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경험 분석을 통한 플립 러닝의 재해석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Flipped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0 no.1, 2017년, pp.53 - 62  

이예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순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d how university students viewed flipped learning from their own perspectiv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5 students from a Computer Graphics course at a mid-scale university in Seoul were interview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llected data about their learning ex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에서 그들이 경험한 플립 러닝이 과연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즉, 플립 러닝 강의실에서 그들에게 중요한 경험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에게 의미 있었던 플립 러닝의 특성들은 무엇인지를 학생들의 시선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즉, 플립 러닝 강의실에서 그들에게 중요한 경험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에게 의미 있었던 플립 러닝의 특성들은 무엇인지를 학생들의 시선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한 학기 동안 플립 러닝으로 진행되는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관점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 이것은 웤샵에서 교수자의 역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웤샵이 진행되는 동안 교수자는 교실 앞에 마련된 자신의 컴퓨터 앞에 앉아 있기보다는 학생들 곁으로 가서 그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그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주고자 하였다. 거의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웤샵에서 자신들이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교수자에게 질문을 하기가 용이했고 교수자가 항상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서 문제를 해결한 점이 이 수업을 만족해하는 여러 이유들 중 하나라고 언급하였다.
  • 이 연구는 서울 소재 중소 규모 대학교의 융합전공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전공과목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대학의 융합전공은 인문학에 기초한 창의력 및 예술적 감성과 첨단 기술을 접목시켜 학생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전공은 강의식 수업을 지양하고 ‘learning by doing’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실무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운영되고 있는 플립 러닝이 학습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앞 장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플립 러닝을 ‘지속적인 팀 활동과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끊임없이 점검해가는 과정’으로 인지하면서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 해당하는 교실 수업에서의 학습과정을 플립 러닝과 상당히 동일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에서 그들이 경험한 플립 러닝이 과연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즉, 플립 러닝 강의실에서 그들에게 중요한 경험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에게 의미 있었던 플립 러닝의 특성들은 무엇인지를 학생들의 시선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한 학기 동안 플립 러닝으로 진행되는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관점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 플립 러닝을 팀 활동으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하여 연구 참여자들 모두 팀 활동을 수행하는데 동료들과의 갈등이나 어려움이 거의 없었고 오히려 서로 적극적으로 도와주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최민영 학생은 타 전공생으로서 코딩에 대한 기초 지식수준만 갖고 있어서 학기 초 웤샵 구성에 걱정을 다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 러닝이란? 최근 몇 년간 동영상 기반의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이 대학교육에서 많은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플립 러닝은 직접교수법 중심의 교육을 집단의 학습 공간에서 개인 학습의 공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집단의 학습 공간을 교육자의 안내와 학습된 개념들의 창의적 적용이 가능한 역동적, 상호작용적인 학습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접근법이다(Flipped LearningNetwork, 2014). 플립 러닝은 대학교에서 기존의 수동적인 강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적극적 학습참여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대안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권예슬, 2016).
교실 내 활동인 팀 활동은 무엇인가? 대표적인 교실 내 활동으로는 팀 활동을 들 수 있다. 팀 활동에는 팀 기반 프로젝트와 문제해결학습, 토론, 동료교수법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며, 기본적으로 동료 간 협력과 의사소통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잘 설계된 팀 활동에서 발생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 고차원적 사고력 향상, 파지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Choi, Land, & Turgeon, 2005; Schimidt & Moust,2000; Slavin, 1996) 플립 러닝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김남익외, 2014; Jensen et al.
팀 활동의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팀 활동에는 팀 기반 프로젝트와 문제해결학습, 토론, 동료교수법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며, 기본적으로 동료 간 협력과 의사소통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잘 설계된 팀 활동에서 발생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은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 고차원적 사고력 향상, 파지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Choi, Land, & Turgeon, 2005; Schimidt & Moust,2000; Slavin, 1996) 플립 러닝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김남익외, 2014; Jensen et al., 2015; Love, Hodge, Grandgenett, &Swift,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부 (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보도자료. http://www.korea.go.kr/fl/22278/9ddd1ddf에서 검색. 

  2. 권예슬 (2016년 10월 16일). 강의 온라인으로 듣고, 교실선 토론 발표… '거꾸로 수업' 확산. 동아사이언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14241에서 검색. 

  3. 김남익, 전보애, 최정임 (2014).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 (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3), 467-492. 

  4. 오정숙 (2015). 플립드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1-23. 

  5. 임정훈 (2016).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Flipped Learning) 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32(1), 165-199. 

  6. 한형종, 임철일, 한송이, 박진우 (2015). 대학 역전학습 온?오프라인 연계 설계전략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31(1), 1-38. 

  7. 홍기칠 (2016). 거꾸로 교실 (Flipped Classroom) 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교육방법연구, 28(1), 125-149. 

  8. Ahn, M. L., Yoon, H., & Cha, H. (2015). Cultural sensitivity and design implications of MOOCs from Korean learners' perspectives: Case studies on edX and Courser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6 (2), 201-229. 

  9.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10. Bloom, B. (1971). Mastery learning.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1. Carey, S., Evans, R., Honda, M., Jay, E., & Unger, C. (1989). 'An experiment is when you try it and see if it works': A study of grade 7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5), 514-529. 

  12. Cook-Sather, A. (2013). Translating learners, researchers,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rough investigations of students' experiences in school. Qualitative Research, 13 (3), 352-367. 

  13. Choi, I., Land, S. M., & Turgeon, A. J. (2005). Scaffolding peer-questioning strategies to facilitate metacognition during online small group discussion. Instructional Science, 33, 483-511. 

  14. Eslami-Rasekh, Z., & Valizadeh, K. (2004). Classroom Activities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Learners' Voice and Teachers' Voice. TESL-EJ, 8(3). Retrieved from http://www.tesl-ej.org/wordpress/issues/volume8/ej31/ej31a2. 

  15. Ferreri, S., & O'Connor, S. K. (2013).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Redesign of a large lecture course into a small-group learning cours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7 (1), 1-9. 

  16. Flumerfelt, S., & Green, G. (2013). Using lean in the flipped classroom for at risk student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6 (1), 356-366. 

  17. Frydenberg, M. (2013). Flipping Excel.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Journal, 11 (1), 63-73. 

  18. Guba, E. G., & Lincoln, Y. S.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 Healy, M., Flint, A., & Harrington, K. (2014). Engagement through partnership: Students as partners in learning an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www.heacademy.ac.uk/engagement-through-partnership-students-partners-learning-and-teaching-higher-education. 

  20. Jablonka, E. (2008) Understanding "hidden rules": the challenge of becoming a competent member of a mathematics classroom. Retrieved from http://www.mathunion.org/icmi/publications/icme-proceedings/materials-from-icme-11-mexico/regular-lectures. 

  21. Jensen, J. L., Kummer, T. A., & Godoy, P. D. D. M. (2015). Improvements from a flipped classroom may simply be the fruits of active learning. CBE-Life Sciences Education, 14 (1), ar5. 

  22. Jung, I., & Lee, Y. (2015). YouTube acceptance by university educators and student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52 (3), 243-253. 

  23. Long, T., Logan, J., Cummins, J., & Waugh, M. (2016). Students' and instructor's attitudes and receptions of the viability of using a flipped classroom instructional model in a Technology-Enabled Active Learning (TEAL) Classroom.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Technology, 5 (1), 46-58. 

  24. Love, B., Hodge, A., Grandgenett, N., & Swift, A. W. (2014). Student learning and perceptions in a flipped linear algebra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45, 317-324. 

  25. Mason, G. S., Shuman, T. R., & Cook, K. E. (2013).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verted classroom to a traditional classroom in an upper-division engineering course.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56 (4), 430-435. 

  26. Newman, D. (1989, March). Formative experiments on technologies that change the organization of instr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27. Post, J. L., Deal, B., & Hermanns, M. (2015). Implementation of a flipped classroom: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5 (6), 25-30. 

  28. Sandi-Urena, S., Cooper, M. M., Gatlin, T. A., & Bhattacharyya, G. (2011). Students' experience in a general chemistry cooperative problem based laborato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2 (4), 434-442. 

  29. Savenye, W. C., & Robinson, R. S. (2004). Qualitative research issues and methods: An introduction for educational technologists. In D. H.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nd ed.) (pp. 1045-1072). Thousand Oaks, CA: Lawrence Erlbaum. 

  30. Schmidt, H. G., & Moust, J. H. C. (2000). Factors affecting small-group tutorial learning: A review of research. In D. Evensen & C. E. Hmelo (Eds.), Problem-based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rning interactions (pp. 19-51). Mahwah, NJ: Erlbaum. 

  31. Slavin, R. E. (1996).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 43-69. 

  32. Strayer, J. F. (2007).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 comparison of learning activity in a traditional classroom and a flip classroom that used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3. The Flipped Learning Network. Retrieved from http://flippedlearning.org/definition-of-flipped-learning. 

  34. Turner, J. C., Christensen, A., & Meyer, D. K. (2009). Teachers' beliefs about student learning and motivation. In L. J. Saha & A. G. Dworkin (Eds.), The New International Handbook of Teachers and Teaching (Part 1) (pp. 361-371). New York: Springer. 

  35. Wallace, M. L., Walker, J. D., Braseby, A. M., & Sweet, M. S. (2014). "Now, what happens during class?" Using team-based learning to optimize the role of expertise within the flipped classroom. Journal on Excellence in College Teaching, 25 (3&4), 253-273. 

  36. Zainuddin, Z., & Halili, S. H. (2016). Flipped classroom research and trends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y.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7 (3). Retrieved from http://www.irrodl.org/index.php /irrodl/issue/view/75. 

  37. Zhu, C. (2011).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Cultural differences in studen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Journal for educational research online, 3 (1), 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