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인지기능과 낙상유발 행동요인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Fall-risk Related Behavioral Factor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2, 2018년, pp.41 - 50  

주유미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헌주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수준이 낙상을 유발하는 위험 행동요인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간 4개의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 및 인지장애가 없는 노인 43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평가(K-MoCA) 및 낙상행동요인척도(FaB)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평가의 총점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SPSS 2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낙상행동요인과 인지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의 인지수준과 낙상행동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노인 낙상행동요인 척도의 총 30개의 문항 중 9개의 문항이 K-MoCA의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노인의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낙상위험 행동요인이 적고, 인지수준이 낮을수록 낙상위험 행동요인을 인식하지 못하고 낙상관련 위험행동을 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일부 낙상위험 행동요인은 인지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어 관련 중재를 제공할 시 고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fall-risk behavioral factors. Methods: The elderly over than 65 year-old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in four different regional areas. Total 43 data of K-MoCA and FaB were col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작업치료는 낙상을 유발하는 다재적인 요인들을 치료에 반영하고 알맞은 중재를 제공하게 된다. 노인에게 낙상의 발생은 인지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지수준과 낙상행동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써 인지수준이 낮을수록 낙상 유발 행동요인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고, 반대로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낙상유발 행동요인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평가도구는 MMSE이지만, K-MoCA는 MMSE에 비해 경도 및 경계성 인지장애를 보다 민감하게 선별하는 장점이 있어, 최근 들어 지역사회현장 및 경도인지장애를 감별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MoCA와FaB을 실시하여 인지수준이 낙상유발 행동요인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특히나 FaB의 문항 중 어떤 행동요인이 인지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 2008).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인지적 수준에 따라 낙상유발 행동요인을 수정하기 위한 중재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대하여 고민하였고,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인지수준과 낙상유발 행동요인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재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수준이 낙상 유발 행동요인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도인지손상을 민감하게 선별하는 K-MoCA 점수와 FaB의 점수를 상관 분석을 하였다. 특히 FaB 세부항목 중 어떤 낙상유발 행동요인이 인지수준과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이란 무엇인가? 낙상이란 단순히 넘어지거나 떨어져 몸이 다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그로 인한 심각한 후유증 및 합병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낙상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 하나 주로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한다(Lim, Park, Oh, Kang, & Paik,2010).
낙상은 주로 어느 연령대에 발생하는가? 낙상이란 단순히 넘어지거나 떨어져 몸이 다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그로 인한 심각한 후유증 및 합병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낙상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 하나 주로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한다(Lim, Park, Oh, Kang, & Paik,2010). 외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30%가 매년 낙상을 경험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낙상의 빈도가 높아진다.
노인에게 있어 낙상사고가 발생하면 어떤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가? 이처럼 노인에게 있어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은 노인들이 노화과정에 따른 생리적 변화로 인하여 다른 연령층보다 낙상위험이 10배 높아지기 때문이다(Miller, 2002). 특히나 노인의 경우, 민첩성 및 방어반응이 저하되어 낙상이 일어날 시 큰 상해를 유발할 수 있고 회복력 또한 더디어 장기간의 부동(immobility)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장기간의 부동이 기력의 저하, 근력의 저하, 인지력의 퇴화 등과 같은 이차적 문제들을 유발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 및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Gallagher,Corbett, Freeman, Riddoch-Kennedy, Miller,Smith, & Zarrow, 2001).노인의 낙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다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len, C. K., Earhart, C. A., & Blue, T. (1992).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goals for the physically and cognitively disabled. Rockville,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Inc. 

  2. Clemson, L., Cumming, R. G., & Heard, R. (2003). The Falls Behavioural (FaB) Scale for the Older Person. Instruction manual. Lidcombe, NSW: The University of Sydney. 

  3. Clemson, L., Bundy, A. C., Cumming, R. G., Kay, L., & Luckett, T.(2008). Validating the Falls Behavioural(FaB) scale for older people: A Rasch analy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0(7), 498-506. doi: 10.1080/09638280701355546 

  4. Gallagher, B., Corbett, E., Freeman, L., Riddoch-Kennedy, A., Miller, S., Smith, C., & Zarrow, A. (2001).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home environment. Home Care Provider, 6(5), 157-63. 

  5. Grisso, J. A., Kelsey, J. L., Strom, B. L., Chiu, G. Y., Maislin, G., O'Brien, L. A., & Kaplan, F. (1991). Risk factors for falls as a cause of hip fracture in women. The Northeast Hip Fracture Study Group.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4(19), 1326-31. doi: 10.1056/nejm199105093241905 

  6. Ju, Y. M., & Jang, J. S. (2018).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n Korean version of the Falls Behavioral(FaB) Scale for the older pers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667-677. 

  7. Kang, Y. W., Park, J. S., Yu, K. H. & Lee, B. C. (2009). A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 as an Instrument for Screening of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VCI).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2), 549-562. 

  8. Korea Consumer Agency. (2015). Fall accident frequently occurs nearby bed for the elderly. Retrieved from http://kca.go.kr 

  9. Lim, J. Y., Park, W. B., Oh, M. K., Kang, E. K., & Paik, N. J. (2010). Falls in a proportional region population in Korean elderly: Incidence, consequence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14(1), 8-17. 

  10. Miller, C. A. (2002). The connection between drugs and falls in elders. Geriatric Nursing, 23(2), 109-110.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lder person in Korea - Falls for older person (over 65 year old).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40 

  12. Muir, S. W. (2012) The role of cognitive impairment in fall risk amo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 and Ageing, 41(3), 299-308. doi: 10.1093/ageing/afs012 

  13. Nikolaus, T., & Bach, M. (2003). Preventing falls in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people using a home intervention team (HIT): Results from the randomized Falls-HIT trial.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3), 300-5. 

  14. Ramirez, D., Wood, R. C., Becho, J., Owings K., & Espino, D. V. (2010). Mini-Mental State Exam domains predict falls in an elderly population: Follow-up from the Hispanic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H-EPESE). Ethnicity & Disease, 20(1), 48-52. 

  15. Sohng, K. Y., Moon, J. S., Kang, S. S., & Choi, J. H. (2001). The survey of activities and fear of falling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2), 324-333. 

  16.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26), 1701-7. doi: 10.1056/nejm198812293192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