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분식점의 브랜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 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rand Positioning of Franchise Snack Bar - Focused on Busan Area -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2 = no.85, 2017년, pp.11 - 22  

이순아 (경성대학교 외식서비스경영학과) ,  강희석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이상묵 (경성대학교 외식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로서 프랜차이즈 분식점 브랜드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선택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효율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함으로 발전적인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이 인지하는 프랜차이즈 분식점들의 선택속성은 총 25의 문항들은 총 3개의 요인으로(음식의 품질, 직원들의 서비스, 물리적 환경)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용동기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석(ANOVA)를 실시하여 Duncan을 통하여 사후분석하였고, 다차원척도법(MDS)을 통하여 브랜드 유사성, 선택속성과 브랜드 선호도를 검증하였다. 아딸은 음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속성에서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봉구스 밥버거는 서비스와 물리적 환경, 고봉민 김밥은 음식과 물리적 환경속성이 평균보다 높았다. 김밥천국은 음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세 요인 모두에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5개의 프랜차이즈 분식점에 대한 유용한 경쟁관계를 나타내는 포지셔닝 맵과 실용적인 제안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cused on five franchise snack bars to creat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by grasping selection properties that satisfy customers. Discriminant Analysis was utilized to suggest methodological frameworks, and the results s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서비스 품질의 세 가지 속성(상호작용, 물리적 환경, 결과품질)을 기반으로 경쟁 브랜드별 포지셔닝맵을 구축하고, 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별 선택속성의 평균값에 의한 시장경쟁 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프랜차이즈 분식점별 보다 구체적인 마케팅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분식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중요시 여기는 음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선택속성을 파악하여 브랜드별로 고객이 지각하는 정도를 분석하여 포지셔닝하였다. 각 속성의 평균과 집단 간 차이분석, 브랜드 유사성을 좌표로 분석한 회귀분석, 브랜드별 평균차로 나타낸 경쟁우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Cho 등(2012)은 음식의 맛, 메뉴의 다양성, 실내 분위기, 평판 및 이미지, 서비스 품질 등 16개의 선택속성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의 브랜드 포지셔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분식점 브랜드의 선택속성 평가하기 위하여 Hart(1985), Morgan(1993), Cho 등(2012)의 레스토랑 선택속성 척도를 사용하여 음식 선택속성 10문항, 서비스 선택속성 7문항, 물리적 환경 선택속성 9문항을 구성하였고, 각 브랜드별 고객이 지각하는 중요도를 도출하여 포지셔닝하고자 한다.
  • Cho 등(2014)은 부산지역 커피전문점을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경쟁관계, 유사성 포지셔닝 맵을 실시한 결과, 스타벅스와 커피빈, 엔젤리너스, 카페베네의 브랜드의 이미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선택속성에 따른 경쟁력에서는 투썸플레이스와 할리스는 직원서비스가 가장 높았고, 신용성과 유형성에서는 스타벅스와 카페베네,커피빈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격할인 부분에서는 탐앤탐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분식점에 대하여 고객들이 인지하는 브랜드별 유사성 정도와 선택속성을 통한 요인별 결과에 대하여 경쟁 브랜드별 포지셔닝맵을 구축하고자 한다.
  • 이처럼 다양한 외식서비스분야에서 지각된 서비스 속성과 다른 요인들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분식점, 특히 프랜차이즈 분식점이 외식산업에서 큰 부각을 나타내고 있는 시점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다양한 서비스 속성에 대한 업체별 차이와 구체적인 비교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대표적 프랜차이즈 분식점들의 서비스 속성을 이용한 포지셔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분식점들에 대한 유사성 검증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분식점들에 대한 동질성 및 이질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서비스 품질의 세 가지 속성(상호작용, 물리적 환경, 결과품질)을 기반으로 경쟁 브랜드별 포지셔닝맵을 구축하고, 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랜차이즈 분식점의 운영 방식은 무엇인가? 기존 분식점은 저렴한 가격에 밀가루가 주원료인 식사를 제공했으나, 프랜차이즈 분식점은 한 끼 식사로 손색이 없는 일품요리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며, 외식시장 안에서 매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Seo, 2009). 프랜차이즈 분식점은 본사에서 식자재들과 소스 등을 제공받아 매장에서 즉석 조리하여 손님들에게 제공되는 전문화되고 체계환된 패스트푸드점의 한 업태이다(Lee et al., 2016).
분식 프랜차이즈 업계가 프리미엄 형태로 전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외식연감(2015)에 따르면 분식 프랜차이즈 업계는 이미 본격적인 프리미엄화를 시작하게 되었고, 기존의 길거리 음식에서 탈피하여 건강식,고품질의 메뉴, 그리고 인테리어의 고급화 등 다양한 프리미엄 형태로 전향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한국외식연감,2015). 현대 외식소비자들이 식당을 선택하는 기준은 효용 가치뿐만 아니라, 위치, 맛, 친절함, 시설, 서비스 등 다양한 요소가 고객들의 이용 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한국 소비자의 외식가치와 패스트푸드 속성의 중요성에 관한 선례연구에서 발표하였다(Choi, 2008; Lee et al., 2016).
분식점이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매장위치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 2016). 점포의 매출 결정요인에 매장위치는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분식점이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매장위치는 주택가가 아닌 유동인구가 많거나, 교통이 편리한 곳으로 옮겨졌다(Oh et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H. L., Sohn, J. M., Choi, J. M., & Kim, H. S. (2015). Brand positioning strategy of franchise family restaurant.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4), 339-348. 

  2. Brady, M. K., & Joseph, C. (2001). Some new thoughts on conceptualizing perceived service quality: A hierarchical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65, 34-49. 

  3. Cho, S. Y., & Park, E. A. (2014). Positioning analysis of franchise coffee brand based on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8(6), 113-135. 

  4. Cho, S. Y., Jun, J. K., & Hyun, S. H. (2012). Analyzing franchising company's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based o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 case study of NBG Nolboo.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6(3), 171-188. 

  5. Choi, Y. K. (2008). A study on restaurant service quality at five-star hotel and customer response.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6. Hwang, Y. S. (2005). Study on the trend of food consumption pattern. (MS thesis). Chon Buk University, Jeonju, Korea. 

  7. Joo, Y. H. (2013). 식탁위의 한국사.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서울. 

  8. Ka, N. S. (2012). Effects of snack bar's menu quality on store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MS thesis). Kong Ju University, Kong Ju, Korea. 

  9. Kim, M. J. (2006).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Problems and solu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8), 151-160. 

  10. Kim, M. J. (2008). A survey of dining-out behaviors and menu pre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4(4), 525-535. 

  11. Kim, S. R. (2016). 2017 식품외식산업전망대회. 2017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12. Kotler, P. (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ing and control, 9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3. Lee, M. K., Kim, J. B., & Lee, I. K. (1998) Develop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service positioning strategy. Korea Business Review, 27(1), 221-239. 

  14. Lee, S. A, Song, S. H., & Lee, S. M. (2016). Influence of perceived service clues on experienced value, trust, and loyalty of franchise snack bar: Focused on Busan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 1-8. 

  15. Lee, S. A., Lee, S. M., & Hahm, S. P. (2015).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franchise snack bar - Focused on Busan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6), 264-279. 

  16. Monroe, K. B., & Guiltinan, J. P. (1975). A path analysis exploration of retail patronage influen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19-28. 

  17. Morgan, S. (1993). Benefit dimensions of midscale restaurants chains. The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34(2), 40-45. 

  18. Oh, S. J., Kim, D. U., & Son, B. H. (2015). Franchise sales determinants of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6(8), 2168-2179. 

  19.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 41-50. 

  20. Park, H. B., Lee, S. A., & Yoo, S. Y.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perceived benefit,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as perceived by franchise snack bar restaurant consumers -Application of means-end chain theory.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3), 183-197. 

  21. Park, Y. H.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restaurant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MS thesis). Soong Sil University, Seoul, Korea. 

  22. Ra, Y. S., & Ahn, S. S. (2007). A study on positioning of restaurants based on their competitive relationships and consumer preferences - Focused on six family restaurants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1), 24-40. 

  23. Ries, A., & Trout, J. (1982). Marketing warfare. NY: McGraw-Hill, 176. 

  24. Seo, K. H. (2009). Start-up guide for franchise snack-bar restaurant. Small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5. Sohn, I. N. (2009). Research on selection attribu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family restaurants and fast-food restaura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10), 2864-2872. 

  26. Swinyard, W. R., & Struman, K. D. (1986). Market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estaurants' market. The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27(1), 88-96. 

  27. Woo, K. O. (1990). A study on the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value of household labor associated with diet. (MS thesis). Yon Sei University, Seoul, Korea. 

  28. Yang, S. K., & Shin, J. H. (2013).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fast-food restaurant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1(2), 35-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