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F 구성요소 기반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al 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1, 2017년, pp.121 - 129  

이정아 (호남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전공) ,  이현민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ual-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22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ICF에 관한 국외 연구로는 ICF 기능 평가 항목 추출, ICF를 기반으로 이동성과 보행에 대한 척도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Salter 등, 2005; Stucki, 2005), 국내 연구로는 ICF의 이해와 필요성, 타당도, 요인 분석 및 사례 보고에 관한 연구들이 많았지만(An 등, 2009; Kang과 No, 2012; Park, 2012), ICF 구성요소를 기반하여 이중 과제로 구성된 훈련 방법으로 시도한 연구들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CF 개념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활동과 관련된 과제를 동시에 적용하여 ICF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ICF의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이중과제 훈련을 통해 보행 능력과 자기 효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연구 결과 이중과제 훈련군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와 훈련 종료 3주 후 과제 수행에 따른 10m 걷기 검사 시간, 8자 모양 걷기 검사 시간과 걸음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동적보행지표 점수, 자기효능감 점수의 향상과 훈련 효과가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CF 구성요소를 기반을둔 이중과제 훈련을 적용하여 일상생활 활동과 가정, 직업으로 복귀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ICF 구성요소를 기반을둔 이중과제 훈련군이 단일과제 훈련군보다 보행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에게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뇌졸중 환자는 신체 기능과 신체 구조의 손상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데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자신감과 재활 동기부여가 감소되어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참여가 제한되고 환경요인에 제약을 가지게 된다(Dobkin, 2005).
뇌졸중 환자 개인적으로는 어떤 문제가 있는가 뇌졸중 환자는 신체 기능과 신체 구조의 손상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데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자신감과 재활 동기부여가 감소되어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참여가 제한되고 환경요인에 제약을 가지게 된다(Dobkin, 2005). 뇌졸중 환자들은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보행 능력의 감소로 정상인 보행 속도 1.
ICF란 무엇인가 최근 임상 현장에서도 일상생활 활동과 관련하여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 체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의 구성 요소인 활동(activities)과 참여(participation) 항목을 재활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ICF는 기존의 ‘질환 결과’ 에서 벗어나 ‘건강 구성요소’에 대한 건강과 건강 관련 영역 측면으로 기능(functioning)을 기술하기 위한 분류 체계이다. ICF의 첫 번째 영역(domains)은 신체 기능 (body function)과 신체 구조(body structures)의 손상 (impairment), 활동의 제한(limitation), 참여의 제약 (restriction)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SH, Park DS, Lee SM. The Clinical Application of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or Functional Ability Analysis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Occup Ther. 2009;17(4):37-44. 

  2. Bond, JM, Morris M. Goal-directed secondary motor tasks: their effects on gait in subjects with Parkinson disease.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110-6. 

  3. Carr J, Shepherd R. Neurological Rehabilitation (2nd ed). Elsevier India. 1998. 

  4. Chen G, Patten C. Treadmill training with harness support: selec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 Rehabil Res Dev. 2006;43(4):485. 

  5. Choi SJ, Shin WS. The effect of patient-sele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4;9(2):213-22. 

  6. Dixon G, Thornton EW, Young CA.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rehabilitation among neurologically disabled adults. Clin Rehabil. 2007;21(3):230-40. 

  7. Dobkin BH.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 Engl J Med. 2005;352(16):1677-84. 

  8. Frank JS, Patla AE. Balance and mobility challenges in older adults: implications for preserving community mobility. Am J Prev Med. 2003;25(3):157-63. 

  9. Fulk GD, Echternach JL. Test-retest reliability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gait speed in individuals undergo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J Neurol Phys Ther. 2008;32(1):8-13. 

  10. Gentile AM. Skill acquisition: action, movement and neuromotor processes. In: Carr JH., Shepherd RB. Aditors, Movement sciences: foundation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2nd ed). Aspen. 2000. 

  11. Jonsdottir J,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1):1410-5. 

  12. Kang TW, No HJ. A case report of progressive intervention strategy applied ICF Tool about gait for TBI patient. J Korean Soc Phys Med. 2012;7(2):137-47. 

  13. Kim GY, Han MR, Lee HG. Effect of dual-task rehabilitative training o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4;26(1):1. 

  14. Kim YH, Lim J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Acad Clin Elec. 2012;10(1):29-37. 

  15. Kim YJ, Son HH, Oh JL, et al. Effects of dual task balance training on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J Korean Soc Phys Med. 2011;6(2): 19-29. 

  16. Kim KS. A Correlational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and Need for Self-help Management Programs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at Home.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1;8(1):81-94. 

  17. Kim HS, Kim YS.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Korean J Health Edu Promot. 2003;20(1):111-30. 

  18. Kiriyama K, Warabi T, Kato M, et al. Medial-lateral balance during stance phase of straight and circular walking of human subjects. Neurosci Lett. 2005;388(2):91-5. 

  19. Park JK. Analysis on function and frequency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 Asia-Pac Spec Edu. 2012;13(4):359-86. 

  20. Plummer-D'Amato P, Kyvelidou A, Sternad D, et al. Training dual-task walking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in 1 year of stroke: a protocol for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 2012;12(1):129. 

  21. Rand D, Eng JJ. Disparity between functional recovery and daily use of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subacute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2;26(1):76-84. 

  22. Resnick B. Geriatric rehabilitation: The influence of efficacy beliefs and motivation. Rehabil Nurs. 2002;27(4): 152-9. 

  23. Salter K, Jutai J, Teasell R, et al. Issues for selection of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ICF Body Functions. Disabil Rehabil. 2005;27(4):191-207. 

  24. Sanford JA, Griffiths PC, Richardson P, et al. The Effects of In-Home Rehabilitation on Task Self-Efficacy in Mobility-Impaired Adul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Am Geriatr Soc. 2006;54(11):1641-8. 

  25. Schell BA, Gillen G, Scaffa M, et al.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26. Schmidt Ra, Lee TD. Motor control and learning: a behavioral emphasi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2005. 

  27. Stucki G. ICF linking rules: an update based on lessons learned. J Rehabil Med. 2005;37(4):212-8. 

  28.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8. 

  29. Wulf G, Prinz W. Directing attention to movement effects enhances learning: A review.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001;8(4):648-60. 

  30. Yang YR, Wang RY, Chen YC, et al. Dual-task exercise improves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0):1236-40. 

  31. Yatar GI, Yildirim SA. Wii Fit balance training or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 Phys Ther Sci. 2015; 27(4):1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