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Awareness and Practice of Patients'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7 no.5, 2017년, pp.121 - 132  

김은영 (광주대학교) ,  임경숙 (송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중 2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경험한 남녀 간호대학생 122명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13일부터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와 실천도는 5점 만점에 인식도는 4.44(SD=0.44)점, 실천도는 4.28(SD=0.62)점이었다. 학교(t=5.094, p<.001)와 병원(t=2.028, p=.045)에서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었으며, 실천도는 병원에서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51, p=.012).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와 실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의료정보보호 실천도는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영역(r=.420, p<.001), 정보관리영역(r=.368, p<.001) 및 의뢰영역(r=.304,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개발에 힘쓰고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narra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patients'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를 파악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개발에 힘쓰고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료정보는 보호뿐만 아니라 어떠한 목적으로도 쓰이는가? 의료정보란 의료제공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의료제공을 행하기 위해 진료 등을 통해서 얻어지는 환자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4]. 개인의료정보는 보호뿐만이 아니라 그 이용의 중요성도 중시되고 있는데 이는 희귀질병에 대한 학술, 연구, 통계자료를 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개인정보와 비교하여서 관련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관점에서 2차적으로 이용할 필요성이 훨씬 더 확대되고 있다[5].
의료정보란? 의료정보란 의료제공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의료제공을 행하기 위해 진료 등을 통해서 얻어지는 환자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4]. 개인의료정보는 보호뿐만이 아니라 그 이용의 중요성도 중시되고 있는데 이는 희귀질병에 대한 학술, 연구, 통계자료를 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고 있다.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의료계에서도 환자들은 보다 나은 의료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다른 정보 분야에서처럼 정보화와 관련된 역기능을 예방하고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분야보다도 훨씬 심각한 보안의 위협이 나타날 수 있는 이유는?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의료계에서도 환자들은 보다 나은 의료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다른 정보 분야에서처럼 정보화와 관련된 역기능을 예방하고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분야보다도 훨씬 심각한 보안의 위협이 나타날 수 있다[2]. 이는 의료정보의 디지털화, 영상전송매체(PACS), 병원업무의 전산화인 전자의무기록(EMR) 등 의료정보가 전자 상으로 교환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들을 통해서 환자 정보에 접근이 용이하기[3]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Ju Lee, "Problems and Solu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Medical A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Vol. 20, No. 2, pp.268-293, 2012. 

  2. J. W. Yoo, "Comparis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 on the Awareness 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Medical Informa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6. 

  3. Mi-Young Lee & Young-Im Park "A study on the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rotection Patient Privac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1, No. 1, pp.7-20, 2005. 

  4. Jeom-Goo Kim & Kyoung-Suk Lim, "Study on The RBAC Protocol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ol. 16, No. 7, pp.77-83, 2016. 

  5. Hong-Keun Kim & Yoon-Jeong Kim,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Changes in the Medical Paradigm and Information Security",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Policy Development, Vol. 6, No. 5, pp.8-9, 2006. 

  6. Han-Na You, Hyung-Joo Kim. Jae-Sik Lee, Tae-Sung Park & Moon-Seong Jun,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rivacy Information Acts to Suggest Direction for Developing Korean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Act", Journal of the Korea Ins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tology, Vol. 22, No. 5, pp.1091-1102, 2012. 

  7. Han Joo Lee, "The Legislation on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Kor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Vol. 22, No. 1. pp.177-208, 2014. 

  8. Rossi, M. S., "New Security Regulations Aimed at Protecting Patient Information.", New York State Dental Journal, Vol. 71, No. 1, pp.6-7, 2005 

  9. E. Berger, "Attitudes to Privacy, Health Records and Interconnection Implication for Healthcare Organization" Hosp. Q, Vol. 5, No. 4, pp.40-45, 2002. 

  10. Joon-Young Choi, "Stud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9. 

  1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2011.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dical Institutio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s, 2015. http://www.mu.go.kr. 

  13. Sang-Mook Lee, "Direction of the Act on Protection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Legislative Issue No. 2007-10, pp.4, 2007. 

  14. Seon-Young Choi, Do-Yeon Lim, Il-Sun Ko & In-Oh Mo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2, No. 1, 2016. 

  15. Yun-Jo Bae & So-Yong Lee, "A Study of Student Nurses'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36-44. 2016. 

  16. Sung-Ju Bae & Young-Jin Choi, "The Perception Survey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of First Aid Training Courses Students-Focused of EMT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ol. 2, No. 1, pp.25-34. 2014. 

  17. Chang-Hee Kim, Sun-Young Jeon & Yong-shin Song,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P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11, pp. 479-490, 2013. 

  18. Young-shin Song, Mi-young Lee, Young-hee Jun, Yoon-hee Lee, Jeong-hwa Cho, Myoung-jin Kwon, Heon-man Lim. "Revision of the Measurement Tool for Patients'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 22, No. 3, pp.206-216, 2016. 

  19. Kyeon-In Cha,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Information Ethics Index & Patients'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and Practice".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7. 

  20. Sang-Jin Jung, A study on Stud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who are majoring in Medical Records, Journal of the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 pp.585-594, 2016. 

  21. Sang-Yun Lee, "The Importance of Personal Medical and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in a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Monthly welfare trend, No. 216, pp.29-34, 2016. 10. 

  22. Seung-Hyun Lee, "USA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and Promotion St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policy, Vol. 18, No 10, pp.3, 2006. 

  23. Jae-Sun Kim, "Use of Medical Information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dministrative Law Study, No. 44, pp.269, 2016. 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