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과 노인의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between Adults and the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1, 2017년, pp.12 - 21  

길은하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as to compare what factors influenced individual's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2013 with 20,641 participants. A total sample of emergency room (ER) us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대표성을 띠는 한국의료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64세 성인과 65세 이상의 노인을 구분하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응급의료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응급의료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의 세대별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와그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2차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의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고 연령별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며 응급의료 관련 정책과 병원의 응급실 의료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별로 20~64세 성인과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구분하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실제로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국내외 연구에서 주된 지표로 사용되고 있고 서비스 영향요인을 판별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근거로 활용한 바 있다[2,5-11].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보면 외국의 경우 의료진의 숙련된 대인관계, 충분한 정보제공, 체감 대기시간의 단축 등이 응급실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주된 요소라 하였고 [9,10] 한국의 경우는 대기시간,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과 친절도, 응급실 환경, 병원이미지, 사후 프로세스, 응급실까지의 교통수단, 지연 여부와 서비스 종료 후 조치 등이 응급의료서비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5-8].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다[4]. 실제로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국내외 연구에서 주된 지표로 사용되고 있고 서비스 영향요인을 판별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근거로 활용한 바 있다[2,5-11].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보면 외국의 경우 의료진의 숙련된 대인관계, 충분한 정보제공, 체감 대기시간의 단축 등이 응급실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주된 요소라 하였고 [9,10] 한국의 경우는 대기시간,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과 친절도, 응급실 환경, 병원이미지, 사후 프로세스, 응급실까지의 교통수단, 지연 여부와 서비스 종료 후 조치 등이 응급의료서비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5-8].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성인 및 노인의 공통적인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에 불만족한 대상자가 18%에 이른다는 점에서 응급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성인 및 노인의 공통적인 불만 요인은 타 병원으로 이송된 경우 이므로 각 응급실에서 필요한 응급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응급의료체계가 정비되어야 한다. 성인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응급실까지의 도착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사고나 중독으로 방문 시 환자의 절박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 대한 응급 서비스의 질이 확보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annals of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for 2014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5 [cited 2015 Aug 15]. Available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2. Je DW, Kim CH, Sung AJ, Seo JS, Ryoo HW, Park JB, at 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overall user satisfaction over 10 years in an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7;18(6):458-70. 

  3. Cho CH, Lee EJ. A study on improvement of large-size hospital's emergency medical service according to patient's viewp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13;41(4):541-54. https://doi.org/10.7469/jksqm.2013.41.4.541 

  4. Cleary PD, McNeil BJ. Patient satisfaction as an indicator of quality care. Inquiry. 1988;25:25-36. 

  5. Lee JC, Kim KH, Kim HN, Park YH. Patient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Korea: what matters mo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1;22(4):299-308. 

  6. Park JO, Shin SD, Song KJ, Ahn KO, Hong KJ, Suh GJ. Factor for the dissatisfaction of patient for emergency department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7;18(2):97-106. 

  7. Kang KH.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2):145-51. https://doi.org/10.4332/kjhpa.2013.23.2.145 

  8. Kim HJ, Yom YH. The impact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services, switching costs and perceived risk on intention of reuse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32-42.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32 

  9. Taylor C, Benger JR. Patient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04;21(5):528-32. https://doi.org/10.1136/emj.2002.003723 

  10. Messina G1, Vencia F, Mecheroni S, Dionisi S, Baragatti L, Nante N. Factors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emergency department care: an Italian rural hospital.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2015;7(4):30-9. https://doi.org/10.5539/gjhs.v7n4p30 

  11. Khankeh HR, Khorasani-Zavareh D, Azizi-Naghdloo F, Hoseini MA, Rahgozar M. Triage effect on wait time of receiving treatment services and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xample from Iran.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3;18(1):79-83. 

  12. Gerson LW, Rousseau EW, Hogan TM, Bernstein E, Kalbfleisch N. Multicenter study of case finding in elderly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995;2:729-34. https://doi.org/10.1111/j.1553-2712.1995.tb03626.x 

  13. Rahmqvist M. Patient satisfaction in relation to age, health status and other background factors: a model for comparisons of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1;13(5):385-90. https://doi.org/10.1093/intqhc/13.5.385 

  14. Sun BC, Adams J, Orav EJ. Determinants of patient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turn with emergency car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0;35(5):426-34. https://doi.org/10.1016/s0196-0644(00)70003-5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Korea health panel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cited 2015 Aug 02]. Available from: https://www.khp.re.kr:444/ 

  16. Toloo GS, FitzGerald GJ, Aitken PJ, Ting JY, McKenzie K, Rego J, et al. Ambulance use is associated with higher self-rated illness seriousness: user attitudes and perceptio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13;20(6):576-83. https://doi.org/10.1111/acem.12149 

  17. Gower LJ, Gatewood MO, Kang CS.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delirium in the elderly. The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2;13(2):194-201. https://doi.org/10.5811/westjem.2011.10.6654 

  18. Kim CH, Lee JS, Kweon MX, Lee CM, Kwon OY, Choi HS, et al. A study for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mortality in emergency department sepsis score in geriatric patients with sepsis at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2;23(4):500-9. 

  19. Yoon CS, Choi HJ, Kim HB, Park SH, Park KH, Kwak MK.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in older homeless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5;26(1):17-21. 

  20. Svenson JE. Patterns of use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 a population-based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00;18(2):130-4. https://doi.org/10.1016/s0735-6757(00)90002-0 

  2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port on the social survey for 2014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Nov 23]. Available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pubcodeKN 

  22. Hedges JR, Trout A, Magnusson AR. Satisfied patients ex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SPEED) study.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2;9(1):15-21. https://doi.org/10.1197/aemj.9.1.15 

  23. Hangsagi H, Carlsson B, Brismar B. The urgency of care need and patient satisfaction at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Health Care Manage Review 1992;17:71-5. https://doi.org/10.1097/00004010-199201720-00008 

  24. Akkaya EG, Bulut M, Akkaya C.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atients' satisfaction of the applicants for emergency service. Turkish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2;12(2):62-8. https://doi.org/10.5505/1304.7361.2012.67689 

  25. McCoy CE, Menchine M, Sampson S, Anderson C, Kahn C. Emergency medical services out-of-hospital scene and transport tim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mortality in trauma patients presenting to an urban Level I trauma center.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13;61(2):167-74.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12.08.026 

  26. Sugerman DE, Xu L, Pearson WS, Faul M.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ransferred to a Level I or II trauma center: United States, 2007 to 2009.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2012;73(6):1491-9. https://doi.org/10.1097/ta.0b013e3182782675 

  27. Hollander JE, Pines JM. The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paradox: the longer you stay, the less care you ge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7;50(5):497-506.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7.05.002 

  28. Bernstein SL, Aronsky D, Duseja R, Epstein S, Handel D, Hwang U, et al. The effect of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on clinically oriented outcome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9; 16(1):1-10. https://doi.org/10.1111/j.1553-2712.2008.00295.x 

  29. Brouns SH, Stassen PM, Lambooij SL, Dieleman J, Vanderfeesten IT, Haak HR. Organizational factors induce prolonged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in elderly patients-a retrospective cohort study. PLoS One. 2015;10(8):e013506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5066 

  30. Hoot NR, Aronsky D. Systematic review of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causes, effects, and solution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8;52(2):126-36.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8.03.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