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 비교·분석: 외연량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ement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centered on extensive quantity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1 no.1, 2018년, pp.19 - 37  

이승은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  이정은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  박교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의 7개 외연량 시간, 길이, 들이, 무게, 넓이, 각도, 부피의 지도 실정을 비교, 측정, 어림재기의 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의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의 차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차기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시간, 길이, 들이, 무게, 넓이, 각도, 부피 각각에 대해 비교(직관적 비교, 직접 비교. 간접 비교), 직접 측정(임의 단위에 의한 측정, 표준 단위에 의한 측정), 간접 측정, 어림재기의 취급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직관적 비교가 곤란한 경우에 직접 비교를 하게 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무게의 간접 비교를 재고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임의 단위에 의한 각도의 측정을 재고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넓이 $1cm^2$$1m^2$ 및 부피 $1cm^3$$1m^3$가 각각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B류 어림재기를 취급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seven extensive quantities (time, length, capacity, weight, area, angle measure, volume) of measurement domain are analyzed comparativel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the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연량의 측정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외연량의 측정에는 직접 측정과 간접 측정의 두 가지 유형이 있지만, 직접 측정을 임의 단위에 의한 측정과 표준 단위에 의한 측정으로 세분하면 모두 세 가지 유형이 있는 셈이다(교육부, 2017c; 이용률, 2010; 片桐重男, 2012). 유형을 다소 다르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김수환 외, 2011; Reys, et al.
일본의 2017 교육과정 <측정 영역>의 특징은? 그런데 일본에서는 이것을 4학년의 <수와 계산 영역>에서 취급한다. 한편, 일본의 2017 교육과정 <측정 영역>은 1~3학년에 한정되며 길이, 시간, 넓이, 들이, 무게를 취급하고 있고 각도, 평면도형의 넓이, 입체도형의 부피는 <도형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원주율의 경우, 우리나라의 2015 교육과정에서는 <측정 영역>에, 일본의 2017 교육과정에서는 <도형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외연량의 비교에서 직관적 비교, 직접 비교, 간접 비교는 무엇인가? , 2012; 교육부, 2015b). 직관적 비교는 감각으로 두 대상의 양의 크기 중 큰 쪽 또는 작은 쪽을 판단하는 것이다. 직접 비교는 맞대어보거나 겹쳐보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통해 두 대상의 양의 크기 중 큰 쪽 또는 작은 쪽을 판단하는 것이다. 간접 비교는 제3의 물건을 매개로 하여 두 대상의 양의 크기 중 큰 쪽 또는 작은 쪽을 판단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3.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부 (2016a).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6b). 수학 3-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6c).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6d).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6e).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6f).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부 (2016g).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 (2016h).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3. 교육부 (2016i).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4. 교육부 (2016j).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5. 교육부 (2016k).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16. 교육부 (2017a). 수학 1-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 (2017b).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18. 교육부 (2017c).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9. 교육부 (2017d).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20. 교육부 (2017e).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21. 교육부 (2017f).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22.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23. 김수미, 강흥규, 권석일, 남진영, 박문환, 서동엽, 송상헌, 유현주, 이종영, 임재훈, 정영옥 (2017).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제4판). 서울: 경문사. 

  24. 김수환, 박성택, 신준식, 이대현, 이의원,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파주: 동명사. 

  25. 김화경, 김선희, 박경미, 장혜원, 이환철, 이화영 (2016). 정비례/반비례, 상관관계의 도입 시기 및 내용 조직에 대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3). 403-420. 

  26. 나귀수, 황혜정, 임재훈 (2003).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403-428. 

  27. 박경미 외 43명 (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28. 박교식 (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123-137. 

  29. 박교식 (2010).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에서의 각도 관련 내용의 분석과 비판. 학교수학, 12(1). 45-60. 

  30. 박교식 (2015a).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67-287. 

  31. 박교식 (2015b).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학교수학, 17(1). 35-46. 

  32. 박성택 (1992). 국민학교 산수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수학교육, 31(3). 135-200. 

  33. 박성택 (1993a). 한일간의 수학교육 비교 연구. 수학교육, 32(3). 14-69. 

  34. 박성택 (1993b). 국민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국제적인 동향.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3. 91-111. 

  35. 박성택 (1995). 한.일간의 초등수학교육의 변천 과정 연구. 수학사학회지, 8(1). 69-75. 

  36. 박성택 (1999). 한.일간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보, 24(1). 25-51. 

  37. 박영배 (1992). 제6차 수학교육과정 시안과 일본 수학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26(1). 123-149. 

  38.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 (2016).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627-654. 

  39.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a).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학교수학, 17(2). 289-308. 

  40.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b).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311-334. 

  41. 서보억 (2015). 2011년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초등수학교육, 18(1). 1-16. 

  42. 신이섭 외 25명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43. 이용률 (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 

  44. 임문규 (2001). 20세기 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1)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1(2). 257-271. 

  45. 임문규 (2005).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11-135. 

  46. 임해미, 김부미 (2014).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학교수학, 16(2). 259-283. 

  47. 임현수, 강홍재 (2010).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37-353. 

  48. 정영옥, 장경윤, 김구연, 권나영, 김진호, 서동엽, 강현영, 박선화, 고호경, 남진영, 탁병주 (2016). 수학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호. 371-402 

  49. 조영미, 임선혜 (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440. 

  50. 조윤동, 윤용식 (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 

  51. 하태성 (2001). 한.일간의 초등학교 수학과 새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37-53. 

  52.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a). わくわく算? 1. 大阪: 啓林館. 

  53.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b). わくわく算? 2-上. 大阪: 啓林館. 

  54.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c). わくわく算? 2-下. 大阪: 啓林館. 

  55.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d). わくわく算? 3-上. 大阪: 啓林館. 

  56.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e). わくわく算? 3-下. 大阪: 啓林館. 

  57.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f). わくわく算? 4-上. 大阪: 啓林館. 

  58.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g). わくわく算? 5-上. 大阪: 啓林館. 

  59.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h). わくわく算? 5-下. 大阪: 啓林館. 

  60. 淸水靜海, 船越俊介외 49명 (2013i). わくわく算? 6-下. 大阪: 啓林館. 

  61. 片桐重男 (2012). 算數敎育學槪論. 東京: 東洋館出版社. 

  62. 文部科學省 (199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3. 文部科學省(200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4. 文部科學省(2017a). 小學校學習指導要領. 

  65. 文部科學省(2017b).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算數編. 

  66.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1). 算數敎育指導用語辭典(第四版). 東京: 敎育出版株式會社. 

  67. Bright, G, W. (1976). Estimation as part of learning to measure. In D. Nelson & R. E. Reys (EDs.), Measurement in school mathematics (1976 Yearbook). (pp. 87-104). Reston, VA: NCTM. 

  68. Coburn, T. G., & Shuttle, A. P. (1986).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1986 Yearbook) (pp. 195-293). Reston, VA: NCTM. 

  69.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8년 출판) 

  70. Van de Walle, J. A.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남승인, 서찬숙, 최신화, 강영란, 홍우주,배혜진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