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환정도(何換亭圖)>를 통해 본 칠원 무기연당(舞沂蓮塘)과 유회정(有懷亭) 일곽의 원형경관
Original Landscape of MuGi-YeonDang and Yuhoejeong Pavilion Area in Chirwon through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4, 2017년, pp.1 - 13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손희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  박태희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환정도>의 제작 시점인 1860년경을 기점으로, 그림에 표현된 무기연당과 일곽의 정원시설 그리고 경관 등을 현재와 비교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하환정도>에는 내원(內園)인 국담(菊潭)을 중심으로 하환정(何換亭)과 풍욕루(風浴樓)가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1971년 이후 기양서원의 후신(後身)인 충효사(忠孝祠)와 영정각(影幀閣) 등이 보태졌다. 하환정 반대편 국담 지안(池岸)에는 3기의 괴석과 함께 다채로운 초화류와 화관목이 식재되었으며, 중도(中島)에는 봉황석(鳳凰石)과 납두석(衲頭石)의 배치와 함께 2종의 수목이 그려져 있는데 이 중 하나는 단풍나무로 확인된다. 그림의 외경(外境)에는 무기연당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작대산과 천주산이, 하부로는 정충비각과 현재는 멸실된 비보숲이 묘사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성과로 외경의 작대산 아래 십 여기의 봉분 형태의 주씨묘군(朱氏墓群)과 함께 묘사된 '별업 유회정(別業 有懷亭)' 유구(遺構)를 주씨 선산인 산정리 일대에서 확인하였다. 확인된 유구는 방형의 지당(池塘)과 석가산인 중도(中島) 그리고 석비 망추대(望楸臺) 등이며 지당내 석가산은 자연석에 약간의 가공을 한 뒤, 여러 개의 괴석을 첩석한 형태로 측면에는 '경암(敬嵒)'과 '세심(洗心)'이라 각자(刻字)되어 있다. 특히 '경(敬)'자(字)는 소수서원 경자바위(敬字岩)의 그것을 모사(模寫)한 것으로 풍욕루 현판은 물론 주세붕을 모신 관내 무산사(武山祠)에서도 발견되는 주씨 정원의 상징적 정원언어가 되고 있다. <하환정도> 외경에서 유회정과 석가산을 갖는 방당(方塘)의 이름은 '태화지(泰和池)' 또는 '정우당(淨友塘)'이라 하였으며 석가산의 이름은 '소금강(小金剛)' 또는 '소방장(小方丈)'으로 명명되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국담의 석가산인 '봉래산'에 비견되는 명칭으로, 양 공간에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하환정도>는 함안 칠원리에 입향한 15대손 주씨문중에서 주도하여 그린 일종의 장원도(莊園圖)로서, 내원은 물론 외경의 상황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어 무기연당원 및 주변 경관을 이해할 뿐 아니라 무기연당을 포함한 외경의 정비 및 복원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original landscape of an area in Chirwon by comparing and interpreting the current and the former landscape of the time around 1860, in which was created. Inside the painting, MuGi-YeonDang(舞沂蓮塘), its nearby garden facilities and landsca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기연당은 무엇인가?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에 위치한 무기연당(舞沂蓮 塘)은 국가민속문화재 제208호로서 조선후기 연당과 석가산 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전통정원 유산(http://museum. haman.go.kr)[1]으로, ‘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일으킨 국담(菊 潭) 주재성(周宰成, 1681~1743)이 1717년 이후 별당에 조성한 정원으로 알려지고 있다.1) 따라서 올해는 무기연당이 조성된 지 바로 300년 되는 해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museum.haman.go.kr 

  2. http://www.k-heritage.tv 

  3. Lim, H. S. and Han, D. S.(2015).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Hwan-Jeong in Mu-Gi-Yeon-Dang in Hama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Dissertation Collection of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Spring Scholarship meeting. May-2015: pp. 132-137. 

  4. Lim, H. S.(2016). A study on Mu-Gi-Yeon-Dang in Chirwon: history of family and construction of garden. Master's degree in graduate school at Hanyang University. 

  5. Kim, Y. M., Yee, S., Chin, S. C. and Jang, J. S.(2004).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vegetation landscape around the Whaseong local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4): 39-53. 

  6. Kim, Y. M.(2005). The study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of the Whaseong local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3): 50-60. 

  7. Rho, J. H., S. S. Shin and Park, Y. J.(2008). The prototype scenery research of Dasanchodang represented in Dasando(茶山圖).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31-41. 

  8. Jung, W. J., L. C. Oh and Sim, W. K.(2013). Study on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in Changdeok Palace through Gang Sehwang's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87-97. 

  9. Park, E. H., W. G. Jang, M. G. Youn and Lee, J. K.(2014).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Focused on valley 4 Boonche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95-105. 

  10. Lee, W. H., J. W. Kim, D. H. Kim and Ahn, H. I.(2015).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garden restor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Conference. 16-19. 

  11. Ha, H. K. and So, H. S.(201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for Baegun-dong Garden in Gangjin through a diachronic interpretation of the prototype scene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3): 116-128. 

  12. Gukdam Work Collection(菊潭集) 

  13. Hawhanjeong Restructure Record(何換亭重修記) 

  14. Changnangjeongyugo(滄浪亭遺稿) 

  15. Sungjaejipsokpyen(性齋集續編) 

  16. Analects of Confucius(論語) 

  17. Family of Gukdamgong of Sangju-Jussi(2015). Explanationbook of Signboard in Mugi-Yeondang 

  18. Yanghwasorok(養花小錄) 

  19. Shih Ching(詩經) 

  20. http://www.cha.go.kr 

  21. Jabohangseo(雜五行書) 

  22. Chirwoneupji(漆原邑誌) 

  23. http://www.kyongbuk.co.kr 

  24. Jeminyosul(齊民要術)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