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왕시 어린이집 아이들의 식습관 조사
Dietary Habit Survey of Preschool Children in Uiwang-si, Gyeonggi-do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1, 2017년, pp.29 - 40  

김혜원 (안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길복임 (안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subjects were 291 parents whose children went to daycare centers in Uiwang.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5 items for children's dietary habits and s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왕시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 291명을대상으로 식습관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고자 부모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녀들이 매일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6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왕시 영유아들의 식습관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식습관 개선을 유도하고자 의왕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특화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양한 식습관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부모들의 자녀 식생활 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어린이집 및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자료 및 가이드라인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영유아의 식습관은 우선적으로 가정에서의 식생활 전반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형성되기 시작하므로(Lee NH 등 2000),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 및 식습관 관리는 가정에서의 식습관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왕시 영유아들의 식습관 실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식습관 개선을 유도하고자 의왕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특화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양한 식습관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부모들의 자녀 식생활 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어린이집 및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자료 및 가이드라인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특화사업 명은 ‘맞춤형 영양관리’와 ‘편식은 이제 안녕’이며, 자녀의 평소 식습관 조사를 통한 영양관리와 편식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식습관은 언제 형성되는가? 하지만 최근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자녀의건강 및 영양에 충분히 신경을 쓰지 못하는 가정의 비율이높아지고 있어, 영유아 식습관 형성에 대한 책임이 가정에서 보육시설로 점차 옮겨가고 있는 실정이다(Lee HO 2007). 인간의 식습관은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맛보기 시작하는 영유아기에 형성되며, 이 때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 식생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Schwartz C 등 2011),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에서의 영양관리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교정의 기회가 될 수 있다(Lee NH 등 2000; Sin EK & Lee YK 2006).
영유아 시기의 식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하지만 최근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자녀의건강 및 영양에 충분히 신경을 쓰지 못하는 가정의 비율이높아지고 있어, 영유아 식습관 형성에 대한 책임이 가정에서 보육시설로 점차 옮겨가고 있는 실정이다(Lee HO 2007). 인간의 식습관은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맛보기 시작하는 영유아기에 형성되며, 이 때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 식생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Schwartz C 등 2011),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에서의 영양관리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교정의 기회가 될 수 있다(Lee NH 등 2000; Sin EK & Lee YK 2006).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영유아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는 조사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여러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편식과 같은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영유아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북구미 지역 어린이집 유아들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연구에서 유아들은 대부분 채소를 잘 섭취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칼슘과 철분 섭취가 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Sin EK & Lee YK 2005). 경기지역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자녀의 편식 식품군은 채소 및 과일류와 어육류가 각각 1순위와 2순위였으며, 연령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높은 집단에 비해 편식 비율이 높았다(Oh YJ & Chang YK 2006). 또한, 유치원에 다니는 학령 전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탄산음료나 가공식품에대한 선호도는 높은 반면, 채소류에 대해서는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Park HS & Ahn SH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xelson ML, Brinberg D (1992)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nutrition knowledge. J Nutr Educ 24(5): 239-246. 

  2. Ban JY (2009) A survey on the children's nutrition status in the preschool of Daegu region.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29-31. 

  3. Birch LL (1999)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Annu Rev Nutr 19: 41-62. 

  4. Bray GA, Popkin BM (1998) Dietary fat intake does affect obesity! Am J Clin Nutr 68(6): 1157-1173. 

  5. Cho YJ, Kim MH, Kim MH, Choi MK (2014) Night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 300-308. 

  6. Dieris B, Reinehr T (2016) Treatment program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how to achieve lifestyle changes? Obes Med 3: 10-16. 

  7. Gilman MW, Rifas-Shiman SL, Frazier AL, Rockett HRH, Camargo CA, Field AE, Berkey CS, Colditz GA (2000) Family dinner and diet quality among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Arch Fam Med 9(3): 235-240. 

  8. Han HY, Kim EK,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 30(10): 1219-1228. 

  9. Han SJ, Seo EY, Kim WK (2004) A comparative study on acquiring and using patterns of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non-medical personn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 302-308. 

  10. Hong MA, Choi MS, Han YH, Hyun TS (201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Korean J Community Nutr 15(5): 593-602. 

  11. Hong SY (2008)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dietary habits, lifestyle and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on preschool children's obesity. MS Thesis Kook Min University, Seoul. pp 4, 25. 

  12. Hong YJ (1998) A study on a relation of food ecology to obesity index of 5th grade children in Cheju city(II). Korean J Dietary Culture 13(2): 141-151. 

  13. http://ccfsm.foodnara.go.kr. Accessed August 25, 2016. 

  14. http://www.kns.or.kr/index.asp. Accessed August 25, 2016. 

  15. http://www.moe.go.kr/main.do. Accessed August 25, 2016. 

  16. Jo JS, Kim KN (2014)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of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9(3): 258-273. 

  17. Joo NM, Kim SH, Park HN, Lee SY, Kim MJ, Jung KS (2006) The effect of snack intake of preschoolers on ADHD. Korean J Food Culture 21(2): 193-201. 

  18. Kang HK, Kang MH, Yu KH, Ly SY (2004) Monitoring of on-line nutrition information-Analysis of meta data. Korean J Nutr 37(8): 688-700. 

  19. Kang SH (2013) Impacts of higher elementary grades' breakfasting and eating habits on their learning.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pp 34-36. 

  20. Kim HH, Park YH, Shin EK, Shin KH, Bae IS, Lee YK (2006)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Soc Food Nutr 35(8): 1016-1024. 

  21. Kim HJ, Chung KM, Park MJ, Choe YH (2008) Parental survey for children with feeding problems. Pediatr Gastroenterol Hepatol Nutr 11(2): 179-186. 

  22. Kim HR (2010) An overview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policy for children and tasks ahead. Health Welfare Policyforum 3: 27-36. 

  23. Kim HR, Seo MH, Lee KS, Kim IO, Kreisel K(2003-42) (2003) A study of health and nutrition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pp 10. 

  24. Kim HS (2008) Research on the purchasing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on nutrition.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7. 

  25. Kim MH, Jeong ES, Kim EJ, Cho HK, Bae YJ, Choi MK (2011) Night eating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al area of Chungna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4): 563-576. 

  26. Kim MR (1984)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employed and housewives' meal management in Daejeon city. J Korean Soc Food Nutr 13(1): 107-116. 

  27.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etic Assoc 5(2): 215-224. 

  28. Kim YH, Lee SG, Kim SH, Song YJ, Chung JY, Park MJ (2011)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toddle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4(2): 161-170. 

  29. Kim YH,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etic Assoc 10(3): 345-355. 

  30. Koo JO, Kim JH, Byun KW, Sohn CM, Lee JW, Lee JH, Choi YS (2011)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owerbook. Korea. pp 196-197. 

  31. Ku UH,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51-162. 

  32. Lee HO (2008) A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food lifestyles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and full-time housewives' children. Korea J Food Nutr 21(2): 106-113. 

  33. Lee HO (2007) Healt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nd the effects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Food Nutr 20(2): 202-208. 

  34. Lee KH, Park DY, Lee IY, Hong JY, Choi BC, Bas SS (2001) The survey o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J Korean Diet Assoc 7(2): 167-174. 

  35. Lee NH, Joung H, Cho S, Choi YS (2000) A survey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in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5(4): 578-585. 

  36. Lee YM, Lee KW, Oh YJ (2009)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s family meals. J Korean Diet Assoc 15(1): 41-51. 

  37. Lim HJ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369-1379. 

  38. Marshall HM, Allison KC, O'Reardon JP, Birketvedt G, Stunkard AJ (2004) Night eating syndrome among nonobese persons. Int J Eat Disord 35(2): 217-222. 

  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hild care statistics in 2015(11-1352000-000028-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pp 94. 

  4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Foodservice management manual for childcare center. Korea 

  4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42. Mustonen S, Rantanen R, Tuorila H (2009)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school children's food perception: A 2-year follow-up study. Food Qual Prefer 20(3): 230-240. 

  43. Myung KH, Shin SM, Choi MK (2004) A comparison of growth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and full-time housewives' preschool children. J Korean Dietetic Assoc 10(4): 407-416. 

  44. Na SY, Ko SY, Eom SH, Kim K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3): 329-341. 

  45.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39(2): 184-191. 

  46. Park HS, Ahn SH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6(3): 298-305. 

  47. Schwartz C, Scholtens P, Lalanne A, Weenen H, Nickalus S (2011) Development of healthy eating habits early in life. Review of recent evidence and selected guidelines. Appetite 57(3): 796-807. 

  48. Seo MH, Yang MS, Kim ES, Choi YK, You HM, Son CK, Lee HM(11-1352000-000961-12) (2012) National Child Care Actual Conditions Survey-report of home intervie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orea. pp 141. 

  49. S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88-501. 

  50. Sin EK, Lee YK (2005)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1008-1017. 

  51. Singh M (2004) Role of micronutrients for physical growth and mental development. Indian J Pediatrics 71(1): 59-62. 

  52. Stunkard AJ, Grace WJ, Wolff HG (1955) The night-eating syndrome; A pattern of food intake among certain obese patients. Am J Med 19(1): 78-86. 

  53. Suh YS, Lee EK, Chung YJ (2012)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energy level of night snack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5(5): 479-488. 

  54. White HJ, Haycraft E, Meyer C (2014) Family mealtimes and eating psychopathology: the role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girls and boys. Appetite 75: 173-179. 

  55. Yabanci N, Kisac I, Karakus SS (2014) The effects of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children about nutrition. Procedia Soc Behav Sci 116: 4477-4481. 

  56. Yang IS, Kim EK, Bai YH, Lee SJ, Ahn HJ (1993)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Korean J Dietary Culture 8(2): 125-136. 

  57. Yeoh YJ, Kwon SY, Lee YM (2014) Menu pattern and food diversity of snack menus provided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in Seoul. J Nutr Health 47(6): 443-451. 

  58. You JS, Kim SM, Chang KJ (2009)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42(3): 256-267. 

  59. Yu KH (2009)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physical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2(1): 2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