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시간 안정성을 위한 CdSe/ZnS 양자점의 표면처리 기술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Long-term Stability of CdSe/ZnS Quantum Dot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4 no.1, 2017년, pp.1 - 5  

박현수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정다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  김범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  주소영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  이찬기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  김우병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nvestigated the washing method of as-synthesized CdSe/ZnS core/shell structure quantum dots (QDs) and the effective surface passivation method of the washed QDs using PMMA. The quantum yield (QY%) of as-synthesized QDs decreases with time, from 79.3% to 21.1%, owing to surface reaction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자점을 제조하여 다양한 세정조건을 통해 최적의 양자점 세정조건을 연구하였다. 또한 양자점 세정 후 고분자를 통해 표면처리하여 양자효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세정 후 양자점의 양자효율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안정적인 표면처리 유기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와의 적합성을 위해 아크릴계 유기물인 PMMA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였다. 아크릴계를 선정한 가장 큰 이유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경우 UV를 통한 경화가 가능하여 양자점의 열에 의한 효율감쇠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장시간 수명안정성이 요구되는 양자점의 유기물을 통한 표면처리 기술과 유기물 표면처리를 위한 합성 양자점의 세정기술 개발을 하였다. 각각 제조한 S-Se 전구체와 Zn-Cd 전구체를 혼합하여 약 6-7 nm의 CdSe/ZnS 코어/쉘 구조를 갖는 양자점을 합성하였으며, 다양한 세정용액을 통해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였다.
  • 또한 세정한 양자점을 PMMA를 통해 표면처리하여 장시간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합성한 양자점의 장시간 안정성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어/쉘 구조를 통해 양자점의 양자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무엇을 해결하지 못하였는가? 코어/쉘 구조를 통해 양자점의 양자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반응 잔류 유기물과의 쉘의 양자점 원자와의 반응으로 인한 양자효율 감소 및 표면 산화반응 등으로 인해 장시간 안정성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14]. 따라서 일부 연구에서는 코어/쉘 구조를 만든 후 유기물을 통해 표면에 passivation을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5-25].
양자점 소재의 경우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가?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바이오 라벨(bio-label)[5, 6], LED[7], 태양전지(photovoltaic)[8] 등의 고기능성 구현을 위한 핵심소재로 주목 받고 있어, 반도체 양자점 소재의 개발과 고효율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양자점 소재의 경우 단일 코어만을 사용할 경우 큰 비표면적, 높은 표면결함준위, 그리고 높은 산화력으로 인해 산소와 수분과 같은 외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기존 벌크 소재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9].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코어/쉘 구조를 활용하여 양자점을 제조하고 있다[10-13].
반도체 양자점은 어디에 응용되고 있는가? 벌크 반도체 소재에서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반도체 양자점(quantum dots, QDs)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년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1, 2]. 양자점은 높은 발광효율(photoluminescence), 광안정성(photo stability), 다양한 파장의 발광(tunable emission), 그리고 좋은 전자수송특성으로 인해 최근 광전자소자에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디스플레이(display)가 제조되고 있다[3, 4].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바이오 라벨(bio-label)[5, 6], LED[7], 태양전지(photovoltaic)[8] 등의 고기능성 구현을 위한 핵심소재로 주목 받고 있어, 반도체 양자점 소재의 개발과 고효율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Sun, M. Vasudev, H. Jung, J. Yang, A. Kar, Y. Li, K. Reinhardt, P. Snee, M. A. Stroscio and M. Dutta: Microelectron. J., 40 (2009) 644. 

  2. S. Cordero, P. Carson, R. Estabrook, G. Strouse and S. Buratto: J. Phys. Chem. B, 104 (2000) 12137. 

  3. V. Colvin, M. Schlamp and A. P. Alivisatos: Nature, 370 (1994) 354. 

  4. C. Murray, D. J. Norris and M. G. Bawendi: J. Am. Chem. Soc., 115 (1993) 8706. 

  5. I. L. Medintz, H. T. Uyeda, E. R. Goldman and H. Mattoussi: Nat. Mater., 4 (2005) 435. 

  6. W. C. Chan, D. J. Maxwell, X. Gao, R. E. Bailey, M. Han and S. Nie: Curr. Opin. Biotechnol., 13 (2002) 40. 

  7. Q. Sun, Y. A. Wang, L. S. Li, D. Wang, T. Zhu, J. Xu, C. Yang and Y. Li: Nat. Photon., 1 (2007) 717. 

  8. V. Aroutiounian, S. Petrosyan, A. Khachatryan and K. Touryan: J. Appl. Phys., 89 (2001) 2268. 

  9. D. S. English, L. E. Pell, Z. Yu, P. F. Barbara and B. A. Korgel: Nano Lett., 2 (2002) 681. 

  10. M. A. Hines and P. Guyot-Sionnest: J. Phys. Chem., 100 (1996) 468. 

  11. A. Kortan, R. Hull, R. L. Opila, M. G. Bawendi, M. L. Steigerwald, P. Carroll and L. E. Brus: J. Am. Chem. Soc., 112 (1990) 1327. 

  12. M. Danek, K. F. Jensen, C. B. Murray and M. G. Bawendi: Chem. Mater., 8 (1996) 173. 

  13. P. Reiss, M. Protiere and L. Li: small, 5 (2009) 154. 

  14. X. Peng, M. C. Schlamp, A. V. Kadavanich and A. P. Alivisatos: J. Am. Chem. Soc., 119 (1997) 7019. 

  15. V. V. Breus, C. D. Heyes and G. U. Nienhaus: : J. Phys. Chem. C, 111 (2007) 18589. 

  16. B. Pong, B. L. Trout and J. Lee: Langmuir, 24 (2008) 5270. 

  17. X. Hu, X. Zhang and W. Jin: Electrochim. Acta, 94 (2013) 367. 

  18. W. R. Algar and U. J. Krull: ChemPhysChem, 8 (2007) 561. 

  19. D. Liu, F. Wu, C. Zhou, H. Shen, H. Yuan, Z. Du, L. Ma and L. S. Li: Sensor. Actuator. B: Chem., 186 (2013) 235. 

  20. A. Giri, N. Goswami, P. Lemmens and S. K. Pal: Mater. Res. Bull., 47 (2012) 1912. 

  21. C. Carrillo-Carrion, B. M. Simonet and M. Valcarcel: Anal. Chim. Acta, 792 (2013) 93. 

  22. H. Yang and Y. J.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19 (2012) 177. 

  23. D. V. Talapin, A. L. Rogach, A. Kornowski, M. Haase and H. Weller: Nano lett., 1 (2001) 207. 

  24. Y. Kwon, Y. Choi, K. Kim, C. Lee, K. Lee, B. Kim and Y. Choa: Surf. Coating Tech., 259 (2014) 83. 

  25. S. H. Anh, G. C. Choi, Y. K. Beak, Y. K. Kim and Y. D.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19 (2012) 362. 

  26. N. Al-Hosiny, S. Abdallah, M. Moussa and A. Badawi: J. Polym. Res., 20 (2013) 76. 

  27. I. Suarez, H. Gordillo, R. Abargues, S. Albert and J. Martinez-Pastor: Nanotechnology, 22 (2011) 435202. 

  28. L. Hu, H. Wu, L. Du, H. Ge, X. Chen and N. Dai: Nanotechnology, 22 (2011) 125202. 

  29. Y. Kwon, N. S. A. Eom, Y. Choi, B. Kim, T. Kim, C. Lee, K. Lee and Y. Choa: J. Nanosci. Nanotechnol., 14 (2014) 7636. 

  30. J. M. Haremza, M. A. Hahn, T. D. Krauss, S. Chen and J. Calcines: Nano Lett., 2 (2002) 1253. 

  31. R. M. Santana, T. D. Oliveira, S. S. M. Rodrigues, C. Frigerio, J. L. Santos and M. Korn: Talanta, 135 (2015) 27. 

  32. J. Lakowicz: Topics in Fluorescence Spectroscopy.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1999). 

  33. H. S. Hong, K. S. Park, C. G. Lee, B. S. Kim, L. S. Kang and Y. H. Jin: J. Korean Powder Metall. Inst., 19 (2012) 451. 

  34. A. H. Ip, S. M. Thon, S. Hoogland, O. Voznyy, D. Zhitomirsky, R. Debnath, L. Levina, L. R. Rollny, G. H. Carey, A. Fischer, K. W. Kemp, I. J. Kramer, Z. Ning, A. J. Labelle, K. W. Chou, A. Amassian and E. H. Sargent: Nat. Nano., 7 (2012) 5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