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유아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오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Reliability Estima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565 - 571  

김경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최연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정서지능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오차 분석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하는 도구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유아 대상의 검사도구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도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5세 14학급 198명의 담임교사 14명과 어머니가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한 자료이다. 이병래[14]의 유아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자, 평가문항, 평가대상 유아, 검사도구 그리고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분산추정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정서지능 개인차가 평가결과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위요인중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능력' 등은 단일국면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아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교사뿐 아니라 부모도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일부 하위 요인의 경우에는 오차변인의 비율이 크게 나와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도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앞으로 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제작 및 활용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rror sour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198 five years old children was assess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Lee[14].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using 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오차요인을 분석하고 분산의 크기를 비교하여 오차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유아정서지능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구중 하나를 선정하여 평가도구의 적정성에 대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병래[14]가 개발한 정서지능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유아평가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유아정서지능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구중 하나를 선정하여 평가도구의 적정성에 대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병래[14]가 개발한 정서지능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유아평가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Riss 통합검색 사이트를 이용할 경우 이병래[14]의 정서지능검사도구를 사용한 연구는 학위논문 185편, 학술지논문 23편(2016년 7월 28일 기준)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화가능도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할 수 있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은, 고전검사이론이 측정상황의 오차요인을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고 측정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차요인을 동시에 분석하고, 측정점수에 대한 오차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산출하여, 일반화가능도 계수와 의사결정자에게 안정된 점수를 얻기 위한 측정조건을 제시하는 평가방법이다[16]. 일반화 가능도 이론은 측정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차요인을 동시에 고려하고 이를 분산성분으로 분해하여 분석한다.
고전검사이론에 근거해서 산출하는 Cronbach의 α값은 어떤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는가?  그런데 고전검사이론에 근거해서 산출하는 Cronbach의 α값은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오차의 원인을 단지 하나의 변인으로만 규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에서는 평가자, 평가문항, 그리고 유아 등 다양한 요인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Cronbach의 α값을 신뢰도 계수의 유일한 수치로 간주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정서지능의 개념 정립과 그에 따른 평가가 용이하지 않는 이유는? 정서지능은 정서라는 요소와 지능이라는 요소가 결합된 고차원적인 정신적 능력[19]이기 때문에 개념의 정립과 그에 따른 평가가 용이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 지능의 대표적인 학자인 Goleman[18]과 Salovey와 Mayer [10]등 역시 자신의 원래 이론을 수정한 모델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 Kang, G. Lee, "A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Generaliz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Student Peer Review",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19, no. 3, pp. 107-121, 2006. 

  2. K. S. Kim, G. Lee, S. H. Kang, "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Estimation of Reliability in a Korean Speaking Achievement Test by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21, no. 4, pp. 51-75. 2010. DOI: https://doi.org/10.18209/iakle.2010.21.4.51 

  3. K. H.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otion in Korean 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hychology, vol. 10, no. 1, pp. 43-46, 1997. 

  4. S. Kim,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Classroom Observations in the U.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41, no. 1, pp. 5-29, 2014. 

  5. M. Nam, "An Appl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Theory to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9, no. 2, pp. 73-93, 1996. 

  6. S. Yoo, "Performance Assessment: Issues of Generalizability Theory, Dependability of Scoring, and Relative Information on Student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 11, no. 2, pp. 23-41, 1998. 

  7. Y. S. Lee, S. K. Shin, "An investigation into the dependability of ratings in a German speaking test using the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 11, no. 2, pp. 259-265, 2004. 

  8. Y. J. Lee, J. S. Lee, E. S. Sh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9, no. 2, pp. 157-186, 1999. 

  9. S. H. Ha, H. A. Seo, "An Analysis Study on Research Trends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Children Literary Study, vol. 14, no. 2, pp. 461-485, 2013. 

  10. P. Salovey, J. D. Mayer,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vol. 9, no. 3, pp. 185-211, 1990. 

  11. K. H. Kim,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98. 

  12. E. Y. Song, "The effects of outdoor cooperative game activitie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Sungshin Women University. 2008. 

  13. K. H. Le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Children's Temperament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je University, 2010. 

  14. B. R. Le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ungang University, 1998. 

  15. J. Cho, "A Study on the Optimal Conditions of Tasks and Raters Facet in Speaking Assessment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08. 

  16. S. S. Kim, Y. B. Kim, "Generalizability Theory", KyoyukKwahaksa, Seoul, 2001. 

  17. J. S. Lee, "Generalizability Theory",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1988. 

  18.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Books, 1995. 

  19. J. D. Mayer,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pp. 3-34, New York, NY: Harper Collin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