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on Ethical Values among Hospital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1, 2017년, pp.52 - 62  

서형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두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clinical nurses' ethics germane to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and thus help nurses to develop more positive and consolidated ethical values. Method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가치관 정도를 파악하고, 정보 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인 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는 개인정보보호의 환자정보관리영역과 학력 및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설명력은 총 21%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가치관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긍정적이고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해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대상자의 정보활용능력과 정보활용능력의 하위영역별 평균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Lee [21]와 Son 등[26]의 연구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가치관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처럼 긍정적이고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진 간호사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며[19], 이는 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긍정적인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게 될 수 있음[3]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병원간호사의 긍정적이고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영역에서의 데이터 활용이 지원받음에 따라 어떻게 되었는가? 현대는 정보화 사회로서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로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어 활용하고 있다[1]. 이에 정부에서는 의료영역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서비스가 환자에게 제공되고, 진단 및 치료방법이 공유됨으로써 환자들의 진료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고 있다[2]. 대신에 정보취득이 용이해짐에 따라 개인정보의 유출, 오 ․ 남용 등의 개인정보 침해라는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1].
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현장에서는 기술의 진보가 직무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보다 복잡하고 고차원적인 역량을 의료인에게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간호사가 간호 실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검증된 정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4].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5], 의료기관에서는 구성원들이 필요한 정보를 올바른 방법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대해 올바른 해석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4].
병원에서 환자 의료정보 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정부는 2015년 ‘의료기관용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제시하고, 의료기관에서 환자들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의 수집 ․ 유출 ․ 오용 ․ 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하는 개인정보 처리 기준들을 제공하였다[10].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환자 의료정보 유출이 일어나고 있는데, 대부분의 보안사고와 마찬가지로 의료정보 유출 또한 의료기관 내부에서의 부적절한 정보 접근이 가장 큰 원인이다[11]. 이는 의료기관에서의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부족과 체계적인 관리 부재[7]뿐만 아니라 의료인의 낮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수준 때문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ng HJ. National-level use of health care big dat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8: 55-71. 

  2. Park JY. Analysis of legal basis regarding patient privacy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12;20(2):163-190. 

  3. Korhonen E-S, Nordman T, Eriksson K. Technology and its ethics in nursing and caring journal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Nursing Ethics. 2015;22(5):561-576. http://dx.doi.org/10.1177/0969733014549881 

  4. Heye ML, Stevens KR. Using new resources to teach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6):334-339. http://dx.doi.org/10.9999/01484834-20090515-06 

  5. Ozdemir L, Akdemir L. Turkish nurses' utilization of research evid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influencing factor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56(3):319-325.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9.00707.x 

  6. Hwang JI, Park HA.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formatics competency.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011;29(4): 256-262. http://dx.doi.org/10.1097/NCN.0b013e3181fc3d24 

  7. Lee HJ. Problems and solu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medical a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12;20(2):267-293. 

  8. Joung MY, Jun SS, Ha SJ. Comparative study of patients and nurs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to the emergency room nurses' behavior for protecting patient privacy. Global Health & Nursing. 2014;4(2):68-77. 

  9. Ko YM. Education and ethics in information ag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7;38(4): 3-17.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the Interior. Privacy guidelines for medical institu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 

  11. Kwon HY, Joung JH, Kim KY, Park SJ, Kim NY, Shin DM.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change since enforcem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ternet]. Seou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2012. [cited 2016 September 16].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F0537DB41641D84BC0F864120AB01DDF.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079930-201300008&pageIndex874&leftMenuLevel160 

  12. Ahn SH.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for patient privacy protection (Focusing on healthcare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3. Yakov G, Shilo Y, Shor T. Nurses' perceptions of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rights law. Nursing Ethics. 2015;17(4):501-510. http://dx.doi.org/10.1177/0969733010368199 

  14. Kim S. Th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practice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ethic climat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4. 

  15. Korean Nursing Association. Korean nurse code of ethics [Internet]. Seoul: Korean Nursing Association; 1972. [updated 2013, July 23; cited 2016 September 19].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16. Mannix J, Wilkes L, Daly J. 'Good ethics and moral standing': A qualitative study of aesthetic leadership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5;24:1603-1610. http://dx.doi.org/10.1111/jocn.12761 

  17. McCarthy J, Gastmans C. Moral distress: A review of the argument- based nursing ethics literature. Nursing Ethics. 2015;22 (1):131-152. http://dx.doi.org/10.1177/0969733014557139 

  18. Keyko K. Work engagement in nursing practice: A relational ethics perspective. Nursing Ethics. 2014;21(8):879-889. http://dx.doi.org/10.1177/0969733014523167 

  19.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2007;55(4):122-131. https://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20. Rhee HY. The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scales for undergraduate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9. 

  21. Lee HJ. Relationships among information resources us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Gyeongbuk: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22. Lee MY, Park YI. A study on the nurses'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rotecting patient privacy.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1(1):7-20. 

  23. Lee YS. A study of the ethical values of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0;20(2):249-270. 

  24. Jong HJ, Moon HJ. A study of ethical sense of value and discord of the clinica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5;1(2):349-371. 

  25. Eom IH.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with focus on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4. 

  26. Son YJ, Kim SH, Park YS, Lee SK, Lee YM.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retrieval skill on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2;14(6):635-646.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635 

  27. Yu M, Kim M. Neonatal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havior to protect patient priv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24-43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24 

  28. Kim M.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fertility center nurses' protecting behavior for the patient priva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268-278.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268 

  29. Kim YJ, Song HK, Lee MA. Perceived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head nurse's leadership and clinical competency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96-105. 

  30. Seo HE, Kim M. Operation room nurses' ethical value regarding their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in brain dea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6;28(4):355-366. http://dx.doi.org/10.7475/kjan.2016.28.4.3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