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각화 활동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Visualization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7년, pp.73 - 84  

김지수 (서울교육대학교) ,  장신호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ltivating creativity is one of the goals in science education.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students use visualization while they solv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and it looks helpful to make them think more. For this study three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consid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에게 총 5차에 걸쳐 사전 연습 문항을 투입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말하면서 표현하는 과정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 중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동시에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 남학생 1명(성진), 여학생 2명(민아, 주혜)을 선발하여 시각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 투입 문항은 6학년 2학기 ‘계절의 변화’ 단원과 관련이 있는 ‘나만의 해시계 디자인하기’ 문항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각화 활동을 사용했을 때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들의 시각화를 이용한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요소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시각화 활동이 나타나는 과정과 결과를 정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 초기 서울시 북부에 위치한 A 초등학교 6학년 2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과정 속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시각화 활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성사고법을 이용하였다. 학생들은 말을 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발성사고법에 익숙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였다(Yoo,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각화 활동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창의적 과학 문제를 투입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문제해결 행동, 답안 내용, 시간에 따른 과정요소 등 시각화 활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반구의 균형을 길러 학생들의 창의성을 촉진시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시각화 활동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확산적 사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Kim, 2016). 논리와 관련된 좌반구와 감각과 관련된 우반구의 균형 잡힌 결합이 있을 때 보다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데, 대다수의 학교 현장에서는 좌반구 발달과 연계된 언어 중심의 학습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반구 발달과 관련된 시각화 활동을 통해 양반구의 균형을 기른다면, 학생들의 뇌를 고르게 발전시켜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Kang, 1991).
창의적 문제해결이란 무엇인가? 창의적 문제해결은 일반적 영역의 지식, 기능, 동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과학과 같은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능을 기반으로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다(Cho et al., 2000).
시각화 활동이 중요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시각화란 단순히 손으로만 무언가를 써내려가는 외적 행위가 아니라, 학습자가 생각하고 마음으로 느낀 이미지가 감각기관을 통해 표현해 내는 것으로, 내적인 정보와 외적인 이미지를 연결하는 복합 적인 과정을 말한다(Ju, 2012). 시각화 활동은 마음 속에 생각하고 머릿속에 상상한 그림을 바깥으로 표현해냄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드러내며, 시각화 활동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고 과정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Y., Sung, J., Chae, J. & Ku, S. (200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2), 307-328. 

  2. Huh, K. (2006). Study on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verbal information through the protocol analysis for ICT use in education visual intelligenc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 Jeon, K. & Noh, T. (2002). Small group processe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3), 411-421. 

  4. Jeon, K., Kang, H. & Noh, T. (2004). The instructional effect of problem-solving strategy emphasizing planning and checking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8(2). 

  5. Ju, H. & Kwon, H. (2012). Analysis on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visualiz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4(1), 1-28. 

  6. Kang, H. (1991). The effects of teaching strategies of brain's function specialization on creativity,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Kang, H., Lee, S. & Noh, T. (2006). The instructional effect of varying visuals in drawing and writing applied to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367-375. 

  8. Kim, J. (2016).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visualization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outh Korea. 

  9. Kim, M., Jung, H. & Min, S.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use of the whole brain for students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Practical Courses Education Research, 17(1), 1-22. 

  10. Kim, T. & Kim, B. (2005). Analysis of interpretation processes through readers' thinking aloud in science-related line graph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2), 122-132. 

  11. Kim, Y. (1994). Educational technology theory. Seoul: Education Science Publisher. 

  12. Lee, D. & Park, B. (2001). Considerations on insight and its errors in mathematics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1), 15-25. 

  13. Lee, K., Choi, N., & Song, S. (2007).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ustifica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n a task of spatial geomet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9(4), 487-506. 

  14. Lim, C. & Lim, G. (2011). Analysis on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2), 213-231. 

  15. Nah, I., Sung, E. & Park,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23(4), 509-534. 

  16. Noh, T., Yeo, K., Jeon, K., Kim, C. & Ahn, C. (2000). The effects of visual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solv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4), 519-526. 

  17. Park, H. (2010). An analysis of students' drawing outcomes and drawing activities in the first term of 3-4th grade teacher's guide and supplementary book.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96-504. 

  18. Park. H.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 program for improving science drawing skill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532-540. 

  19. Polya, G. (1973). How to solve it-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Roth, W. M. (1994). Student views of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An emancipatory research project. Science Education, 78(1), 1-34. 

  21. Roth, W. M. & Lee, Y. J.(2004). Interpreting unfamiliar graphs: A generative, activity theoretic mode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7, 265-290. 

  22. Shim, H. & Jang, S. (2007). A case study o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kill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5), 532-547. 

  23. Sternberg, R. J.(2003). Wisdom, intelligence, and creativity, synthesi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uh, J. & Kang, H.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gifted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visualization thinking stryategy.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 15(4), 23-40. 

  25. Yoo, J., Park, Y., Yang, C. & Noh, T. (2011). The components a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at the processes of designing application experiments of science-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4), 528-5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