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Outdoor Play Space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85 - 94  

권선영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정지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선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의 실외공간인 바깥놀이터의 다양한 공간 구성과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간,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게 되는 공간의 의미가 어떠한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1곳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바깥놀이 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한 비참여 관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비형식적 면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한 기관의 바깥놀이 공간 구성에 따라 유아들은 바깥놀이 공간을 자신의 심리를 재현 또는 표출하는 공간, 일상생활이 확장된 공간, 관계가 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기능적 공간, 제한된 공간, 분리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는 바깥놀이 공간에서 또래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 할 수 있는 기회와 확장된 놀이를 통해 유아자신의 일상성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한다는 것과, 아동중심의 발달에 적합한 공간구성은 기능적이고 획일화된 바깥놀이 공간 구성이 아닌 유아들의 일상적인 삶과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 of the outdoor play spaces used by young children, as perceived by them and their teachers. For this purpose, indirect observation, nonformal interviews during the activity of young childre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conducted in 3 kindergarten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의 놀이 상황을 살펴보고, 놀이 속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이해를 통해 공간과 유아의 실생활 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유아들이 기관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바깥놀이공간은 유아들의 삶 속에서 기존의 발달론에 기초한 교육적 가치와 의미이외에 어떠한 존재론적 의미로 나타나며, 바깥놀이에서의 사회적 규칙, 공간의 점유, 놀이 상대자, 집단의 형성 등 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유아들은 어떻게 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지각하고 있는지를 현장관찰과 유아와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하며 물놀이 영역으로 손님역을 맡은 유아를 안내한다. 물놀이 영역의 수도꼭지 앞에 친구를 앉히고 수도꼭지를 열어 머리를 감겨주는 시늉을 한다. 그 모습을 본 물놀이 영역에 있던 다른 유아는 “나도 머리감을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을 지닌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 간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고, 바깥놀이 공간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이해를 통해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의 놀이 상황을 살펴보고, 놀이 속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이해를 통해 공간과 유아의 실생활 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유아들이 기관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바깥놀이공간은 유아들의 삶 속에서 기존의 발달론에 기초한 교육적 가치와 의미이외에 어떠한 존재론적 의미로 나타나며, 바깥놀이에서의 사회적 규칙, 공간의 점유, 놀이 상대자, 집단의 형성 등 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유아들은 어떻게 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지각하고 있는지를 현장관찰과 유아와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깥놀이 공간의 장점은? 오늘날 유아가 주거 공간인 가정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유아교육기관은 크게 실내・외 놀이 공간으로 구분되며, 이 중 실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바깥놀이 공간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실내놀이와는 다른 매력을 제공하기도 한다. 바깥놀이 공간은 유아에게 넓은 공간을 제공하고, 실내에서와 같은 통제와 제한이 없어 결과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를 시도해보고, 탐색하며, 실험해 볼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한다. 유아들도 성인의 통제와 감시로부터 벗어난 실외 영역을 규제가 적은 자신들만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2].
유아교사의 경우 바깥놀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였나? 연구결과 참여한 기관의 바깥놀이 공간 구성에 따라 유아들은 바깥놀이 공간을 자신의 심리를 재현 또는 표출하는 공간, 일상생활이 확장된 공간, 관계가 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기능적 공간, 제한된 공간, 분리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는 바깥놀이 공간에서 또래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 할 수 있는 기회와 확장된 놀이를 통해 유아자신의 일상성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한다는 것과, 아동중심의 발달에 적합한 공간구성은 기능적이고 획일화된 바깥놀이 공간 구성이 아닌 유아들의 일상적인 삶과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바깥놀이공간에 있는 공연장에서 유아들이 보인 행동의 예는? 바깥놀이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작은 공연장에서 유아들은 자신들의 놀이를 공연하듯이 공연장을 활용하고 관객에 대한 신경은 쓰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한 유아는 무대 위에서 훌라후프를 돌리기도 하며 다른 유아에게 자신이 하는 모습을 지켜보도록 하고, 또 다른 유아는 줄넘기를 다양한 형태의 줄넘기를 설명하기도 하고 유아 스스로 규칙이나 순서를 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공연자가 되기도 하고 관객이 되기도 하면서 유아들에게 공연장은 공연장으로의 보습 보다는 유아들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비구조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 S. Lee., Existence and Time, Seoul: Magpie, 2006. 

  2. Stephenson, A., "Physical Risk-taking: Dangerous or Endangered?", Early Years, vol. 12, no.1, pp. 35-43, 2003. DOI: https://doi.org/10.1080/0957514032000045573 

  3. S. E. Lee., "A Qualitative Study on the Use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Outdoor Play at Educational Agencies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9, no. 3, pp. 153-170, 2010. 

  4. Maynard, T., "Forest Schools in Great Britain: an Initial Exploration",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vol. 8, no. 4, pp. 320-331, 2007. DOI: https://doi.org/10.2304/ciec.2007.8.4.320 

  5. Waters, J., & Maynard, T., "What's So Interesting Outside? A Study of Child-initiated Interaction with Teachers in the Natural Outdoor Environment",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vol.18, no. 4, pp. 473-483, 2010. DOI: https://doi.org/10.1080/1350293X.2010.525939 

  6. Waller, T., "Don't Come Too Close To My Octopus Tree": Recording and Evaluating Young Children's Perspectives on Outdoor Learning",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vol. 16, no. 2, pp. 1546-2250, 2006. 

  7. K. O. Na, & K. H. Kim, "An Action Research for Teacher-children Co-construction in Outdoor Play in Natural Space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1, no. 2, pp. 43-68, 2014. 

  8. S. Y. Kweon, J. H. Jung, & K. E. Kim, "The Discourse and Meaning of Space Construction in Kindergarten, Focused on Social Interaction Among Young Children in Free-choice Activiti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 14, no. 2., pp. 395-421, 2013. 

  9. B. Y. Lim, H. R. Yang, & J. Y. Song, "The Meaning of Classroom Space as a Place Where Children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4, pp. 249-272, 2012. 

  10. Tovey, H., Playing Outdoors: Spaces and Places, Risk and Challenge,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2007. 

  11. Y. S. Kwak, Qualitative Research-Philosophy, Arts, and Education, Kyoungki: Kyoyookbook, 2011. 

  12. Lefebvre, H., The Production of Space, Seoul: Ecolibre, 2011. 

  13. Y. S. Son, Young Children Live with Whole Body, Kyoungki: Gongdongche, 2006.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uri Curriculum, Seoul: MEST, 2013. 

  15. Y. S. Kim, "Socio-cultural Reconstruction of Space Text and Space Storytelling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Gumdan and Chuncheon-", Human Contents, vol. 11, pp. 35-59, 2011. 

  16. Bollnow, O. F., Padagogische Anthropologie, Seoul: Munumsa,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