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자녀가 있는 결혼이민자 여성의 생활만족도 예측 변인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1, 2017년, pp.1 - 18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최여진 (성균관대학교 소비자 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draw data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NSMF). The target group was marriage migrant wives who were in a first marriage and ha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결혼이민자 중 결혼이민자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일민족의 정서가 강한 한국에서도 다문화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에서 발표한 자료 (2016)에 따르면, 2016년 11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체류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여성은 128,827명으로, 전체 결혼이민자 152,564명(결혼이민자 남성 23,737명, 여성 128,827명) 중 84.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07년 11월에 집계한 결혼이민자 여성의 수인 96,580명(법무부, 2008)에 비해 약 75% 증가한 것이다.
자녀가 생기면서 결혼 이민자 여성들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녀의 학교생활, 성적, 상급 학교 진학, 그리고 교우관계 등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이 결혼이민자 여성에게 또 다른 적응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한국처럼 자녀의 교육과 대학 진학을 중요시하며, 이러한 영역의 책임을 일차적으로 어머니에게 전가하는 경우(성미애 최여진, 2015)에는 학령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여성의 생활을 더 힘들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2020년 다문화가족을 몇 만 가구로 예측하는가? 또한 다문화가족의 수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을 기준으로 볼 때 다문화가족은 82만가구 내외이나 2020년에는 100만 가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가족 내 자녀수도 증가하여 2007년에는 44,258명에 불과하였으나 2015년에는 207,693명으로 8년 사이에 약 5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고은미(2009). 학교 가정 통신문을 활용한 여성결혼 이민자 대상 독해 자료 구성 방안 연구. 국어문학, 46, 5-32. 

  2. 공은화.신유경(2016).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756-765. 

  3. 권복순.차보현(2006).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4. 김경미(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2), 185-208. 

  5. 김경미(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인터넷 이용과 한국사회 적응. 정보사회와 미디어, 25, 1-27. 

  6. 김연수.박지영(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0, 269-297. 

  7. 김은경(2008).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83-94. 

  8. 김은경(2010). 경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 상호작용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12. 

  9. 김이선.민무숙.김경미.주유선(2011).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김진희.박옥임(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8(1), 127-160. 

  11.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12. 김현실(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20(2), 188-198. 

  13. 김희경(2010).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유형분석. 여성연구, 78, 119-158. 

  14. 남부현.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13-142. 

  15. 남부현.오정아(2013).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131-154. 

  16. 문선숙.김창희.심미경(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및 도움요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1), 101-112. 

  17. 박미정.엄명용(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18. 박재규(2009). 국제결혼 여성이민자 및 남편의 가족생활 적응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26, 137-163. 

  19. 박정숙.박옥임.김진희(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20. 배경희(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1, 33-54. 

  21. 법무부(2008).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07년 11월 호). 

  22. 법무부(2016).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6년 11월 호). 

  23. 서홍란.김기언.김양호(2008). 베트남 여성결혼 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21-143. 

  24. 설동훈.이계승(2011).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사회학, 13(1), 117-147. 

  25. 설동훈.이혜경.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6. 성미애(1999).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성미애(2011).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한 미 비교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63-81. 

  28. 성미애(2015). 핏줄 의식과 댜문화 사회 

  29. 최연실 외(2015). 한국가족을 말하다, 서울: 하우출판사 

  30. 성미애.최여진(2015). 학령기 자녀와 함께 사는 분거 가족 기혼 여성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고찰. 가족과 문화, 27(4), 89-111. 

  31. 성상환.한광훈(2011).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언어문화 실태 조사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227-249. 

  32. 송선화.안효자(2011).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경험. 정신간호학회지, 20(2), 167-179. 

  33. 양성은.이미영(2011). 도서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251-284. 

  34. 양순미(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3), 223-252. 

  35. 양순미(2010).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20(1), 233-263. 

  36. 양현아(2013). 가족 안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실험. 저스티스, 134(2), 298-335. 

  37. 여성가족부(2016). 2015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38. 원서진.송인욱(2011).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95-113. 

  39. 이영분.이유경 (2010). 거주지역에 따른 결혼 이민자 여성의 자아분화 및 문화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45-157. 

  40. 이은주.전미경(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25-141. 

  41. 이지영(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2), 105-125. 

  42. 이호경(2010). 정부의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지원대책 현황과 문제점: 여성이민자가족의 사회통합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4(9), 187-207. 

  43. 임연옥.윤현숙.황지성(2016).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부부관계와 자녀관계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1-28. 

  44. 임혁(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89-221. 

  45. 장경섭.진미정.성미애.이재림(2013).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6. 장은애.최영(2010).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정체성 유형과 생활만족도. 사회과학연구, 26(3), 1-25. 

  47. 전경옥(2007). 젠더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 아시아여성연구, 46(1), 7-42. 

  48. 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이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3), 161-186. 

  49. 정기선.한지은(2009).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 32(2), 87-114. 

  50. 정주연(2008).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1, 228-262. 

  51. 정주원.조소연(2016).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문화 및 언어수용태도와 사회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2), 185-197. 

  52. 주애란(2011). 맞벌이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2), 221-229. 

  53. 통계청(2016). 2015년 연간 가계동향.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3/index.board?bmoderead&bSeq&aSeq351677&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54. 함진옥.조인주(2012).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및 심리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4(3), 65-97. 

  55. 행정자치부(2015). 2013년 외국인 주민 현황. 

  56. 허철행.임경숙(2012).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산광역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5(4), 201-228. 

  57. OECD.(2013a). 웰빙의 측정 2013. 

  58. OECD.(2013b). 주관적 웰빙 측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59. Amit, K.(2010).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s from Western countries and from the FSU in Israel. Social Indicators Research, 96(3), 515-534. 

  60. Buetell, N.(2006). Life satisfaction, a sloan work and family encyclopedia entry. In Sloan work-family encyclopedia (pp. 1125-1127). Boston, MA: Boston College. http://workfamily.sas.upenn.edu/glossary/l/life-satisfaction-definition. 

  61.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NY. 

  62. Diener, Ed.(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63. Jan, M. & Masood, T.(2008). A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Studies on Home and Community, 2(1), 33-42. 

  64. Liebkind, K.(1996). Acculturation and stres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7(2), 161-179. 

  65. Mace, D. & Mace, V.(1976). Marriage enrichment: A preventive group approach for couple. In D. H. Olson(Ed), Treating relationship. Lake Mille, lowa: Graphic Publishing Company, 321-338. 

  66. Marks, S. R.(1977). Multiple roles and role strain: some note on human energy, time and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4): 921-936. 

  67. Pavot, W. & Diener, Ed.(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2), 164-172. 

  68. Sung, M. & Byun, J.(2013).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conflict for baby boome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03-113. 

  69. Sung, M., Chin, M., Lee, J. & Lee, S.(2013). Ethnic variations 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ives in South Korea. Family Relations, 62(1), 226-240. 

  70. Ward, C. & Ranm-Deuba, A.(1999).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revisited.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0, 422-4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