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우울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Gait,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3 no.1, 2018년, pp.137 - 146  

김주형 (일산중심병원) ,  심재훈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  오덕원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  유경훈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gait, depression and self - efficacy of stroke patients in order to develop more effective training method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METHOD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indoo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행훈련이 보행 및 신체적인 장애와 더불어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재활에 있어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능력 및 우울증,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보행능력은 10M 보행검사, 6분 보행검사, 지역사회 보행검사가 사용되었으며 우울증 검사는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능력과 더불어 정신적, 심리적 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지역사회 보행훈련 프로그램은 실외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을 포함시켰으며 고가의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행훈련이 보행 및 우울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지역사회 보행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은 알려져 있었지만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보행훈련군과 실내 보행훈 련군의 보행능력을 검사하였다. 보행능력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보행훈련이 보행 및 우울증,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보행훈련군 12명과 일반적인 후)선정 기준은">선정기준은 Hwang 등(2010) 선행연구의 기반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의사로부터 뇌졸중 진단을 받은 후 6개월이 지난 자, 한국판 간이정신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점수가 25점 이상인 자, 보조도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100M 이상 보행하거나 10분 이상 보행이 지속 가능한 자, 뇌졸중 이외의 다른 신경학적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자의 지시를 이행하며 실험에 동의하는 자로 하였다. 본 연구에 동의하여 참여하기로 결정한 최초의 대상자는 30명이었으나 실험 도중 4명의 환자가 퇴원, 2명의 환자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 발병 이후 환자의 40%가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할수 없고 33%가 지역사회의 참여에 제한이 있다(Gadidi 등, 2011).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로는 관절 가동성 감소, 근 긴장도 변화, 근력 감소, 감각 이상, 인지 저하 등보행 및 균형을 포함한 신체적 장애를 갖게 된다(Bonan 등, 2004).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장해로 인한 우울증의 발생빈도는 26~60%로 보고되며,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18~78%의 수가 회복과정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는 합병증으로 보고되고 있다(Singh 등, 2000).
지역사회 보행의 정의는? 지역사회 보행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나 일반적으로 공공장소 및 개인적인 공간, 혼잡 하고 불안전한 곳에서의 보행으로 정의한다(Lord 등, 2004). 지역사회 보행능력의 소실은 병원 입원기간 및치료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며 사회 참여와 활동을 제한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이에 대한 회복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 (Lord과 Rochester, 2005).
지역사회 보행훈련의 연구 절차는? (1) 1주차 : 실내보행을 수행하며 병원내의 치료실, 복도, 로비를 100M 반복 보행하였다. (2) 2주차 : 실내보행에 더하여 병원 인근의 실외 평지를 200M 반복 보행하였다. (3) 3주차 : 인도 및 공원, 경사로가 포함된 지역사회 환경을 300M 보행하였다(Fig. 1). (4) 4주차 : 불규칙한 도로, 횡단보도, 주차장의 지역 사회 환경에서 300M 보행하였다(Fig. 2). (5) 5주차 : 은행 및 마트의 거리의 절반인 300M 보행 하였으며 경로요소에는 1~4주차의 환경적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6) 6주차 :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최종 목표인 은행 및마트를 방문하여 개인용무를 수행하고 복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drews AW, Chinworth SA, Bourassa M, et al. Update on distance and velocity requirements for community ambulation. J Geriatr Phys Ther. 2010;33(3):128-34. 

  2. Bonan IV, Yelnik AP, Colle FM,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74-8. 

  3. Carod-Artal FJ, Egido JA.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a good recovery. Cerebrovasc Dis. 2009;27(1):204-14. 

  4. Carr JH, Shepherd, R. 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al motor skill. In: heineman LB, editor. Oxford. 2003. 

  5. Cha HG, JI SG.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ynamic Balance Ability, Gait Scale in Stroke Patients.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Rehab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012;51(4):159-75. 

  6. Chung JH KM, Lee JA. Effects of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on motor function and depression for patient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0;5(1):25-34. 

  7.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 Neurology. 2006;66(4):584-6. 

  8. Eng JJ, Dawson AS, Chu KS. Submaximal exercise in persons with stroke: test-retest reilabl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with maximal oxygen consump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113-8. 

  9. Filiatrault J, Gauvin L, Fournier M, et al.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a simplified version of the activit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for community-dwelling seniors. Arch Phys Med Rehabil. 2007;88(5):664-72. 

  10. Gadidi V, Katz-Leurer M, Carmeli E, Bornstein NM. Long-term outcome poststroke: predictors of activity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Arch Phys Med Rehabil. 2011;92(11):1802-8. 

  11. Hackett ML, Yapa C, Parag V, et al. Frequency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2005;36(6):1330-40. 

  12. Ha MS, Park MC, Goo BO. The Effect of Recovery of disability on Post-stroke Depression. J Korean Soc Phys Med. 2010;5(4):623-32. 

  13. Hwang EO, Oh DW, Kim SY, Choi JD. Effects of Community-based Adaptive Ambulation Training on Walk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0;10(2):78-85. 

  14. Kelly-Hayes M, Beiser A, Kase CS, et al.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on disability following ischemic stroke: the Framingham study. J Stroke Cerebrovasc Dis. 2003;12(3):119-26. 

  15. Kim MK.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balance, gait and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strok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2013. 

  16. Kim SY, Oh DW. Effect of a weekly circuit-group exercise program on community-living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8;15(3):17-25. 

  17. Lawton MP.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elderly people. J Am Soc Geriatr Dent. 1971;19:465-81. 

  18. Lee JA, Lee HM. The effect of dual task train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on wal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7;12(1):121-9 

  19. Lerner-Frankiel MB, Vargas S, Brown MB. Functional community ambulation: what are your criteria? Clin Manage PhysTher. 1986;6(2):12-15. 

  20. Lord S, McPherson KM, McNaughton HK, et al. How feasible is the attain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community-based physiotherapy in subacute stroke. ClinRehabil. 2008;22(3):215-25. 

  21.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9. 

  22. Lord SE, Rochester L. Measure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Stroke. 2005;36(7):1457-61. 

  23. Lynch EB, Butt Z, Heinemann A, et al. A qualitative study of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J Rehabil Med. 2008;40(7):518-23. 

  24. Marks R, Allegrante JP. A review and synthesisofresearch evidence for self-efficacy-enhancing interventions for reducing chronic disability: implications for health education practice(part II). Health promotion practic. 2005;6(2):148-56. 

  25. Oh DW. Community Ambulation: Ultimate Goal for Therapeutic Planning and Clinical Decision-making in Stroke Rehabilitation. Kor J Neural Rehabil. 2013;3(1):48-56. 

  26. Park HJ, Kim SY, Oh DW.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ambulation training for walking function of post-strok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Rehabil. 2011;25(5):451-9. 

  27. Patla AE, Shumway-Cook A. Dimensions of mobility: Defining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associated with communiy mobility. J Aging Phys Activity. 1999;7(1):7-19. 

  28. Radloff L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385-401. 

  29. Rantakokko M, Manty M, Iwarsson S, et al. Fear of moving outdoors and development of outdoor walking difficulty in older people. J Am Geriatr Soc. 2009; 57(4):634-40. 

  30. Robinson-Smith G, Johnston MV, Allen J. Self-care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0;81(4):460-4. 

  31. Salbach NM, Mayo NE, Wood-Dauphinee S, et al.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ri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Rehabil. 2004;18(5): 509-19. 

  32. Schepers VP, Visser-Meily AM, Ketelaar M, et al. Prediction of social activity 1 year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7):1472-6. 

  33. Service KSi. www.kosis.kr. 2016. 

  34. Shumway-Cook A, Patla AE, Stewart A, et al. Environmental demand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mobility disabilities. PhysTher. 2002;82(7):670-81. 

  35. Sin YH. Perceived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barriers of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department of nursing. 2000;30(4):869-79. 

  36. Singh A, Black SE, Herrman N, et al. Functional and neuroanatomic correlations in poststroke depression: Sunny brook stroke study. Stroke. 2000;31:637-44. 

  37. Stuart M, Benvenuti F, Macko R, et al. Community-based adap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ronic stroke: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the Empoli mode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7):726-34. 

  38. Van de Port IG, Kwakkel G, van Wijk I, et al. Susceptibility to deterioration of mobility long-term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Stroke. 2006;37(1): 167-71. 

  39. Van Vliet P, Lincoln N, Foxall A. Comparison of bobath based and movement science based treatment for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5;76(4): 503-8. 

  40. Winstein CJ, Rose DK, Tan SM,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of upper-extremity rehabilitation strategies in acute stroke:a pilot study of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4):620-8. 

  41. Yogev-Seligmann G, Hausdorff J, Giladi N.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in gait. Mov disord. 2008;23(3):329-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