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이미지에 기반한 내벽구조 검출 방법
Inside Wall Frame Detection Method Based on Single Image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8 no.1, 2017년, pp.43 - 50  

정도욱 (School of Media, Soongsil Univ.) ,  정성기 (School of Media, Soongsil Univ.) ,  최형일 (School of Media, Soongsil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한 장의 실내이미지에서 내벽구조 검출을 위한 개선된 소실점 검출방법과 세그먼트 레이블링 방법을 제안한다. AR 기술 수요의 증가로 이미지로부터 건축물의 구조를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폐색을 발생시키는 객체들이 많은 실내 이미지에서 실내 내부 구조를 인식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다. 소실점 검출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육면체를 이루는 실내 내벽들 사이의 직교성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내 이미지 내의 세그먼트들을 레이블링 하기 위하여 슈퍼픽셀 기반의 군집화 방법과 트리기반 학습기를 통한 레이블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들에 의하여 실내 구조 검출 결과가 개선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improved vanishing points detection and segments labeling methods for inside wall frame detection from indoor image of a piece of having a colour RGB. A lot of research related to recognizing the frame of artificial structures from the image is being performed due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실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실내 이미지로부터 선분을 검출하고, 라인으로부터 라인간의 교점을 구하여 각각의 교점들 중 소실점에 해당하는 교점을 찾는다.
  • 실내에서 촬영된 한 장의 RGB 영상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연구와 관련하여 내벽구조를 인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본 논문을 통하여 관련된 연구와 그 결과를 보였다.

가설 설정

  • (1) 트리의 깊이는 4이하이다.
  • 검출된 선분의 양 끝점 Li, Lj에 대하여 이미지의 수직 성분 상으로 거리 z가 1만큼 떨어져 있다고 가정한 벡터의 외적 을 구한다. 이때 모든 선분에서 구해진 외적들에 대하여 다시 각 선분의 외적 끼리 외적을 수행한 결과 에 대하여 로 정규화하여, 이미지 상에서 모든 쌍의 선분이 그리는 교점 C'=(x', y')을 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실점 인식 방법은 무엇에 사용되어지는가? 소실점 인식 방법은 이미지가 촬영된 실내 공간이 삼차원 공간상에서 육면체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 개의 직교하는 법선 벡터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실내 공간의 구조적 정보를 얻는 단서를 얻는데 사용되어진다.
실내공간인식에 관련된 기술은 무엇인가? 실내공간인식에 관련된 기술은 실내 공간에서 얻어진 센서데이터로부터 실내 공간에 놓여진 사물들과 벽면의 형태 및 텍스쳐를 인식하는 기술로 천장, 바닥, 벽면, 가구들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방법들은 RGB 이미지뿐만 아니라 깊이기반 (depth-based)영상을 사용하며, 이를 통하여 높은 정확도의 공간 인식 성능을 얻는다[1].
깊이기반 카메라 또는 라이다 등의 센서를 필요로 하는 방법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지는 연구는? 이를 위해서는 깊이기반 카메라 또는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등의 센서를 필요로 하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비전문가용 시스템에서는 이를 이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이미지로부터 실내 공간을 인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 중, 소실점(vanishing point)를 사용하여 실내 구조를 파악하려 한 연구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en, Y., Pan, D., Pan, Y., Liu, S., Gu, A., & Wang, M., "Indoor scene understanding via monocular RGB-D images." Information Sciences, 320, pp. 361-371 , Nov. 2015. 

  2. D. Hoiem, A. A. Efros, M. Hebert. "Recovering surface layout from an ima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75.1: 151-172, 2007. 

  3. Hedau, Varsha, Derek Hoiem, David Forsyth. "Recovering the spatial layout of cluttered rooms." 2009 IEE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EEE 2009, pp. 1849-1856, 2009. 

  4. D. C. Lee, M. Hebert, T. Kanade. "Geometric reasoning for single image structure recovery."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IEEE Conference on. IEEE, 2009. pp. 2136-2143, 2009. 

  5. A. Gupta, M. Hebert, T. Kanade, D. M. Blei. "Estimating spatial layout of rooms using volumetric reasoning about objects and surfaces." In NIPS, pp. 1288-1296, 2010. 

  6. L. Del Pero, J. Bowdish, D. Fried, B. Kermgard, E. Hartley, K. Barnard. "Bayesian geometric modeling of indoor scenes." In CVPR, 2012, pp. 2719-2726, 2012. 

  7. Canny, John. "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6, pp. 679-698, 1986. 

  8. Kosecka, Jana, Wei Zhang. "Video compass."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2. 

  9. Felzenszwalb, Pedro F., and Daniel P. Huttenlocher. "Efficient graph-based image seg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59.2: 167-181, 2004. 

  10. Shi, Jianbo, and Jitendra Malik. "Normalized cuts and image seg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2.8: 888-905, 2000. 

  11. Achanta, Radhakrishna, et al. Slic superpixels. No. EPFL-REPORT-149300. 2010. 

  12. Y. Zhao and S.-C. Zhu. "Scene parsing by integrating function, geometry and appearance models." In CVPR. IEEE, 2013, pp. 3119-3126, 2013. 

  13. A. G. Schwing, R. Urtasun. "Efficient exact inference for 3d indoor scene understanding." In ECCV, pp. 299-313,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