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세미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방향과 폭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
Sensibility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tripe direction and width for semi-tight skir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1, 2017년, pp.64 - 74  

림해룡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어미경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nsibility images when the direction and width of stripes change on semi-tight skirts. The researcher made 12 stimuli consisting of images of skirts with a combination of six stripe directions and two stripe widths. The images were assessed by 126 subj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세미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방향과 폭의 변화에 따른 감성 이미지와 그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라이프 방향 6종류와 스트라이프 폭 2종류를 조합하여 총 12종류의 스트라이프 디자인을 세미타이트 스커트에 적용하여 감성 이미지 효과를 연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선행연구(Lim & Uh, 2015)에서는 세미 타이트 스커트의 스트라이프 디자인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중에서 신체 이미지만을 연구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트라이프의 방향과 폭의 변화에 따른 세미타이트 스커트의 감성 이미지 차이와 그 상호 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자아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인간의 자아(human self)는 정신적 자아(mental self), 신체적 자아(physical self), 사회적 자아(social self)로 구성되어 있으며(Song, 2009), 이러한 자아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이나 대우와 자신의 성공적인 경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이루어진다(Kim & Lim, 2010). 인간의 자아 중 신체적 자아의 지각을 신체 이미지라고 하는데, 신체 이미지는 인간이 자신의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로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느낌이나 태도, 그리고 자신의 신체 부위와 기능에 대해 만족하거나 때로는 불만족한데, 이는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높은 관련이 있다(Chung, 2003).
신체적 자아가 강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행동은? 신체 이미지는 신체의 신장, 체중, 생김새, 의복, 화장 등과 같은 신체적 외모에 대한 지각과 평가를 통하여 형성된다(Kim, 2009). 외모와 몸매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람이 의복에서 개성을 중요시하고, 자신의 신체를 돋보이려고 노력하며, 의복으로 사회적 안정을 찾고, 성적 매력을 표출하기를 원한다(Kim, Lee, & Chung, 2001). 의복 이미지는 의복의 구성 요소인 형태, 색채, 무늬, 재질 등에 따라 다르게 전달되며, 사회적, 문화적 규범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의복 인지도와 선호하는 의복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Kim, 2009).
신체 이미지란? 인간의 자아(human self)는 정신적 자아(mental self), 신체적 자아(physical self), 사회적 자아(social self)로 구성되어 있으며(Song, 2009), 이러한 자아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이나 대우와 자신의 성공적인 경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이루어진다(Kim & Lim, 2010). 인간의 자아 중 신체적 자아의 지각을 신체 이미지라고 하는데, 신체 이미지는 인간이 자신의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미지로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느낌이나 태도, 그리고 자신의 신체 부위와 기능에 대해 만족하거나 때로는 불만족한데, 이는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높은 관련이 있다(Chung, 2003). 신체 이미지는 신체의 신장, 체중, 생김새, 의복, 화장 등과 같은 신체적 외모에 대한 지각과 평가를 통하여 형성된다(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E.-J., Suh, M.-A., & Uh, M.-K. (2013). Aesthetic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ip circumference and crotch length ease of baggy pa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4), 576-584. doi:10.7741/rjcc.2013.21.4.576 

  2. Chung, M.-S. (2003). The influence of self-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3), 165-179. 

  3. Han, J. I. (2011). A study of the stripe patterns on the fabric design since 2000.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2), 160-173. 

  4. Kang, S. H., & Suh, M. A. (2002). Practical clothing construction. Seoul: Gyomoon publishers. 

  5. Kim, I.-H., & Lim, J.-Y. (2010). The effect of body image on the clothes and diet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4), 687-698. doi:10.5934/KJHE.2010.19.4.687 

  6. Kim, J.-E., & Cho, K.-H. (2002). Study of stripe pattern appeared in apparel design: Focusing on western women's fashion after 20th centur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6(4), 99-112. 

  7. Kim, K. K., Lee, K. S., & Chung, M. S. (2001). The effects of multiple body image on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2), 358-365. 

  8. Kim, Y.-S. (2009). A study on the women's clothing image according to their body imag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4), 99-111. 

  9. Lee, K. H., & Yun, J. H., & Park, J. S. (1990). The study on the visual effects of stripe patterns in onepiece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4(4), 314-323. 

  10. Lee, S.-B., & Uh, M.-K. (2016). Sensibility image on power shoulder jacket according to the shoulder shap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5), 617-625. doi:10.7741/rjcc.2016.24.5.617 

  11. Lim, H.-L., & Uh, M.-K. (2015). Body image of stripe design variations in semi-tight skir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2), 145-154. 

  12. Moon, J. Y., & Jeong, S. J. (2010). A study on the formative property of the stripe clothing image with contrast col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1), 114-125. 

  13. Moon, J.-Y., & Kang, K.-J. (2006). The effect of stripe pattern direction, width, and color contrast of upper garment on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3), 1-15. 

  14. Park, W. M. (2016). The mutual effect and factors of visual image according to pants style and geometric pattern (Part II). Korea Science & Art Forum, 23, 135-148. doi:10.17548/ksaf.2016.03.23.135 

  15. Shin, J. D., Kim, H. S., & Choi, J. M. (2008). Analysis on image of stripe patter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Human Ecology, 12(2), 215-223. 

  16. Size Korea. (2010). 6차 인체치수조사 [The sixth anthropometric data]. Retrieved July 29, 2016, from http://sizekorea.kats.go.kr/03_report/6th.asp 

  17. Song, K.-J. (2009). The effects of perceptual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clot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611-1621. doi:10.5850/JKSCT.2009.33.10.16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