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막 결합형 축전식탈염공정의 탈염 성능 Part I :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Performance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s Part I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1, 2017년, pp.84 - 91  

박철오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분자 지지체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에 상용화된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배합하여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PVDF와 이온교환수지의 배합비율을 1 : 1, 1.4 : 1, 2 : 1, 3 : 1로 달리하였으며 SEM,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메탄올 투과도,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특성평가 결과 모든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2 : 1의 배합비율이 가장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2 : 1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불균질 양이온교환막의 함수율은 34%, 이온교환용량은 1.54 meq/g, 이온전도도는 0.019 S/cm, 메탄올 투과도는 $2.28{\times}10^{-7}{\sim}8.86{\times}10^{-7}cm^2/s$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불균질 음이온교환막에서는 각 각 37%, 2.18 meq/g, 0.034 S/cm, $1.46{\times}10^{-7}{\sim}8.66{\times}10^{-7}cm^2/s$의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s were prepared by mixing cation or anion exchange resins and commercial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for MCDI process. The mixing ratios of PVDF and ion exchange resins were 1 : 1, 1.4 : 1, 2 : 1, and 3 : 1. We characterized SEM, water content, 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분자 지지체인 PVDF에 상용화된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하여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PVDF와 이온교환수지의 배합 비율을 1 : 1, 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유기용매인 dimethyl foramide (DMF), N-methyl-2-pyrrolidone (NMP) 등에 용해가 잘 되고 기계적인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화학성이 뛰어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고분자 지지체로 사용하고[13], 고분자 지지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를 고르게 분산함으로써 막의 성능이 일정하도록 제조하고자 한다.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 대 용질인 고분자 지지체와 이온교환수지의 합의 배합비율은 일정하게 하고, 고분자 지지체와 이온교환수지의 배합비율을 다르게 하여 불균질 이온교환막을 제조한 다음 함수율, 메탄올투과도, SEM분석,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막의 성능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질 이온교환막의 특징은? 이온교환막은 통상적으로 균질이온교환막(hom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과 고분자 지지체에 이온교환입자를 분산시켜 제조한 불균질 이온교환막(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으로 분류할 수 있다[6]. 균질 이온교환막은 전기화학적 특성인 전기적 저항,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등은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복잡한 제조과정이 단점이다. 이와 반대로 불균질 이온교환막은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전기 화학적 특성이 미약한 것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7].
이온교환막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이에 따라 분리기술 중에서도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기술은 낮은 에너지소비량 덕분에 경제적이면서도 소비되는 에너지 대비 효율이 높기 때문에 생활과 밀접한 산업에 적용되어 발전하고 있다[1-3]. 이온교환막은 기수나 해수의 담수화, 산업 폐수로부터의 귀금속 회수, 기초화학 제품과 약품제조 등에 사용되며 산업적 혹은 생물학적 유출물 처리와 같은 환경보호와 관련된 많은 공정들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그러한 공정에서 이온교환막과 물 사이의 이온 상호작용이 복잡하게 발생한다.
전해질 막이 낮은 메탄올 투과도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직접메탄올연료전지 전해질 막은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양극으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고 연료로 사용되는 메탄올이 전지내부에서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는 격벽 역할을 해준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전해질 막은 낮은 메탄올 투과도를 가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M. Hosseini, S. S. Madaeni, A. R. Heidari, and A. Amirimehr,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on-selective polyvinyl chloride based heterogeneous cation exchange membrane modified by magnetic iron-nickel oxide nanoparticles", Desalination, 284, 191 (2012). 

  2. R. K. Nagarale, G. S. Gohil, V. K. Shahi, and R. Rangarajan,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cation-exchange membranes with different functional groups", Colloids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 251, 133 (2004). 

  3. M. Y. Kariduraganavar, R. K. Nagarale, A. A. Kittur, and S. S. Kulkarni, "Ion-exchange membranes: preparative methods for electro-dialysis and fuel cell application", Desalination, 197, 225 (2006). 

  4. S. M. Hosseini, A. Gholami, S. S. Madaeni, A. R. Moghadassi, and A. R. Hamidi, "Fabrication of (polyvinyl chloride/cellulose acetate) electrodialysis heterogeneous cation exchange membrane: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in desalination process", Desalination, 306, 51 (2012). 

  5. A. Elattar, A. Elmidaoui, N. Pismenskaia, C. Gavach, and G. Pourcelly, "Comparison of transport properties of monovalent anions through anion-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143, 249 (1998). 

  6. L. Yan and J. Wang, "Development of a new polymer membrane-PVB/PVDF blended membrane", Desalination, 281, 455 (2011). 

  7. C. S. Lee, H. S. Shin, J. H. Jun, S. Y. Jung, and J. W. Rhim, "Recent development trends of cation exchange membrane materials", Membr. J., 12, 1 (2002). 

  8. P. V. Vyas, B. G. Shah, G. S. Trivedi, P. Ray, S. K. Adhikary, and R. Rangarajan, "Characterization of heterogeneous anion-exchange membrane", J. Membr. Sci., 187, 39 (2001). 

  9. J. Schauer and L. Brozova, "Heterogeneous ion-exchange membranes based on sulfonated poly (1,4-phenylene sulfide) and linear polyethylene: preparation, oxidation stability, methanol permeabil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J. Membr. Sci., 250, 151 (2005). 

  10. S. M. Hosseini, S. S. Madaeni, A. Zendehnam, A.. R. Moghadassi, A. R. Khodabakhshi, and H. Sanaeepur,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C based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 coated with Ag nanoparticles by (thermal-plasma) treatment assisted surface modification", J. Ind. Eng. Chem., 19, 854 (2013). 

  11. J. V. Gasa, S. Boob, R. A. Weiss, and M. T. Shaw, "Proton-exchange membranes composed of slightly sulfonated poly(ether ketone ketone) and highly sulfonated crosslinked polystyrene particles", J. Membr. Sci., 269, 177 (2006). 

  12. B. G. Shah, V. K. Shahi, S. K. Thampy, R. Rangarajan, and P. K. Ghosh, "Comparative studies on performance of interpolymer and heterogeneous ion-exchange membranes for water desalination by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172, 257 (2005). 

  13. D. Diiputell and E. Staude, "Heterogeneous modification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made from poly (vinylidene fluoride) and their characterization", J. Membr. Sci., 78, 45 (1993). 

  14. G. J. Hwang, H. Ohya, and T. Nagai, "Ion exchange membrane based on block copolymers. Part III: preparation of cation exchange membrane", J. Membr. Sci. 156, 63 (1999). 

  15. X. Li, Z. Wang, H. Lu, H. Na Chengji Zhao, and Chun Zhao,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ulfonated PEEK used for ion 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254, 149 (2005). 

  16. J. S. Kim, C. S. Kim, H. S. Shin, and J. W. Rhim, "Application of Synthesized Anion and Cation Exchange Polymers to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Macromol. Res., 23, 362 (2015). 

  17. C. J. Park, I. H. Kim, S. P. Kim, H. M. Lee, S. I. Cheong, H. S. Choi, and J. W. Rhim, "Preparation of poly(ethylenimine) anionic exchnage membrane impregnated in porous polyethylene membranes.", Membr. J., 21, 94 (2011). 

  18. C. H. Lee, H. B. Park, Y. M. Lee, and R. D. Lee, "Importance of proton conductivity measurement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pplication", Ind. Eng. Chem. Res., 44, 761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