,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in Indoor and Outdoor Playgrounds,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6. 

  14. H. S. Jee, Management Condi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Outdoor Play Facilities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2. 

  15. S. E. Lee, D. J. Shin, Guidelines for Developing Programs to the Activ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Korea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2, no. 2, pp. 147-16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