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sent Seven Yea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1, 2017년, pp.19 - 36  

김유경 (수원상촌초등학교)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8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 59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수학내용영역, 교과역량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측면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 및 능력,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수업 및 지도방안과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다뤄졌고, 평가, 교육공학 및 교구 관련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수학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수와 연산 관련 연구가 월등히 많았고 교과역량 측면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으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는 연구 분야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erms of topics, methods, subjects, mathematics content strands,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96 papers published in eight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seven y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교육학이란? 수학교육학은 학교 수학을 구심점으로 순수수학, 일반 교육학, 수학철학, 수학사, 심리학, 사회학, 응용수학, 인류학, 교육공학 등 관련 분야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일종의 종합과학으로 다른 학문과 결합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들 연구들은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일을 고유의 관심 영역으로 하고 교수․학습을 개선하며 수학교육의 실제에 기여하는 실천과학이라 할 수 있다(남승인 외, 2012).
초등수학교육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 중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가르치는 방안에 대해 탐구하는 초등수학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1997년 이후로는 초등수학교육을 주제로 하는 <초등수학교육>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가 발간됨에 따라 초등수학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고, 성장해 가고 있다.
초등수학교육 관련 연구 59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첫째, 연구주제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능력(24.2%),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19.9%)’, ‘수업 및 지도방안’(19.5%), ‘일반연구’(14.7%), ‘교사교육’(12.6%), ‘평가’(5.4%), ‘교육 공학 및 교구’(3.9%) 순서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수업 설계 및지도’,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능력’에 대한 비중이 높았던 하수현 외(2010)의 연구와 ‘수업 설계 및 지도’에 집중되었던 권정은과 최재호(2008)의 연구 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일반연구’,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연구가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평가’, ‘교육 공학 및 교구’와 관련한 연구는 선행연구보다도 비율이 줄어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연구에 비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및 능력에 대한 연구나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지향 등 정의적인 측면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흥규 (2014). 초등수학에서 분수나눗셈의 포함제와 등분제의 정의에 관한 교육적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19-339.(Kang, H. G. (2014). A study on a definition regarding the division and partition of f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8(2), 319-339.) 

  2. 고창수.오영열 (2015).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47-370.(Ko, C. S., & Oh, Y. Y. (2015). The effects of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3), 347-370.)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upplement 8].) 

  4. 권나영.김래영.김구연 (2011).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4), 507-520.(Kwon, N. T., Kim, R, Y.. & Km G. Y. (2011). Trends in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4), 507-520.) 

  5.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49-163.(Kwon, J. E., & Choi, J. H.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Focussing o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in Korea.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2(2), 149-163.) 

  6. 김구연 (2010). 예비교사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와 기술된 수업행동 분석. 학교수학, 12(2), 97-111.(Kim, G. Y. (2010). Exploring beliefs and stated-action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School Mathematics, 12(2), 97-111.) 

  7. 김동원.박경미.박미미 (2015).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학교수학, 17(1), 99-118.(Kim, D. W., Park, K. M., & Park, M. M. (2015).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7(1), 99-118.) 

  8. 김동희.김민경(2016). 초등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8(3), 541-569.(Kim, D. H., & Kim, M. K. (2016). A study on creativity-integrat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ll-structured mathematics problems. School Mathematics, 18(3), 541-569.) 

  9. 김래영.김구연.권나영 (2012).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4(3), 395-408.(Kim, R. Y., Kim, G. Y., & Kwon, N. Y. (2012). Trends in research design and methods: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School Mathematics, 14(3), 395-408.) 

  10. 김석우.최태진 (2007).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Kim, S. W., & Choi, T. J. (2007). Education methodology. Seoul: Hakjisa.) 

  11. 김해규 (2016). 2009 개정 초등 수학 교과서 6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관련 교과 내용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63-192.(Kim, H. G. (2016).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6th grad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1), 163-192.) 

  12. 나장함.김진호 (2016).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43-61.(Na, J. H., & Kim. J. H. (2016). Analysis o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9(1), 43-61.) 

  13. 남승인.류성림.권성룡.김남균.신준식.박성선.박만구.최근배.권점례 (2012).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Nam, S. I., Ryu, S. R., Kwon, S. R., Kim, N. G., Shin, J. S., Park, S. S., Park, M. G., Choi, G. B. Kwon, J. R. (2012).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 Moon.) 

  14. 박선영.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3), 285-308.(Park, S. Y., & Kim, W. K.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85-308.) 

  15. 박혜숙.나귀수 (2010).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의 신설에 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3), 503-523.(Park, H. S., & Na, G. S. (2010). Investigating on the building of 'Mathematical Process' in mathematics curriculum.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4(3), 503-523.) 

  16. 방정숙.선우진 (2014).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6(2), 335-353.(Pang, J. S., & SunWoo, J. (2014).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6(2), 335-353.) 

  17. 서동엽 (2014).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4(3), 429-442.(Seo, D. Y. (2014). STEAM on the viewpoint of didactics of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3), 429-442.) 

  18. 주미경.문종은.송륜진 (201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학교수학, 14(1), 165-190.(Ju, M. K. Moon, J. E., & Song, R. J. (2012). Convergence education in mathematics: Issues and tasks. School Mathematics, 14(1), 165-190.) 

  19. 최승현.박상욱.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Choi, S. H., Park, S. W., & Hwang, H. J. (2014).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1), 23-43.) 

  20. 하수현.이광호.성창근 (2013).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창의성 교육의 국내동향. 학교수학, 15(3), 551-568.(Ha, S. H., Lee, K. H., & Sung, C. G. (2013).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ud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reativity. School Mathematics, 15(3), 551-568.) 

  21. 하수현.방정숙.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1), 67-83.(Ha, S. H., Pang, J. S., & Ju, M. K. (2010).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1), 67-83.) 

  22.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