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정의향교의 유교문화경관에 대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at Jeongeuihyanggyo,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4, 2017년, pp.29 - 42  

이행열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소재 정의향교는 전통적인 유교 예제건축으로 유교문화경관을 표상하는 사례가 된다. 조선 태종16년(1416)에 정의현 설치와 함께 성산읍 고성리에 처음 세워졌으나 헌종 15년(1849)에 성내 서쪽으로 이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곳이다. 향교가 가지는 문화경관 자원의 특성을 공간구성과 유교의 공간예제 적용방식을 통하여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정의향교가 가지고 있는 유교문화경관의 공간구조와 유교예제에 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즉 정의향교의 건립과 이건에 따른 변화과정, 고지도를 통한 입지적인 해석, 정의향교의 유교적 상징요소, 공간구성과 배치형태, 물리적 구조, 주요건축물, 지형면에서의 입지특성, 축선의 변화, 그리고 대성전 전면공간의 위요감(D/H비) 등을 통하여 유교예제가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의향교는 제주도라는 단절된 섬 지역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교적 교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성내 입지라는 한정된 공간 조건 가운데서도 수평적, 수직적으로 다양한 배치기법을 통하여 유교 특유의 공간예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되살려서 정의향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교문화경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eongeuihyanggyo(旌義鄕校) is a kind of traditional,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that i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s historical background illustrates that the first erection was started at Goseong-li of Seongsan-eup(城山邑 古...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5호는?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로 약칭함)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정의향교는 조선시대 건립한 향교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다. 조선 태종 16년(1416)에 건립된 향교로서 제주향교 및 대정향교와 함께 제주도의 유교문화를 정착시키고 진흥시켜온 곳이다.
정의향교란?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로 약칭함) 유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정의향교는 조선시대 건립한 향교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다. 조선 태종 16년(1416)에 건립된 향교로서 제주향교 및 대정향교와 함께 제주도의 유교문화를 정착시키고 진흥시켜온 곳이다.
향교의 종교와 제도적 의미는? 향교는 지방의 규모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르겠지만 보편적으로 크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어 왔으니 종교와 제도적 의미, 교육적 의미, 사회적 의미가 그것이다[4]. 먼저 종교와 제도적 의미를 살펴 보면 봉건제 사회에서 지배계급의 권력과 체제 유지를 위해서는 체계화된 종교의식과 윤리사상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제사제도와 제사를 위한 단묘(壇廟)를 설치하였는데, 단묘의 예로 문묘, 가묘, 사직단, 성황묘, 여단 등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a, M.Y.(1974).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Seong-Eup Traditional Village in Cheju,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2. Kim, D.S.(2009). Interpretation by Topographic Divination of the Jeongeui Castle in Jeju, Master's thesis of Yeungnam University. 

  3. Lee. C. G.(1990). A Study on arrangement and spatial organization of Hayngko architecture in Chosun Dynasty - with the focus on Chollado and Kyongsangdo -,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4. Hong, S. J.(1992). A Study on the Hiearchical Order of Courtesy and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Placement in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2): 71-79. 

  5. Kim, J. M.(1992). A Study on the Building Pattern of Hyang-Kyo Architecture, Doctoral thesis of Dankook University. 

  6. Roh, S. H. and Sim, W. K. and Kwon, Y. H.(2005). A Study of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Hyanggyo in Chosun,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2): 135-145. 

  7. Roh, S. H. and Park, S. J. and Sim, W. K.(2006). Symbolic Trees and Planting Pattern in Each Space of Hyanggyo and Swowon,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1): 1-12 

  8. Roh, S. H. and Sim, W. K.(2006), Studies on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al with Analyzing Location and Outdoor Space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Facilities,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4): 25-37. 

  9. Yang, J. G.(2006). The Proces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Hyang-gyo in Jeju's Three Towns During Chosun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19: 1-37. 

  10. Lee, H.L.(2015). A Study on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of Daejeonghyanggyo at Jeju Island, International Edition: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 17-33. 

  11. map.daum.net 

  12. The Compilation Committee for History of 600 Years of Jeju Confucian Roots (1998). History of 600 Years of Jeju Confucian Root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9-924. 

  13. http://www.jst.re.kr/(제주학연구센터) 

  14. Tamnasullyeokdo(耽羅巡歷圖): 68-75. 

  15. Sinjeung Donggugyeojiseungnam(新增 東國輿地勝覽) 

  16. Noneo(論語) 

  17. Lee, W. J.(2007), Tamraji (Kim, C. H. et al. Trans), Pureunyeoksa: 244-262. 

  18. kyujanggak.snu.ac.kr/(규장각) 

  19. ICT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 Baek, J.J(2016), 166 years ago as original, Jeongeuihyanggyo's Jeonpae, Supil Sidae, vol. 11: 163-169. 

  21. Yegi(禮記) 

  22. Kim, J.H. and Lee, H. Y.(2013). Hangye village's Landsca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Village Roads, Proceeding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Fall). 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